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패신저스> 포스터. 공상과학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색다른 매력을 선보인다.

영화 <패신저스> 포스터. 공상과학의 틀을 유지하면서도 색다른 매력을 선보인다. ⓒ UPI코리아


[기사수정 : 29일 오전 10시 30분]

승무원 258명과 승객 5000명이 탑승한 우주선 아발론 호는 개척 행성 '터전2'를 향해 120년의 여정에 나선다. 자동 주행 상태로 날아가던 아발론 호에 알 수 없는 결함이 발생하면서 엔지니어인 짐 프레스턴(크리스 프랫 분)은 90년이나 일찍 동면 상태에서 깨어난다. 동면에 들어가는 장비가 없다는 걸 깨달은 짐은 우주선에서 유일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안드로이드 바텐더 아더(마이클 쉰 분)를 벗으로 삼아 시간과 싸운다. 고독에 휩싸여 자포자기 상태로 지내던 짐은 동면 장치에 잠들어 있던 작가 오로라 레인(제니퍼 로렌스 분)을 보고 사랑에 빠진다. 우주선에 발생한 치명적인 결함은 시시각각 그들을 위협하기 시작한다.

<다크아워><프로메테우스><닥터 스트레인지>의 각본을 집필한 존 스파이츠의 손에서 태어난 <패신저스>는 2007년부터 할리우드에서 영화화 되지 않은 시나리오 중 가장 매력적인 작품으로 손꼽혔다. <패신저스>는 "만약 120년간의 동면 여행 중 90년이나 일찍 깨어나 버리면 어떻게 될까?"란 호기심에서 출발했다고 한다. 시나리오의 상상력을 영화로 구현한 이는 <버디><헤드헌터>로 명성을 떨치고, <이미테이션 게임>으로 아카데미 감독상과 최우수 작품상 후보에 오르는 성과를 거둔 모튼 틸덤 감독이다.

3개 부분으로 나뉜 각각의 매력

 영화 <패신저스>의 한 장면. 짐이 오로라를 깨운 건 무엇 때문이었을까.

영화 <패신저스>의 한 장면. 짐이 오로라를 깨운 건 무엇 때문이었을까. ⓒ UPI코리아


<패신저스>는 3개 부분으로 짜여있다. 짐이 우주선에서 홀로 지내는 초반은 마치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를 떠오르게 하는 공상과학의 색채로 가득하다(모튼 틸덤은 스탠리 큐브릭의 대표작인 <샤이닝>의 바(BAR) 장면을 가져다 아더의 설정에 넣어 존경을 바쳤다). 짐과 오로라가 함께 지내는 중반은 <블루 라군><파라다이스> 같은 외딴곳에 머문 연인의 사랑으로 가득하다. 우주선의 결함을 고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후반은 <이벤트 호라이즌><선샤인>이 보여주었던 액션으로 충만하다.

'성경'에 나오는 에덴동산, 아담과 이브, 선악과, <프랑켄슈타인>에서 고독에 몸부림치는 괴물, <미녀와 야수>에 내재하던 스톡홀름 증후군(공포심으로 인해 극한 상황을 유발한 대상에서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는 현상) 등이 골고루 섞인 <패신저스>는 기실 1974년 영화 <귀부인과 승무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귀부인과 승무원>은 무인도에 갇힌 남자와 여자를 통해 당시 정치적, 사회적 문제를 건드렸다. 반면에 <패신저스>는 윤리적인 문제를 만지작거린다.

<패신저스>는 최근 할리우드에선 내놓은, 우주에서의 고독과 생존을 다루었던 <그래비티><인터스텔라><마션>이 주목했던 '살아야 하는 이유'를 벗어나 "당신이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를 묻는다. 외로움에 시달리던 짐의 행동에 무조건 돌을 던질 수 있을까? 당신이라면 그런 선택을 하지 않는다고 단언할 수 있는가? 우주복을 입고 우주를 바라보던 짐이 흘리는 눈물은 그래서 인상적이다. 짐의 선택은 영화를 본 사람들끼리 대화를 나누기에 충분한 소재다. 마지막 오로라의 선택도 마찬가지다."

분노와 비난 그리고 선택

 짐을 비난하는 오로라. 우리는 언제나 선택의 문제에 직면한다.

짐을 비난하는 오로라. 우리는 언제나 선택의 문제에 직면한다. ⓒ UPI코리아


<패신저스>의 결말은 <귀부인과 승무원>의 마지막을 뒤집어 놓았다. 모튼 틸덤 감독은 "충만한 삶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에 대한 이야기다"라고 연출 의도를 밝혔다. 패신저(passenger)는 단어 그대로 '승객'이란 의미 외에 극 중에서 운명에 이끌린다는 '수동'의 뜻을 지니고 있다. 체제에 순응하며 사랑을 포기하던 <귀부인과 승무원>의 남녀와 달리 운명의 흐름을 바꾼 엔지니어와 작가는 아더'왕'(바텐더의 이름이 아더인 사실을 기억하자)의 전설에 나오는 낙원 '아발론(우주선 이름이 아발론 호였던 이유가 여기에 있다)'으로 사람들을 인도한다. 그렇게 두 사람은 패신저(passenger)를 '능동'으로 바꾸었다. <패신저스>는 공상과학으로 새롭게 쓴 <귀부인과 승무원>이다


패신저스 모튼 틸덤 제니퍼 로렌스 크리스 프랫 마이클 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초당 24프레임의 마음으로 영화를 사랑하는 남자

2014년 5월 공채 7기로 입사하여 편집부(2014.8), 오마이스타(2015.10), 기동팀(2018.1)을 거쳐 정치부 국회팀(2018.7)에 왔습니다. 정치적으로 공연을 읽고, 문화적으로 사회를 보려 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