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그콘서트 미녀 개그우먼으로 화제가 된 김승혜

▲ 개그콘서트 미녀 개그우먼으로 화제가 된 김승혜 ⓒ 우동균


<개그 콘서트>(이하 <개콘>)가 공개 코미디의 원조로서 여전히 가장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은 맞지만 내용 면에서 발전을 하고 있는지는 생각해 볼 문제다. <개콘>에서 인기 코너들이 사라지고 있는 것만 봐도 <개콘> 코미디가 대중에게 어필하는 빈도 수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개콘>은 그 빈자리를 다른 화제로 채우려 노력한다. 미녀 개그우먼도 <개콘>이 활용하는 소재 중 하나다. '예뻐! 예뻐?'가 결방하자 '개콘'의 홍보 기사거리가 줄어드는 것만 봐도 <개콘>이 미녀 개그우먼을 활용하는 방식을 알 수 있다.

미녀 개그우먼은 <개콘>속 코너였던 '뿜 엔터테인먼트'의 김지민으로부터 붐이 일기 시작했다. 김지민이 없었다면 미녀 코미디언으로 대표되는 이들의 주목도가 지금과 같지는 않았을 것이었다. 김지민은 '뿜 엔터테인먼트' 속에서 '제가 할 게요' '느낌 아니까'등의 유행어를 히트시키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예쁜 외모로 반전이 섞인 개그를 구사하는 김지민의 캐릭터는 시청자들에게 어필했고 그의 인기는 급상승했다. 

그러나 문제는 이런 미녀 개그우먼들이 김지민을 제외하고는 마땅히 캐릭터가 없다는 점이다. <개콘>에서만 김나희, 홍예슬, 김승혜 등의 미녀 개그우먼들이 존재하지만 이들은 김지민 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했다. 특히 '예뻐! 예뻐?'의 메인을 맡은 김승혜는 개그 콘서트의 주력 주자지만 그녀의 역할은 '미모'말고는 아직까지 두드러지는 부분이 없다.

'예뻐! 예뻐?'에서 청순하고 예쁜 여자가 망가진다는 식의 설정으로 웃음을 전하려 하지만 이야기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오류가 있다. 반전과 재치를 적절히 녹여낸 이야기가 포인트가 되지 않고, 김승혜의 오버 연기가 주가 되는 것이다. 해당 코너에서 김승혜가 망가지기는 하지만 그 망가짐의 과정이 자연스럽지가 않다. 이야기는 단순히 예쁜 여자가 오버한다는 것 말고는 특별할 것이 없다. 그런 행위로는 결코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없다. 예쁜 얼굴로 망가지는 데서 웃음을 주는 건 한계가 극명하기 때문이다.

김지민의 사례에서 배워야 할 것...분명한 캐릭터성 필요해

  22일 저녁 서울 여의도 KBS신관 공개홀에서 열린 <2012 KBS 연예대상> 포토월에서 개그콘서트 거지의 품격의 김지민이 미소를 짓고 있다.

개그우먼 김지민. ⓒ 이정민


'뿜 엔터테인먼트'의 김지민이 성공한 것은 그가 맥락 안에서 캐릭터를 보여줬기 때문이었다. 일단 톱스타라는 설정 하에 찍어야 할 장면에서는 '살찐다'며  촬영을 거부하다가도 엉뚱하고 이미지가 망가지는 장면에서는 '느낌 아니까'라며 적극성을 드러낸다. 이런 설정과 이야기 속에서 재치 넘치는 한마디를 보여주는 것이 김지민의 성공 비결이었다. 단순히 망가지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다.  오버스러운 행동 자체가 아닌 그 코너의 이야기 자체에 흥미를 느껴야 대중들은 시선을 고정한다. 그러나 '예뻐! 예뻐?' 속 김승혜는 그런 이야기가 없다.

코너에서 김승혜는 쉴새없이 '어쩔'이라는  단어를 반복하기는 하지만 그 단어에 임팩트가 없어 보인다. 이야기 속에서 맥락이 없기 때문이다. 전체적인 이야기에서 연기가 녹아 드는 것이 아니라 오버하는 행동 자체로만 이야기가 진행되다 보니 유행어는 자연스럽게 녹아들지 못하고 강요가 된다. 그런 강요된 유행어는 화제가 될 수 없다.

김영희의 '앙대요'나 이국주의 '의리'가 유행어가 된 것 또한 맥락 안에서 이루어진 일이다. 유행어는 억지로 만들려고 해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임팩트가 있어야 유행어가 되는데 그 임팩트는 항상 맥락 안에서 만들어진다. 단순히 망가지는 행위 자체로 유행어가 양산된다는 생각은 위험하다.

문제는 최근 <개콘>의 동향이 계속 이런 식으로 흘러간다는 것이다. 뭔가 기발한 아이디어와 참신함 보다는 단순한 행동과 연기로 웃기려는 행동은 공개코미디에서 독이 된다. <웃음을 찾는 사람들>이나 <개그야>가 내리막을 걸은 것도 이 때문이었다. 끊임없는 아이디어의 향연으로 대중들의 관심속에 서 있던 <개콘>이 좀 더 장수하기 위해서는 이런 동향은 바람직하지 않다. 현재는 고정 시청층을 확보한 탓에 나쁘지 않은 시청률을 보이고 있지만 이 시청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개콘의 절치부심이 필요할 것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기자의 개인 블로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김승혜 개그 콘서트 김지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