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다큐 프라임>의 한 장면.

EBS <다큐 프라임>의 한 장면. ⓒ EBS


'이제 그만 잊으라고 합니다. 그래요, 잊어야 하지요. 잊어야 한다는 거 압니다. 하지만 아직 그럴 수가 없어요. 전 그 아이의 부모이니까요.'

2014년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가족들은 과연 행복한가? 가족의 의미를 돌아보고 가족 모두가 행복해 지는 가족의 방향을 모색해보고, 새로운 가족의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EBS <다큐 프라임>은 지난 17일부터 9부작으로 '가족 쇼크'를 마련했다.

그 첫 번째 이야기는 세월호 참사를 겪은 부모들의 이야기였다. <다큐 프라임>은 1부 '나는 부모입니다'와, 2부 '당신의 가족은 안녕하십니까'를 방영했다.

세월호 참사 이후 217일째인 11월 18일 사고 수습을 담당했던 '범정부사고 대책본부'가 해체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세월호 인양과 관련된 문제도 해결되지 않았다. 심지어 세월호 추모관 건립조차 불투명해졌다. 차가운 광화문 광장 바닥에서 여전히 세월호 부모님들은 '진상 규명'을 외치며 시민들의 호응을 부탁한다. 광화문만이 아니다. 전국 방방곡곡들을 돌아다니며 서명을 받고 다닌다.

'특별법'이 통과된 이후 또 무엇을 받아내려 하느냐며 이들에 대한 시선이 따가운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부모님들은 '광화문 광장이 세월호 진상을 지켜가는 유일한 보루이며, 특별법이 잘 작동하고, 성역 없는 조사로 사고의 진상이 밝혀질 수 있는 그날까지 그곳을 떠날 수 없다고 한다.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의 상영조차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는 이때, 부모님들이 차가운 도시의 바닥을 쉬이 떠날 길은 보이지 않는다.

자식을 잃은 이야기를 다시 꺼내는 것 자체가 상처를 건드리는 것이지만, 아이들이 잊히지지 않게, 세월호 사건이 국민들의 뇌리 속에서 잊히는 것을 막기 위해 부모님들은 어렵사리 인터뷰의 자리에 앉는다.

49제, 18살 아들의 영전에 마흔이 넘은 아버지가 절을 올린다. 무뚝뚝한 아버지가 눈물을 흘린다. 아버지가 돼서 해줄 것이 진도 팽목항에서 시신 수습을 기다리고, 재판을 지켜보고, 진상이 규명되기를 바라는 것밖에 없는 무능력한 아빠라 서럽다. 그래서 아빠는 아들의 옷을 입고, 아들의 신발을 신고 길을 나선다.

부모님들은 주검이 된 자식들의 번호를 줄줄이 왼다. 첫 번째로 아들의 시신을 수습한 아빠는 '주검을 수습하러 간 게 아니었는데' 라며 말문을 잇지 못한다. 그래도 이 부모는 아이의 시신이라도 찾았다. 어느 틈에, 팽목항을 찾은 부모님들은 먼저 주검을 수습한 부모님들에게 '축하한다'는 말을 건네는 처지가 되었다고 한다. 100번대가 넘어간 부모님들은 가린 얼굴을 차마 보지 못했단다. 살이 흐트러질 까봐 만져 보지도 못했단다. 그리고 아직 그런 시신조차 만나지 못한 부모님들이 있다.

부모님들은 말한다. 다시 한 번만 만져보고 싶다고, 안아보고 싶다고. 그저 그렇게 한번만이라도 해봤으면 좋겠다고. 예전처럼 아이의 두툼한 볼을 꼬집고, 고춧가루 낀 이빨을 놀려보고 싶다고, 자식과 나누는 평범한 것들을 해보고 싶다고 말한다.

몇 달이 흐른 후 유류물처리반이 찾아 보내온 물에 젖은 아이의 가방 앞에 어머니는 물에 빠진 아이를 다시 본듯 오열한다. 그리고 바다 기운을 빼버릴 태세로 빠득빠득 빨아 볕 좋은 곳에 말린다. 마치 바닷 속에서 죽어간 아이에게서 바닷물의 음습한 기운을 빼기라도 하듯이.

남은 엄마는 아침이 제일 힘들다고 한다. 세상은 변한 게 없는데 우리 아이만 없는 세상을 살아가야 한다. 생존한 아이들이 다시 학교에 등교한 날, 아이를 잃은 부모님들은 너희라도 살아서 돌아와서 반갑다고 하면서도 눈물을 감추지 못한다. '내 아이만 이곳에 없다' 이렇게, 남은 세상을 어떻게 살아내야 할 지 도무지 엄마는 감당할 자신이 없다. 아이를 잃고 집 밖으로 한 발자국도 나오지 않은 채 세상과 담을 쌓아버린 엄마도 있다.

아들의 얼굴도 보지 못한 채 가족을 위해 해외에서 돈을 벌던 아빠는 이제 무엇을 위해 살아가야 할 지 모르겠단다. 재판을 보기 위해 혈압약까지 챙겨 먹으며 걸음을 재촉했던 아버지는, 재판이 끝난 뒤 무기력한 자신에 담배를 피워 문다. 아이의 누나는 학교도 휴학한 뒤, 아빠와 함께 전국을 돌며, 진상 규명 서명을 받기 위해 분주하다.

아이의 생일날 엄마와 아빠는 단원고 아이들 100명이 잠든 하늘 공원을 찾는다. 아직 따스한 밤과 미역국, 생일 케이크, 하지만 케이크에 촛불을 불 아이는 사진 속에 있다. 엄마는 눈물이 앞을 가려 차마 생일 노래를 부르지 못한다.

매일 아침 한겨레신문에는 단원고 아이들의 얼굴이 박재동 화백의 스케치로 등장한다. 사람들이 잊고 싶어 하는 그 시간이 흘러도 여전히 아이들은 매일 아침 착한 아들과 딸의 이야기로 우리들을 찾아온다. 그런 아이들을 가슴에 묻고 살아가야 할 500명의 부모들이 지금 대한민국에 있다.

아직도 고스란히 남아있는 아이들의 방, 때때로 들어가 빨지 않아 다행이라며 아이의 체취가 묻어있는 옷에 얼굴을 파묻는 부모들 이것이 <다큐 프라임>이 제시한 대한민국 가족의 첫 번째 얼굴이다. 다큐는 말한다. 이것이 부모라고, 그리고 묻는다. 그렇게 이 상처 난 가정을 잊고 싶은 당신의 가정은 얼마나 안녕하시냐고?


EBS다큐 프라임-가족 쇼크1,2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