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방영된 <라디오 스타>에 출연하여 눈물을 흘린 카라의 구하라와 강지영.

4일 방영된 <라디오 스타>에 출연하여 눈물을 흘린 카라의 구하라와 강지영. ⓒ MBC


<오마이스타>는 스타는 물론 예능, 드라마 등 각종 프로그램에 대한 리뷰, 주장, 반론 그리고 인터뷰 등 시민기자들의 취재 기사까지도 폭넓게 싣고 있습니다. 언제든지 '노크'하세요. <오마이스타>는 시민기자들에게 항상 활짝 열려 있습니다. 편집자 말

솔직해지자. 방송은 비즈니스다. 주는 게 있으면 받는 게 있다는 뜻이다. 스타는 홍보를 위해 출연하고, MC와 제작진은 시청률을 위해 게스트로 출연한 스타를 다각도로 활용한다. 때로는 수위 놓은 질문을 던지면서 말이다. 물론, 이는 사전에 합의를 거치기 마련이다. 

많은 자본과 인력이 투입되는 만큼 철저한 자본주의 작동 원리가 작용하는 곳이 바로 방송이다.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이득을 챙기거나 혹은 손해를 보는 방송은 만들어지기 어렵다. '기브 앤 테이크'가 적당한 균형을 이룰 때야 비로소 방송은 빛이 난다.

하지만 어떤 이유로 이 균형이 무너지면 프로그램은 자칫 '홍보방송'으로 전락하게 되고, 스타는 출연하지 않은 것만 못한 결과를 만들어 낸다. 지난 4일 MBC <라디오 스타>에서 그룹 카라의 구하라와 강지영의 눈물로 프로그램 전반의 분위기가 다운되고, 마치 갈 길을 잃어버린 어린아이처럼 헤맨 것도 이 경우다. 

홍보는 열심히, 곤란할 땐 눈물로?

이날 <라디오 스타>에는 최근 앨범을 발표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 박진영과 카라가 게스트로 초대됐다. 신곡 홍보와 더불어 앞으로의 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기 위한 출연이었다. 실제로 제작진은 이날 박진영과 카라에게 직접 무대에서 신곡을 부를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해주기도 했다. 한 시간이 넘는 시간동안 동시간대 시청률 1위인 프로그램에 얼굴을 비추고, 또 신곡까지 제대로 홍보할 수 있었으니 박진영과 카라에게는 분명 남는 장사였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라디오 스타>에게도 이날 방송이 남는 장사였다고 볼 수 있을까? 아마도 득보다 실이 많지 않았나 싶다. 이유는 바로 카라의 눈물 때문이다. 구하라에게 '연애돌'이라는 별명을 만들어주며, 그녀를 둘러싼 열애설을 본격 해부할 것이라고 큰소리 친 MC들은 구하라가 흘린 눈물 앞에서 당황하기 바빴고, 이어 애교를 보여 달란 부탁에 강지영이 "애교가 없다"며 울음을 훔치자 <라디오 스타>의 전매특허와도 같던 독설과 디스도 자취를 감춰버린 것이다.

결국 남은 것은 지난 방송에서 그룹 f(x) 크리스탈과 설리의 정색 태도 논란처럼, 프로답지 못하게 방송에 임한 카라의 방송자세에 대한 지적뿐이다. 힙합계의 디스 전쟁까지 언급하며 오랜만에 에너지 넘치는 모습을 보여줬던 MC들의 적극적인 진행은 끝내 구하라와 강지영의 눈물을 넘어서지 못했다.

방송 후 카라는 차라리 출연하지 말았어야 한다는 시청자들의 비판에 직면했다. 자신들의 무대로 엔딩을 장식하면서 홍보라는 목적을 달성했음에도, 그녀들이 <라디오스타>를 위해 한 것은 없으며, 오히려 급작스런 눈물로 분위기를 다운시켰기 때문이다.

눈물 이후 소극적인 자세와 해명이 더 문제

 열애설에 대한 MC들의 짓궂은 농담에 눈물을 보인 카라의 구하라(위), 애교를 보여달란 MC들의 요청에 눈물을 보인 카라의 강지영. 4일 방영 <라디오 스타> 중 한 장면.

열애설에 대한 MC들의 짓궂은 농담에 눈물을 보인 카라의 구하라(위), 애교를 보여달란 MC들의 요청에 눈물을 보인 카라의 강지영. 4일 방영 <라디오 스타> 중 한 장면. ⓒ MBC


물론, 구하라와 강지영의 눈물 그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이미 <라디오 스타>에서 눈물을 흘린 다른 스타들도 있었고, 오히려 그녀들의 뜬금없는 눈물 덕분에 제작진과 MC들은 '라스 크라잉 스타'를 정리하는 등 새로운 웃음 포인트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문제는 울고 난 뒤의 태도다. 눈물로 곤란한 상황을 벗어난 그들은 이후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임하기보다, MC들의 독설 때문에 눈물을 흘린 거라고 항변하기 바빴다.

이날 카라의 모습과 대처는 데뷔 7년차의 그룹이라 하기에는 어딘가 어설펐다. 권불십년(權不十年)이라는 말이 있다. 어떤 권세도 십년을 넘기기 쉽지 않다는 뜻이다. 하물며 스타의 인기는 오죽할까. 십년은커녕 일 년, 아니 한달 만에도 정상에서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로 연예계다.

스타의 모습에서 더 이상 노력하는 모습과 겸손을 찾아 볼 수 없을 때, 대중의 사랑과 관심은 금방 식는다. 방송뿐만이 아니라 대중의 사랑 역시 '기브 앤 테이크'라는 사실을 알아야 할 것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개인 블로그(saintpcw.tistory.com),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라디오스타 카라 강지영 구하라 규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