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외한 시리즈 문화체육관광부와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전통의 숨겨진 매력을 찾기 위해 진행 중인 <문밖의 사람들: 문외한> 두 번째 시리즈에 잠비나이, 최고은, 아시안체어샷이 참여해 공연을 연다.

▲ 문외한 시리즈 문화체육관광부와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전통의 숨겨진 매력을 찾기 위해 진행 중인 <문밖의 사람들: 문외한> 두 번째 시리즈에 잠비나이, 최고은, 아시안체어샷이 참여해 공연을 연다. ⓒ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잠비나이, 최고은, 아시안체어샷. 이 세 팀의 공통점은 한국적 전통성을 지닌 음악을 한다는 것과 그 음악의 가치를 해외가 먼저 알아봤다는 것이다. 이들이 모여 경계를 뛰어넘는 한국음악의 실험을 해보인다. '전통'이란 게 옛날에 머문 고리타분한 단어가 아니라 계속 살아 움직이고 변해가는 단어라는 것을 젊은 감각으로 보여줄 예정인 것.

이들이 선보일 공연은 문화체육관광부와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전통의 숨겨진 매력을 찾기 위해 진행 중인 <문밖의 사람들: 문외한>의 두 번째 시리즈다. 첫 번째 시리즈는 지난 6월 개최한 <안은미의 북한춤>이었다.

서양 대중음악 어법을 쓰지만 그 안에 스며든 한국적인 정서로 '문 밖에서' 세계인을 매료시킨 세 팀. 이들의 공연이 오는 31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서울 중구의 CKL스테이지에서 열린다. 공연은 8월 31일 잠비나이 < Intuitive >, 9월 1일 최고은 <유목증후군>, 9월 2일 아시안체어샷 <두드리다> 순으로 개최되며 관람료는 전석 무료다. 이 공연을 앞두고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달개비에서 이들의 기자간담회가 진행됐다.

전통은 현재진행형인 것

문외한 시리즈 문화체육관광부와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전통의 숨겨진 매력을 찾기 위해 진행 중인 <문밖의 사람들: 문외한> 두 번째 시리즈에 잠비나이, 최고은, 아시안체어샷이 참여해 공연을 연다.

▲ 문외한 시리즈 문화체육관광부와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전통의 숨겨진 매력을 찾기 위해 진행 중인 <문밖의 사람들: 문외한> 두 번째 시리즈에 잠비나이, 최고은, 아시안체어샷이 참여해 공연을 연다. ⓒ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세 팀은 전혀 다른 장르에서 전혀 다른 음악을 하고 있는데 그 안에 우리 리듬과 장단이 보이고 판소리가 보이더라. 깜짝 놀랐다. 그런데 세 팀이 한국보다 오히려 해외에서 더 각광받고 있다는 것에도 놀랐다. 그 이유를 생각해보니, 우리의 오리지널리티가 담겨 있기 때문인 것 같다. 전통에 대한 관심을 잃어가는 젊은 세대들에게 이 공연을 통해 또 다른 전통의 힘을 전할 수 있으면 좋겠다."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손혜리 이사장)

잠비나이는 '직관적'이란 의미의 공연명 'Intuitive'에 걸맞게 음악과 함께 감각적인 영상을 선보일 예정이다. 그럼으로써 좀 더 직관적으로 음악을 접할 수 있도록 관객을 유도한다. 잠비나이의 이일우는 "저희 팀의 음악을 난해하게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신데 저희는 친근한 사람들"이라고 웃어보이며 함께 즐겨주길 당부했다. 5인조 밴드 잠비나이의 멤버 중 이일우, 김보미, 심은용은 국악을 전공했다.

'두드리다'란 공연명을 내세운 아시안체어샷은 "저도 전통 음악이 아직 어렵게 느껴지지만 사람들로 하여금 전통음악의 문을 두드리고 그 문을 열고 들어봐달란 의미로 '두드리다'란 공연명을 정했다"고 말했다.

최고은은 판소리를 공부한 후 록밴드에서 활동하다 싱어송라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2014년 영국에서 개최한 글래스톤베리 페스티벌 라인업에 이름을 올려 주목받기도 했다. 이 페스티벌은 매년 15만 명의 방문객이 참여하는 대규모 공연이다. 최고은의 공연명인 '유목증후군'은 지난해 그가 발표한 음반의 이름이기도 한데, 정서적 고향을 찾아 유목하는 현대인에게 들려주는 오늘날의 아리랑이다.

