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벨파스트> 포스터

영화 <벨파스트> 포스터 ⓒ 유니버설 픽쳐스


*주의! 이 기사에는 영화의 스포일러가 포함돼 있습니다.

1969년의 벨파스트. 날이 좋으면 골목에서 함께 춤추며 놀고, 해 질 녘엔 가족들이 다 함께 모여 저녁을 먹으며, 거리의 모두가 서로의 가족을 알고 아끼며 지내던 도시. 어느 날, 종교를 이유로 폭력 사건과 격렬한 충돌, 대립, 갈등이 시내에서 발생하자 9살 소년 '버디(주드 힐)'의 세계는 흔들리기 시작한다. 런던에서 일하는 '아빠(제이미 도넌)'와 혼자서 육아를 책임져 온 '엄마(케이트리오나 발피)'는 정치, 경제적 이유로 이전과 달리 계속해서 싸우기 시작하고, 재미와 환상이 가득한 공간이었던 벨파스트의 골목에는 장벽이 세워지고 전과 다른 긴장감이 맴돈다. 그저 평범하게 학교를 가고 좋아하는 소녀와 데이트를 하고 가족과 함께 즐겁고 싶었던 버디의 일상과 공간은 그렇게 조금씩 변하기 시작한다. 

케네스 브래너 감독이 자신의 어린 시절을 그려낸 자전적 이야기인 영화 <벨파스트>는 아카데미 시상식 즈음에 개봉하는 작품답게 화려한 문구들로 수식된다. 당장 <벨파스트>는 제75회 영국 아카데미 영국 작품상을 수상했고, 제94회 아카데미에서도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등 7개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다. 그러나 1시간 반 가량 밖에 되지 않는 흑백 영화가 관객과 비평가의 눈을 모두 사로잡을 수 있었던 힘은 이처럼 화려한 수식어에서 비롯되지 않는다. 1969년 북아일랜드의 수도 벨파스트의 평화로운 일상과 예기치 않게 발생한 내전 상황을 담아낸 <벨파스트>의 진짜 힘은 당시 '공간'에 깃들어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9살 아이의 시선으로 차분히 담아내는 '진솔함'이다.
 
 영화 <벨파스트> 스틸 컷

영화 <벨파스트> 스틸 컷 ⓒ 유니버설 픽쳐스

 
<벨파스트>에서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역시나 오프닝 시퀀스다. 브래너 감독은 현시점 벨파스트의 다양한 공간을 그 어떤 부연 설명도 없이 카메라에 담는다. 가장 먼저 현대적인 조선소 일대를 비춘 카메라는 '타이타닉 호텔'의 표지판을 거쳐 오래된 배 건조장의 흔적을 담고, 고풍스러운 건물과 다양한 유적지를 비춘 후 서서히 아기자기하게 주택이 모여 있는 마을의 모습을 비춘다. 

이때 카메라는 주택가 거리마다 위치한 벽들과 그 벽에 그려진 강렬하면서도 상흔이 느껴지는 그림을 보여준 후, 거리를 가로막고 있는 그 벽 너머에서 펼쳐지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흑백으로 소개한다. 이러한 오프닝 시퀀스는 영화의 태도와 접근법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듯 보인다. 벨파스트라는 공간에 얽히고설킨 역사를 자세히 설명하기보다는, 자연스럽게 체감할 수 있게 하려는 의도가 묻어 나오는 것이다. 특히 오프닝에서 비추는 공간과 건물 하나하나가 벨파스트의 긴 세월을 모두 품고 있기에 더욱 그렇게 느껴진다. 

우선 가장 먼저 등장한 조선소는 벨파스트의 영광을 보여준다. 벨파스트는 북아일랜드 정치, 경제, 문화의 최대 도시로, 라간(Lagan) 강을 끼고 있어서 조선업이 발달했다. 20세기 초에는 아일랜드 섬에서 가장 번성한 도시였고, 그 당시에 타이타닉 호가 벨파스트의 할랜드 앤 울프 사에서 건조되기도 했다. 반면에 주택가를 가로지르는, 평화의 선(Peace line)이라 부르는 벽들은 도시의 상처들이다. 1960년대 말 이후부터 가톨릭교도(친아일랜드) 주민과 신교도(친영국) 주민 간의 긴장이 고조되고 폭력 사태가 발생하면서, 충돌 소지가 있는 거주 지역 사이에 장벽이 쳐진 것이다. 그래서 이 장벽에 그려진 정치적, 역사적 벽화와 조선소는 강한 대비를 이룬다. 

