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는 스타는 물론 예능, 드라마 등 각종 프로그램에 대한 리뷰, 주장, 반론 그리고 인터뷰 등 시민기자들의 취재 기사까지도 폭넓게 싣고 있습니다. 언제든지 '노크'하세요. <오마이스타>는 시민기자들에게 항상 활짝 열려 있습니다. 편집자 말

MBC 일일연속극 <오자룡이 간다>가 마지막 회만을 남겨두고 있다. 진용석(진태현 분)과 이기자(이휘향 분)의 악행이 모두 들통 나고 그들에 대한 단죄만이 남은 가운데 이 드라마가 과연 어떤 결말로 정리가 될지 시청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지난 6개월 간 <오자룡이 간다>가 남긴 '빛과 그림자'는 무엇이었을까.

 MBC 일일드라마의 부활을 알린 <오자룡이 간다>

MBC 일일드라마의 부활을 알린 <오자룡이 간다> ⓒ MBC


시청률 효자 노릇 톡톡, 연기자들의 호연 빛나

<오자룡이 간다>의 가장 큰 수확은 역시 시청률이었다. 당시 MBC는 <뉴스데스크> 시간을 8시대로 변경하면서 일일연속극을 7시 15분에 편성하는 모험을 펼쳤다. <오자룡이 간다>로선 제대로 된 시청층조차 구축되지 못한 시간대에 억지로 내몰리는 상황에 처하게 된 것이다. 일각에서 MBC가 뉴스 시청률을 위해 일일연속극의 흥행을 포기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 나온 이유다.

많은 이들의 걱정처럼 <오자룡이 간다>의 첫 방송 시청률은 겨우 5.6%(닐슨 코리아, 전국 기준)로 동시간대 꼴찌를 기록했다. 그야말로 처참한 성적표였던 것이다. 그러나 초반을 넘어서며 주부층을 중심으로 입소문이 퍼지기 시작하자 시청률이 오르기 시작했고, 진용석의 악행이 극에 달한 시점에서는 20%대 시청률을 훌쩍 넘기는 기염을 토했다. 첫 시청률에 비해 무려 4배나 오른 수치다.

MBC 일일극이 시청률 20%를 넘긴 것은 2009년 <사랑해 울지마> 이후 무려 4년만의 일로 이것만으로도 <오자룡이 간다>가 얼마나 대단한 일을 해냈는지를 단번에 알 수 있다. MBC는 각종 악재 속에서도 괄목할만한 성과를 낸 <오자룡이 간다> 제작진과 출연진을 격려하며 회식비 1000만원을 제공하기도 했다.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시청률 대박'에 대한 나름의 보답을 한 셈이다.

연기자들의 열연 또한 눈 부셨다. 타이틀롤 이장우와 파트너 오연서는 젊은 연기자답지 않은 안정된 연기력으로 시청자들의 눈도장을 받았고 진태현, 서현진, 유호린 또한 극을 중추적으로 이끌어가며 훌륭한 연기를 펼쳤다. 특히 진태현은 온갖 악행과 거짓말을 서슴지 않고 행하는 진용석 캐릭터를 실감나게 소화해 연기파 배우로서 탄탄한 입지를 다지는데 성공했다. <오자룡이 간다>의 중후반부는 진태현을 위해 만들어졌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중견배우들의 탄탄한 연기력은 화룡점정이었다. 장미희, 이휘향, 김혜옥, 김영옥, 한진희, 길용우, 조미령 등은 각자의 자리에서 유기적으로 움직이며 작품에 탄탄한 무게감을 부여했다. 그 중 장백로 역의 장미희와 이기자 역의 이휘향은 주연 뺨치는 분량과 섬세한 감정연기를 자랑하며 '역시 명 연기자'라는 평단의 호평을 이끌어냈다. <오자룡이 간다>는 이들 중견연기자들에게 많은 부분을 빚진 드라마다.

 <오자룡이 간다> 또한 막장 드라마의 오명을 벗지 못했다.

<오자룡이 간다> 또한 막장 드라마의 오명을 벗지 못했다. ⓒ MBC


막장 드라마 오명 벗지 못해 아쉬워

그러나 <오자룡이 간다> 또한 '막장 드라마'의 굴레에서는 자유롭지 못했다. 폭력, 납치, 불륜, 배신, 횡령, 살인 등 말초신경을 건드는 자극적인 설정이 난무했고 이 때문에 스토리 또한 설득력과 개연성을 잃고 휘청거렸다. 아버지와 아들의 천륜을 끊는 악행은 물론이거니와 밖에서 낳은 자식을 업둥이로 다시 들이는 대목에 이르러서는 절로 눈살이 찌푸려질 지경이었다. 시청률을 위해 상식적 전개를 포기했다는 비판을 면키 힘들게 됐다.

착하고 건실한 청년 사업가가 온갖 고난을 극복하고 마침내 성공한다는 당초의 주제의식이 희미해진 것 또한 아쉬운 부분이다. 중반 이 후에 드라마의 모든 초점을 진용석의 악행과 그로 인해 괴로워하는 오자룡에 맞추면서 오자룡이 너무 답답하고 수동적인 캐릭터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오히려 능동적으로 자기 삶을 사는 진용석이 더 매력적으로 보일 정도였다면 김사경 작가가 스토리 라인을 잘못 구성한 것이 분명해 보인다.

이렇다보니 주객이 전도되는 현상도 발생했다. 오자룡은 보이지 않고, 진용석만 보이면서 드라마 제목을 <진용석이 간다>로 바꿔야 한다는 우스갯소리까지 나온 것이다. 악역에 너무 힘을 실어주다가 분량 조절에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비단 오자룡의 문제만은 아니다. 진용석과 김마리를 제외한 모든 캐릭터가 이런 식의 부침을 겪었다. 진용석의 악행을 위해 존재하는 부수자재로 전락해 버린 셈이다.

특히 극 초반 당당하고 철없는 재벌집 막내딸 나공주 역할을 실감나게 소화한 오연서가 중반에 들어서며 자기 색깔을 잃어버린 것은 매우 안타깝다. 진용석 대 오자룡 구도가 구축된 시점부터 오연서가 하는 일이라곤 매회 비슷한 대사만을 반복적으로 읊어대며 화면에 나타났다 사라지는 것뿐이었다. 명색이 여주인공인 그녀가 유호린 보다 못한 분량으로 극의 변두리로 밀려난 것은 이해하기 힘든 일이다.

이처럼 <오자룡이 간다>는 높은 시청률과 배우들의 호연에도 불구하고 '막장 드라마'의 오명을 뒤집어쓰며 작품성 면에서 시청자들의 후한 점수를 얻는 데는 실패했다. 따뜻한 희망을 전해주는 일일극이 되겠다던 처음의 다짐을 지키지 못했다는 것은 매우 슬픈 일이다. 시청률이란 잔혹한 시장 논리에 굴복한 탓에 <오자룡이 간다>는 '욕하면서 보는 드라마'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 작품이 되어버렸다.

<오자룡이 간다>는 7시 대 일일극도 성공할 수 있다는 희망과 함께 막장 드라마를 어떻게 벗어나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과제도 함께 남겼다. 과연 <오자룡이 간다> 이 후, MBC 일일드라마는 새로운 모습으로 새 출발할 수 있을까. <오자룡이 간다>가 남긴 '빛과 그림자'를 MBC가 찬찬히 복기해 볼 때다.

오자룡이 간다 이장우 오연서 진태현 서현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