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계가 소설과 친해진 듯한 요즘이다. 최근 개봉하는 영화들을 보면 소설을 원작으로 만들어진 작품이 매우 많은데, 이를 보면 마치 글과 영화가 서로 공생하는 모양새같은 느낌이 든다. 영화계는 소재고갈을 글로 된 작품을 스크린으로 옮김으로써 극복하고, 문학계는 영화화된 작품을 통해 홍보수단을 새로이 얻는다. 서로 상부상조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최근에는 고전소설을 영화화하는 것이 새삼 각광받는 분위기인데, 지난 2012년 연말 크게 흥행한 <레미제라블>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고전은 이미 지난 세월동안 작품성을 인정받은 상태이니 영화화하는데 있어 흥행을 어느 정도 보장받는 느낌이 들 수도 있을 것이다.

<안나 카레리나>, <위대한 개츠비>의 연이은 개봉에 앞서 지난 3월 28일 개봉한 <웃는남자> 역시 그런 추세의 영화들 중 하나다. 더군다나 이 영화는 <레미제라블>을 썼던 빅토르 위고의 작품이기도 하다.

빅토르 위고의 또 다른 소설을 영화화, 이번에도 성공?

 영화 <웃는남자>의 한 장면. 주인공 그웬플렌은 어릴적 생긴 얼굴의 흉터를 안고 살아간다.

영화 <웃는남자>의 한 장면. 주인공 그웬플렌은 어릴적 생긴 얼굴의 흉터를 안고 살아간다. ⓒ 씨너스엔터테인먼트(주)


<웃는남자>는 빅토르 위고가 "나는 이보다 더 뛰어난 소설을 써본 적이 없다"고 밝혔을 정도로 애착을 가진 작품이었다. 그렇기에 <레미제라블>을 보고 나서 감동을 느꼈던 많은 관객들이 <웃는남자>의 개봉소식을 듣고 기대감이 높아진 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얼굴에 흉터를 가진 남자의 이야기. 흡사 <다크나이트>의 조커를 떠오르게 만드는 생김새를 지닌 그의 이야기는 물론이거니와, 깔끔하면서 인상깊은 영화의 포스터부터 관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하지만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고 했던가? 프랑스의 가난한 서민들이 겪는 애환을 절실히 드러내면서도, 그 안에서 사랑이야기와 삶의 굴곡까지 담아냈던 <레미제라블>을 기대하고 극장을 찾은 관객은 <웃는남자>를 보고서 웃기가 쉽지 않을 듯 하다. 담고있는 메시지는 비슷하지만, 영화는 그보다 흉터를 가진 남자의 삶과 사랑에 너무 비중을 둔 나머지 무게감이 떨어진다.

<웃는남자>는 당시 시대상황을 고스란히 보여주며 풍자와 감동까지 놓치지 않았던 <레미제라블>과 동떨어져 있다. 전체적으로 배우들의 연기와 영상미는 나쁘지 않았지만, 안타깝게도 굵직한 줄거리의 원작을 제대로 살려내지 못한 느낌이다.

'고전의 영화화'가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영화 <웃는남자>의 포스터.

영화 <웃는남자>의 포스터. ⓒ 씨너스엔터테인먼트(주)

부유한 자들의 횡포와 가난한 자들의 분노가 파도처럼 몰아치던 시대. 갖가지 욕망과 감정들의 충돌을 빅토르 위고는 글로써 훌륭하게 표현해냈다. 반면 이를 영상으로 옮긴 영화 <웃는남자>는 다소 아쉬움을 드러낸다.

<레미제라블>은 비록 극 중 서민들의 혁명이 성공하지 못하여 관객들의 대리만족을 모두 충족시키지는 못했지만, "용서와 사랑으로 우리는 구원된다"는 단순하면서도 삶을 관통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감동을 이끌어냈다.

그에 비해서 <웃는남자>는 대리만족과 감동,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놓쳐버린 영화에 가깝다. 영화를 보고난 관객의 머릿속에는 그웬플렌의 흉터만이 공허하게 떠오를 뿐이다. 그가 외친 "부자의 낙원은 빈민의 지옥으로 채워지네!"라는 말이 돌아오는 메아리조차 없이 상영관 안에 울려퍼지는 것처럼.

<레미제라블>이 개봉하여 흥행돌풍을 이끌어가던 당시, 누리꾼 중 누군가는 "혁명은 프랑스가 하고, 콘텐츠수익은 미국이 가져가네"라는 재미난 댓글 한줄로 할리우드서 영화화된 프랑스 고전의 현실을 압축해냈다.

이번에는 프랑스에서 직접 영화로 만들어진 <웃는남자>를 통해 다시 한번 자국 고전의 위상을 우뚝 세우고 싶었을런지 모르겠지만, 영화계의 현실은 그리 녹록치 않다. 검증된 작품이라는 소재는 결코 만병통치약이 아니며, 되레 망치지 않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출력이 필요하다. <웃는남자>는 이를 입증한 씁쓸한 영화 중 하나로 남을 것 같다.

웃는남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