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세종시 설치법의 2월 국회통과가 무산된 가운데 행정도시 건설 예정지인 충남 연기군의 유한식 연기군수는 25일 오후 2시 연기군청 앞에서 이를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유 군수는 기자회견에서 "지난 2월 23일 법안심사 소위의 결과에 심한 허탈감과 울분을 느낀다"며 이는 "8만여 연기군민과 500만 충청인을 우롱한 처사"라고 규탄했다.

 

특히 세종시 법적지위를 기초단체로서 충남도 산하 특례시로 규정한 것에 대해 "국가균형발전 실현과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세계적인 명품도시의 위상에도 맞지 않는다"며 반대했다. 유 군수는 시기적으로 촉박함에도 이제까지 정부안조차 내놓지 않았다며 정부와 여당의 무책임과 무능력을 꼬집었다.

 

유한식 군수는 그동안 차질 없이 행정도시를 건설하겠다고 공언해온 정부에 "더 이상 행정도시를 발목 잡지 말고 원안 추진 약속을 지킬 것"과 "정부기관 이전 변경고시를 이행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또한 "행정도시 건설 목적과 방향이 훼손되거나 표류하지 않기 위해서는 500만 충청권의 공조가 절실하다"고 강조하며 "군수로서 모든 역량을 모아 충청의 명운이 걸린 행정도시를 사수하고자 강력히 투쟁할 것"임을 밝혔다.

 

 

행정도시 사수 연기군대책위(공동상임대표 조선평·서종구)는 지난 24일 비상상임위원회를 개최하고 이번 사태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다.

 

대책위는 세종시를 충남도 산하의 특례시로 둔다는 것은 그 자체로 행정도시의 축소라고 보고 강도 높은 대응을 할 방침이다.

 

대책위 홍석하 사무국장은 "행정도시 정상추진은 연기군만의 문제가 아니라 충청권 전체의 문제로 범충청권협의회를 통해 충청권 전체가 함께할 수 있는 다각적인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향후 투쟁계획을 밝혔다.

 

한편 정부와 한나라당이 세종시를 특례시로 규정한 세종시법을 제시한 것에 대해 지역 내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금남면에 사는 박모씨는 "이미 정부 직할로 얘기가 끝난 걸로 알았는데 이게 무슨 소리냐?"며 "이제까지 먼 산만 보고 있다가 엉뚱한 소리를 하고 있다"며 비난했다.

 

조치원읍 정모씨도 "지난 국회 때는 주민들 핑계대고 통과 안 시키더니 이제 주민들은 광역시를 원하는데 특례시라니, 축소시키려는 속이 다 들여다보인다"며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했다.

 

또한 이완구 충남지사가 특례시 안에 환영의 뜻을 밝힌 데 대해서도 비난의 목소리가 거세다. 특히 노무현 정부 시절 연기군 잔여지역 문제를 거론하며 주민 여론을 중시하는 듯하던 이 지사가 이번엔 주민여론과는 정반대인 특례시에 만족한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처사라며 본심이 무엇인지 모르겠다는 반응이다.

 

남면에 사는 임모씨는 "결국 자기 정치적인 입지가 중요한 것이고 지역주민의 목소리는 안중에도 없다는 것이 드러난 것"이라며 허탈감을 나타냈다.

 

민주당 충남도당도 이 지사에게 보내는 공개질의를 통해 "세종시 건설에 정치생명을 걸겠다고 했는데 세종시가 원안보다 축소되어도 건설되었다고 할 것인가"라며 도민의 요구와 다른 충남도의 태도를 비난했다.

 

지역 주민들은 2010년 첫마을 입주를 앞두고 이미 제정되었어야 할 세종시 설치법이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가는 듯한 현 상황에 대해 불안감과 함께, 대통령 공약사항임에도 약속을 지키지 않는 정부와 한나라당에 심한 불신을 나타내고 있다.


태그:#행정도시, #세종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