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라이트를 앞에 둔 <마녀사냥> MC들.

그린라이트를 앞에 둔 <마녀사냥> MC들. ⓒ JTBC


<오마이스타>는 스타는 물론 예능, 드라마 등 각종 프로그램에 대한 리뷰, 주장, 반론 그리고 인터뷰 등 시민기자들의 취재 기사까지도 폭넓게 싣고 있습니다. 언제든지 '노크'하세요. <오마이스타>는 시민기자들에게 항상 활짝 열려 있습니다. 편집자 말

# 연애 상담을 요청한 남녀. 여자는 매사에 약속을 지키지 않는 남자에게 짜증을 낸다.
남자; 알았어, 알았어, 담배 끊을게
여자; 그래? 그러면 대신 사탕 먹어
남자; 사탕? 무슨 맛 먹을까?
주원 선생: 안됩니다. 안됩니다. 사탕은 안됩니다. (목소리가 바뀌며) 사탕보다 달콤한 네가 필요해~
여자와 간호사, 동시에 격렬하게 환호하며 주원 선생에게 매달린다.
(<웃음을 찾는 사람들>(이하 <웃찾사>) 의 코너 '굿닥터' 중에서)

이 코너를 통해 여자와 남자는 동일하게 한국말을 사용하지만 여자의 말에는 통역이 필요하다는 것과, 대부분의 남자는 그런 여자들의 말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자도 마찬가지다. <웃찾사>의 또 다른 코너 '내 남자'는 남자들의 상황을 개그로 풀어낸다. 네 명의 남자는 몸이 아프다며 누워 있다. 친구가 놀러 나가자고 해도 다 귀찮단다. 그러던 남자들이 여자를 만나기로 했다는 소리에, 그 여자가 혼자 산다는 소리에 벌떡 일어선다. 여기서 남자는 오로지 여자와 그 여자와의 스킨십 등 맹목적인 메뉴얼에만 반응하는 생명체다.

굳이 존 그레이의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를 찾아보지 않아도 요즘 텔레비전을 틀면 이렇게 서로 다른 별에서 사는 여자와 남자에 대한 담론이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개그 프로그램에서도 한 코너 이상은 여자와 남자의 다름을 웃음의 소재로 삼는다. JTBC <마녀사냥>은 여자와 남자가 서로 이해하며 사랑을 이루는 과정을 놓고 토론한다.

그런데 이상하다. 분명 <마녀사냥>을 비롯한 프로그램의 목적이 서로 다른 여자와 남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텐데, 보고 있노라면 서로 이해하게 되기 보다는 공부해도 늘지 않는 외국어처럼 점점 요지경에 빠지는 느낌이다. 매주 나오는 다양한 사례는 저마다 "여자와 남자는 다르다, 달라도 너~무 다르다"고 소리를 높인다. 과연 여성과 남성이라는 두 종족을 하나의 인간 종에 묶어도 될까 싶을 정도다.

게다가 이해를 돕는다는 전제를 깔며, 오히려 차이를 부각시키기도 한다. <마녀사냥>의 진행자들은 여자 친구의 속마음을 몰라 우물쭈물하는 남자에게 "여성의 그런 반응은 이런 뜻"이라고 친절하게 해석해준다. 그런데 그 해설이 더 오묘하다. 사탕을 주겠다고 말하는 여성이 사실 '네가 더 달콤해'라는 대답을 원한다는 걸 이해할 남성이 몇이나 되겠는가.

그런데 문제는 <마녀사냥>과 <웃찾사> <개그 콘서트>의 몇몇 코너에 등장하는 남녀의 모습이 점점 더 전형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남자들은 <웃찾사>의 '내 남자'처럼 앉으나 서나 한 가지 생각만 하고, 여자들은 호시탐탐 '밀당'을 하지 못해 안달이 났다.

'여성학'의 입문에 전제로 깔리는 것이 있다. 실제 조사를 해보면 여성과 남성 간의 차이보다 동성 간의 편차가 훨씬 크다는 것이다. 하지만 방송 속 여성과 남성은 전형적이다. 최근 이런 식으로 여성과 남성의 심리를 소재로 삼는 프로그램에서는 이런 경향이 더욱 강하게 부각된다. 물론 <마녀사냥>에는 다양한 사례가 등장하지만, 대개가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라는 식이다.

차이가 더욱 부각되는 이유는 아마도 '사랑'이라는 과정의 맹목성에 있겠다. 남자와 여자가 만나서 사랑이라는 동질의 감정을 꾸려가야 한다는 맹목적인 열정이 여자와 남자의 인간적인 차이를 드러내는 것이리라. 하지만 TV 속 남녀의 이야기는 인간의 '다름'으로 서로를 이해하기보다 이방인의 관점만을 부각시키는 듯하다. 그래서 보면 볼수록 낯설어진다.

논어에 나오는 대표적인 이념이 바로 화이부동이다. 신영복 선생은 이에 대해 "다름을 인정하며 화합한다"고 해석했다. 남녀 관계도 결국 인간관계다. 사실 가장 큰 문제는 서로 다른 외계별에 살았던 과거가 아니다. 지구별에서 함께 꾸려가야 할 현재이다. 다른 별의 언어는 아무리 이해하려고 해도 외계어일 뿐이다. 그런데 남녀의 심리를 다루는 프로그램은 외계어를 독해하는 데만 골몰한다. 아무리 많은 문제집을 풀어도 원리를 꿰지 못하면 틀리게 된다. 아니, 애초에 남녀 관계가 문제를 내고 풀어보라는 식이어서는 안되는 게 아닐까.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게재를 허용합니다.
마녀사냥 웃음을 찾는 사람들2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