또한 영화는 시작처럼 마지막도 벨파스트의 공간과 함께 한다. 클로징 시퀀스는 도시를 떠난 이들, 남은 자들, 그리고 길을 잃은 모든 이들에게 바친다는 자막과 함께 시작점으로 되돌아가 벨파스트의 조선소를 비추면 끝난다. "우리가 건축을 만들지만, 다시 그 건축이 우리를 만든다(We shape our buildings, thereafter they shape us)"는 윈스턴 처칠의 말처럼, 1969년 벨파스트 거리마다 생겨난 장벽들과 그 장벽들로 인해 만들어진 이야기들이 50여 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도시에 깃들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북아일랜드 분쟁'처럼 역사적인 네이밍이 아니라 벨파스트라는 단순하나 명료한 표현이 영화의 제목이 된 이유이기도 할 것이다. 

그래서일까? 영화를 보다 보면 당시 거리의 모습과 분위기를 스크린으로 고스란히 옮겨 오려는 브래너 감독의 노력이 유달리 절실하게 느껴진다. 실제로 브래너 감독은 <오리엔트 특급 살인> <아르테미스 파울> <나일 강의 죽음>을 함께 한 프로덕션 디자이너 짐 클레이와 협업해 언덕과 시골, 부두와 맞닿은 벨파스트의 공간감을 최대한 살리려고 노력했다. 특히 팬데믹으로 인해 도시에서의 촬영이 어려워지자 영국 햄프셔에 있는 '판버러(Farnborough)' 국제공항의 활주로 끝에 세트를 지어 벨파스트를 실제로 옮겨오기도 했다. 

이때 <벨파스트>는 공들여 그려낸 도시 안에서 일어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9살 소년의 시선으로 담아낸다. 이를 알 수 있는 영화적 장치는 여러 가지가 있다. 버디는 가족의 이야기를 언제나 부모의 대화를 훔쳐 듣거나 그들의 싸움을 몰래 보는 식으로 알게 된다. 또 당시 북아일랜드를 둘러싼 영국 내의 정치적 이슈, 또 역사적인 이슈에 대한 정보도 제한적으로 제공된다. TV 속 뉴스를 통해 단순히 배경과 현황만 알려주며, 당시 격렬했던 북아일랜드 갈등의 원인을 가톨릭교도와 개신교도 간의 갈등으로 단순화한다. 교회에서 들은 목사의 설교를 버디가 정확히 이해하지는 못하나, 영화는 버디에게 굳이 그 답을 찾지 않으려는 식이다. 

흥미로운 것은 그 덕분에 <벨파스트>가 모든 관객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일상적이면서도 보편적인 이야기에 집중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실 영화의 배경이 되는 북아일랜드의 분쟁은 단순히 종교 갈등이라고 볼 수 없다. 영국의 아일랜드 식민지배가 길어진 결과 개신교도들을 중심으로 한 이주민이 영국 잔류를 희망하고, 가톨릭교도가 다수인 랜드인은 독립국 아일랜드와의 통일을 바라는 것이 기본적인 갈등 구도다. 달리 말해 영화는 어떤 측면에 주목하느냐에 따라 종교 분쟁이 될 수도 있고, 식민 지배를 둘러싼 이념의 싸움이 될 수도 있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영화 <벨파스트> 스틸 컷

영화 <벨파스트> 스틸 컷 ⓒ 유니버설 픽쳐스

 
하지만 영화는 거대한 사건을 가장 미시적으로, 또 개인적으로 접근하여 풀어낸다. 처음으로 폭동을 마주하는 순간이 대표적이다. 영화는 폭동을 일으킨 사람들의 구호와 외침에 집중하지 않는다. 그저 슬로 모션으로, 또 360도 회전하는 카메라 속에 버디의 반응을 온전히 담아내려고 한다. 그가 인생 처음으로 맞이한 삶의 전환점을 강조한다. 이 장면은 잉글랜드로 이주하자는 부모님의 말에 격렬하게 반응하는 버디의 모습과도 이어진다.