세 팀이 생각하는 '전통'이란 무엇일까. 잠비나이 이일우는 "전통은 그 당시의 대중음악이었고 그 사람들이 즐겼던 음악"이라며 "저는 전통이 옛것으로 남아야하는 게 아니라 지금 사람들과 소통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 현재 안에서도 실험을 해서 계속 만들어가는 것이 전통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통은 처음엔 저한테는 박물관에서나 접할 수 있는 딱딱한 것처럼 느껴졌는데, 생각해보면 우리가 먹는 김치나 된장처럼 지금 사람들에게도 이야기될 수 있는, 몇 세대를 거쳐서 동의를 얻어낸 것이 전통 같다. 하나의 맥 같은 것이다. 김치로 김치만두도 만들고 김치전골도 만들어먹는 것처럼 부담없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게 무엇일까 고민하게 됐는데, 그걸 꼭 '전통'이란 틀에서 해야하는 건 아닌 것 같았다. 여기 뮤지션들 모두 한국에서 나고 자랐기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할머니로부터 주변인으로부터 알게 모르게 스며든 게 쏟아져나오면 자연스럽게 전통적인 음악 표현이 되는 것 같다." (최고은)

아시안체어샷 역시 최고은의 말에 동의하며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들이 더 많은 것 같다"고 했다. "전통에 대해 고민하는 것도 좋지만 그런 고민을 안하더라도 자연스럽게 나오는 게 있기 때문에 오히려 그런 것이 더 전통에 가까운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해외에서 더 각광... 씁쓸한 현실이지만 이해

문외한 시리즈 문화체육관광부와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전통의 숨겨진 매력을 찾기 위해 진행 중인 <문밖의 사람들: 문외한> 두 번째 시리즈에 잠비나이, 최고은, 아시안체어샷이 참여해 공연을 연다.

▲ 문외한 시리즈 문화체육관광부와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전통의 숨겨진 매력을 찾기 위해 진행 중인 <문밖의 사람들: 문외한> 두 번째 시리즈에 잠비나이, 최고은, 아시안체어샷이 참여해 공연을 연다. ⓒ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해외에서 이들 팀이 더 인기 있는 것에 대해 본인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잠비나이의 이일우는 "씁쓸한 현실"이라고 솔직하게 이야기했다. 이어 "해외 나가면 열렬한 환호를 받지만 국내에선 조용한 반응이다. 하지만 괜찮다. 전통음악이 어렵기 때문에 그런 것 같고 그 점을 저도 이해한다. 그 장벽을 부숴나가는 게 뮤지션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전통악기를 가지고 그냥 우리의 음악을 만들면 장벽도 점점 허물어져가고 씁쓸한 현실도 달콤한 현실로 바뀌어 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국에서 공연하는 건 너무 즐겁다. 외국 나가면 멘트하기도 힘들다. 하지만 한국에서 할 기회가 적었다. 록 쪽에선 '잠비나이 음악은 국악이니까 부르지 말자', 국악 쪽에선 "잠비나이 음악은 록이니까 부르지말자' 그런 게 있었는데 평창동계올림픽 폐회식에서 무대를 한 후 섭외도 더 많이 들어오고 저희 음악에 대해 거리감을 덜 느끼시는 것 같다." (잠비나이 이일우)

잠비나이와 최고은, 아시안체어샷에게 전통음악이란 특별한 것이 아니었다. 이들은 '이게 국악기다, 국악기가 베이스가 되어야 한다'고 특별히 생각하지 않고 서양 악기와 똑같은 하나의 악기라고 생각하고 연주할 뿐이라고 했다. 또한 '이걸로 굿거리를 쳐봐야지' 이런 생각을 하는 게 아니라 국악기가 국악기가 아닌 것처럼 자연스럽게 다루기 때문에 오히려 새로운 것이 나오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최고은은 비슷한 맥락으로 "'이런 음악을 해야겠다' 해서 하는 게 아니고, 지금까지의 제 음악을 돌아보니 그런(전통) 음악이었다"며 "어렸을 때 국악을 했던 경험 때문에 자작곡을 만들 때도 감춰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흘러나온다"며 전통이란 게 특별한 것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것임을 강조했다.
문외한 시리즈 문화체육관광부와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전통의 숨겨진 매력을 찾기 위해 진행 중인 <문밖의 사람들: 문외한> 두 번째 시리즈에 잠비나이, 최고은, 아시안체어샷이 참여해 공연을 연다.

▲ 문외한 시리즈 문화체육관광부와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전통의 숨겨진 매력을 찾기 위해 진행 중인 <문밖의 사람들: 문외한> 두 번째 시리즈에 잠비나이, 최고은, 아시안체어샷이 참여해 공연을 연다. ⓒ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최고은 잠비나이 아시안체어샷 문외한 공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음악이 주는 기쁨과 쓸쓸함. 그 모든 위안.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