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내 대학교수의 87%가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가 현 정부 탓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가 부적절했다는 의견을 내놓은 교수도 82%에 달했다.

 

<한국대학신문>이 지난달 29일 전국 4년제 대학교 교수 1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한 결과, "노 전 대통령 서거에 정부 책임이 있느냐"는 질문에 87%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 중에서 "전적으로 정부 책임"이라는 의견을 내놓은 교수가 30%에 달했다.

 

반면, "정부 책임이 아니다"는 의견을 내놓은 교수는 12명에 불과했다. 무응답은 1명이었다. 이에 대해 <한국대학신문>은 "교수들이 '현 정부 책임론'에 압도적인 의견을 드러냈다"고 밝혔다.

 

노 전 대통령 검찰 수사와 관련해서도 설문조사에 응한 교수의 82%가 "부적절했다"고 밝혔다. 이 중 "전적으로 부적절했다"는 의견은 31%였고, 51%는 "다소 부적절했다"고 답했다. 이에 반해 "검찰 수사가 적절했다"는 의견은 16%에 불과했다.

 

또한 교수들의 95%는 노 전 대통령 서거가 향후 정국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내다봤다. 정국 안정을 위한 대안으로는 교수들의 24%가 검찰 독립이라고 밝혔고, 20%는 정부 쪽 사과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내각 총사퇴와 이명박 정부 재신임을 언급한 교수들도 각각 4%였다. 이에 반해 내각 안정을 위한 조치가 전혀 필요하지 않다는 의견은 5%에 불과했다.

 

<한국대학신문>은 "(설문 조사 결과) 정파 간 극단적 대립을 막기 위해 정부가 국민통합을 위한 정치를 펼쳐 줄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많았다"며 "'국민통합' '포용정책' '화합정책' '융화정책' 등을 주문했고, '(노 전 대통령의 서거를)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말아야 한다' '언론 중립'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전국 4년제 대학교 교수를 무작위로 추출해 실시됐고, 수도권 대학교수가 49%, 비수도권 대학교수가 51%였다고 이 신문은 밝혔다. 또한 교수들의 전공 분야는 인문·사회계열이 52%, 이공·예체능계열이 48%였고, 연령대는 50대(56%)·40대(38%)·60대(4%)·30대(2%) 순이었다.


태그:#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명박 정부 책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법조팀 기자입니다. 제가 쓰는 한 문장 한 문장이 우리 사회를 행복하게 만드는 데에 필요한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이나 페이스북 등으로 소통하고자 합니다.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