그는 잉글랜드로의 이사를 격렬하게 반대한다. 사촌들과 할머니 할아버지, 그리고 학교에서 썸을 타고 있던 여자 친구와의 관계를 깰 수 없다는 것이다. 버디에게는 폭력과 갈등의 현장이 내전의 공포보다는 그저 일상의 파괴로 다가왔던 것이고, 이는 드라마틱하면서 보편적인 공감대를 이끌어 내는 힘이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벨파스트>는 유머만 조금 부족할 뿐, 타이카 와이티티 감독의 <조조 래빗>과 비슷한 인상을 준다.  

또한 <벨파스트>는 흑백 연출을 통해 위기에 빠져드는 사람들의 감정선을 가능한 진솔하게, 자극적이지 않게 담아낸다. 사람들의 일상적인 모습과 분위기에 포커스를 맞추면서 직관적으로 그들의 감정선을 느끼게 하고, 누군가에게는 지구 반대편에 있는 한 도시의 역사에 불과했던 사건 속으로 잠시나마 온전히 빠져들 수 있게 한다. 비록 실제 세상과 다른 옛날 신문 기사 속 흑백 사진에서 오히려 많은 진정성이 느껴지듯이, 흑백이라는 시각적인 효과로부터 더욱 현실적인 효과를 이끌어 내는 셈이다.  

특히 무엇보다도 영화가 집중하고 있는 평범한 가족 이야기를 특별하게 만들어준다. "평범한 가족의 모습을 보다 화려하고 서사시적인 느낌으로 보여주고 싶었다"던 브래너 감독의 의도가 적중한 것이다. 혼자서 두 아이를 키울 정도로 강인한 엄마는 그 누구보다 따뜻하면서도 엄격하게 버디를 키우고, 런던에서 목수로 일하는 아빠는 함께 지내지 못하지만 언제나 든든한 버팀목이 되려고 노력한다. 현실적인 유머가 빛나는 '할머니(주디 덴치)'와 반대로 낭만이 넘치는 '할아버지(시어런 하인즈)'는 버디에게 삶의 지혜를 전해준다. 흑백 필름은 이러한 관계성에 담긴 진솔함을 그 어떤 방식보다도 효과적으로 끄집어내고, 강조해주는 듯 보인다. 

이에 더해 순간적으로 등장하는 흑백 외의 색채는 그 진솔함에 깊이를 더해준다. 벨파스트의 풍경을 비추는 오프닝과 클로징 장면을 제외하면, 영화에서 색채가 덧입혀지는 순간은 버디가 가족과 함께 연극이나 영화를 보는 순간뿐이다. 이는 담담하고 차분하게 쌓아 올라가던 버디네 가족 간의 관계성과 감정선에 방점을 찍는 순간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가족들이 다 함께 영화를 보는 장면 다음에 가족과의 이별을 그려내는 후반부는 눈물 흘리는 이 하나 없이도, 구슬프다. 

그간 케네스 브래너 감독의 필모그래피는 사실 들쑥날쑥한 평가를 받아왔다. 본작에서도 버디가 받는 크리스마스 선물 중 하나인 애거사 크리스티의 소설을 스크린에 옮긴 <오리엔트 특급 살인>과 <나일 강의 죽음>은 흥행에는 성공했으나 평가는 미묘했다. 동명의 소설을 영상화한 <아르테미스 파울>은 극장 개봉도 하지 못한 채 디즈니+ 로 직행했다. MCU 페이즈 1에 속한 <토르: 천둥의 신> 역시 독립된 작품으로서는 긍정적인 평을 받지 못했다. 그러던 그는 자신의 인생 시작점으로 되돌아가 그 공간에 가득한 이야기를 들려줌으로써 마침내 그 결실을 보는 듯하다. 즉, <벨파스트>는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이라는, 또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보편적이라는 익숙한 명언이 1승을 추가하는, 그런 영화라고 할 수 있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원종빈 시민기자의 개인 브런치(https://brunch.co.kr/@potter1113)와 블로그(https://blog.naver.com/potter1113)에 게재한 글입니다.
영화리뷰 벨파스트 북아일랜드 분쟁 케네스 브래너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영화를 읽는 하루, KinoDAY의 공간입니다. 서울대학교에서 종교학과 정치경제철학을 공부했고, 지금은 영화와 드라마를 보고, 읽고, 씁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