<브로커> 포스터

<브로커> 포스터 ⓒ CJ ENM

 
일본의 거장 고레에다 히로카즈가 한국에서 한국배우들과 함께 작업한 신작 <브로커>는 그의 영화가 다뤄온 본질적인 주제인 '생명'과 변형된 형태의 대안가족을 보여준다. 소재로 보면 그에게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안겨준 <어느 가족>의 전편을 보는 기분이다. <어느 가족>이 완성된 대안가족의 모습을 보여줬다면 <브로커>는 어떻게 상처를 지닌 이들이 대안가족으로 뭉치는지 보여준다. 그 시작은 베이비박스다.
 
성당 베이비박스에 버려진 아기를 파는 인신매매범인 상현과 동수는 우성이란 아기를 매매하려던 중 문제가 발생한다. 아기 엄마인 소영이 마음을 바꿔 성당에 찾아온 것이다. 두 사람을 신고하겠다는 소영한테 상현은 아기를 판 돈을 나누자고 제안한다. 첫 매매의 실패 후 네 사람은 범죄를 위한 여정을 떠난다. 고아원 소년까지 합류하면서 다섯 사람은 마치 가족과도 같은 따뜻한 추억을 만들어간다.
 
소재와 구성의 측면만 보자면 <어느 가족>과 흡사하다. 어두운 과거를 지닌 이들이 대안가족으로 뭉친다. 인신매매를 코믹하고 부드러운 질감으로 다루다 살인과 연결되며 어두운 질감을 지닌다. <어느 가족> 역시 절도를 생계수단으로 가르치는 가족의 모습을 코믹하게 다루다 이들의 과거에 살인과 납치가 연관되었음을 보여주며 극에 무게감을 더했다. 어찌 보면 감독 전작의 확장판이라 할 수 있다.
  
영화에 존재하는 세 개의 박스
 
 <브로커> 스틸컷

<브로커> 스틸컷 ⓒ CJ ENM

 
주제에 있어서도 확장을 보이는데 그 핵심소재가 베이비박스다. 감독은 이 영화에 세 개의 박스가 존재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첫 번째가 베이비박스고 두 번째는 상현의 차이며 세 번째는 공동체로 이뤄진 사회다. 우성이 처음 들어간 박스는 베이비박스다. 베이비박스는 아기가 살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이다. 집처럼 넓고 따뜻하지는 않지만 다른 박스로 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지닌다.
 
상현의 차는 그 가능성을 실현시켜주는 장소다. 그들의 여정은 표면적으로는 인신매매이지만 그 안에서 서로를 향한 애정과 신뢰를 쌓게 된다. 여기에 상현 일당을 추적하는 형사 수진의 차 역시 중요한 박스다. 수진은 소영이 아스팔트 위에 둔 우성을 베이비박스에 넣은 인물이다. 소영은 우성이 향할 세상이란 박스를 따뜻하게 만들고자 하는 건 물론 결점을 지닌 상현 일행의 조력자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제목인 '브로커'는 표면적으로는 인신매매 일당을 지칭한다. 그 이면에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세상을 연결하는 개척자 또는 구원자의 의미가 강하다. 소영과 우성, 동수와 소년을 완벽하지 않지만 위태롭지 않은 박스로 향할 수 있도록 이끄는 브로커가 상현이다. 이 작품은 서로가 서로에게 구원이 되는 순간을 조명한다. 모든 캐릭터를 구원자로 설정하며 생명에 대한 가치에 주목하게 만든다.
  
 <브로커> 스틸컷

<브로커> 스틸컷 ⓒ CJ ENM

 
관람차 장면에서 소영은 동수에게, 동수는 소영에게 구원이 되어준다. 고아원 출신의 동수는 소영을 통해 어머니를 이해하고, 아이를 버렸던 소영은 동수를 통해 미래의 우성에게 구원을 받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소영이 불 꺼진 방 안에서 모두에게 '태어나줘서 고마워'라고 말하는 장면은 성스러운 느낌을 준다. 이 작품에는 세 번의 어둠이 등장하는데 이 어둠 속에서 캐릭터들은 모두 진심을 말한다.
 
이 장치는 소영의 대사가 지닌 힘을 극대화시키며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영화가 지향하는 바를 분명히 한다. 그의 초기작 <환상의 빛>과 <원더풀 라이프>는 삶이 지닌 가치에 대해 말한다. 가족영화는 희로애락을 통해 인생에 대해 말한다. 롤러코스터와 같은 추억 속에는 따뜻함이 담겨 있고 이 질감은 생명에 대한 가치로 귀결된다. 물은 모든 생명의 보고와도 같은 상징성을 지닌다. 이 작품은 물을 통해 그 구원을 실현한다.
 
어색했던 상현 일행의 분위기가 바뀌게 되는 건 세차장 장면에서다. 차 안으로 물이 들어온 순간 이들은 마치 가족처럼 하나가 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상현이 세탁소를 운영한다는 점은 그가 모두를 구원으로 이끄는 브로커가 될 것이란 점을 암시한다. 꾸준히 작품세계를 확장하고 있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에게 <브로커>는 그의 작품세계가 지닌 본질과 관객들을 연결시켜주는 '브로커'와 같은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키노라이츠 매거진과 김준모 기자의 블로그에도 게재됩니다
브로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