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축구는 골대 뒤에 있는 가이드의 역할이 중요하다. 가이드의 설명을 통해 위치를 잡은 허석 선수가 슈팅을 날리고 있다.

시각축구는 골대 뒤에 있는 가이드의 역할이 중요하다. 가이드의 설명을 통해 위치를 잡은 허석 선수가 슈팅을 날리고 있다. ⓒ 전진호

전국민의 관심을 모았던 대한민국 국가대표 올림픽 축구팀이 예선탈락이라는 아쉬운 결과를 낳았다. 비장애인 축구의 실패를 만회하려는 듯 베이징장애인올림픽에 출전하는 시각축구 대표팀의 각오는 그 어느 때보다 비장하다.

 

햇볕이 내려쬐는 한낮,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문화센터 이태준 활동가와 함께 시각축구 대표팀이 훈련하고 있는 서울 송파시각장애인 축구장을 찾았다.

 

‘소리로 듣는 축구’라는 제목의 텔레비전 광고에 나오면서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시각축구는 5명(선수 4명, 골키퍼 1명)으로 구성돼 핸드볼 크기의 소리 나는 볼을 이용, 그 소리를 듣고 골을 넣는다.

 

전후반 25분의 경기로 진행되며, 오프사이드 규칙이 없고, 언더핸드 드로우 인이 가능한 것을 제외하면 비장애인 축구 룰과 똑같다. 다만 눈가리개와 머리보호용 패드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며, 수비지역에서는 골키퍼가, 공격지역에서는 골대 뒤의 가이드가 공격수를 박수로 골대의 위치를 알려주고, 자기편이나 상대편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려주지 않으면 파울을 받게 된다.

 

기자가 찾은 날은 주로 패스를 한 후 킥까지 연결하는 연습이 진행됐다. 선수들이 실수를 연발하자, 볼의 위치를 알려주는 가이드의 목소리 톤이 점점 올라가더니만 결국 “뛰면서 볼을 잡으란 말이야!”라는 이 감독의 불호령이 떨어진다.

 

 선수들에게 지시를 내리고 있는 이옥형 감독

선수들에게 지시를 내리고 있는 이옥형 감독 ⓒ 전진호

시각축구 대표팀의 사령탑인 이옥형 감독(시각장애 1급) 역시 국가대표 출신 감독이다.

어떻게 대표팀을 이끌게 됐냐는 질문에 “처음 제가 대표팀을 맡겠다고 했을 때 반대도 많았어요. 어떻게 선수들의 플레이를 전혀볼 수 없는 전맹이 팀을 꾸려나갈 수 있겠냐는 편견 때문이었죠. 하지만 선수들이 저를 믿어줬고, 저 역시 잘할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에 소신을 굽히지 않았죠”라며 씁쓸한 웃음을 짓는다.

 

하지만 대표팀은 일부 관계자의 우려를 코웃음 치듯 지난해 열린 IBSA 아시아 시각장애인 축구선수권대회에서 강호 일본을 격파하며 올림픽 출전권을 따냈다.

 

“아시아권에서는 중국 다음 정도? 아시아 내에서는 그나마 괜찮은 실력인데, 전 세계로 따지면 아직 멀었죠”라고 한국팀의 수준을 설명했다.

 

그도 그럴 수밖에 없는 게, 다른 대표팀과 마찬가지로 두텁지 못한 선수층과 실업팀 부재 등은 시각축구의 발전을 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었다.

 

“세계적인 강호인 브라질을 비롯한 유럽 국가들은 시각축구 클럽리그가 있을 정도로 활성화 됐기 때문에 세계적인 수준을 유지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몇몇 동호회를 제외하고는 뛰는 선수가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어요. 지금은 맹학교에서조차 안 하니...”

 

그렇다면 시각축구 대표팀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뭘까. 의외의 답변이 돌아왔는데, 대표팀의 가장 큰 적은 바로 ‘매미’라고.

 

“이곳 송파시각장애인축구장이 다른 건 다 좋은데, 나무가 울창하다 보니 여름철에는 매미소리 때문에 볼에서 나는 소리를 선수들이 들을 수 없어 훈련을 할 수 없어요. 궁여지책으로 오전, 저녁 훈련은 이곳에서 하고, 낮에는 인근 상무 체육관으로 이동해 훈련받고 있죠.”

 

 코치들과 함께 드리블 훈련을 하고 있는 대표선수들

코치들과 함께 드리블 훈련을 하고 있는 대표선수들 ⓒ 전진호

그나마 시각축구는 히딩크 감독이 한국에 시각장애인 전용 축구장을 건립하는 등 다른 장애인 체육에 비해 좋은 조건이다. 물론 선수수급 등 문제들이 쌓여있지만 ‘다른 걸 포기하는 한이 있어도 좋아하기 때문에 뛴다’라는 선수들이 있고, ‘이들과 함께 세계무대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겠다’는 코칭스태프가 있기에 클럽 대항 시각축구 경기가 열리게 될 날이 꿈같은 이야기만은 아닐 듯싶다.

 

“대표선수를 위한 선택, 후회하지 않는다”

 

시각축구 국가대표 박명수 선수

    

 시각축구 대표팀 박명수 선수와 인터뷰 중인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문화센터 이태준 활동가.

시각축구 대표팀 박명수 선수와 인터뷰 중인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문화센터 이태준 활동가. ⓒ 전진호

- 오래전부터 시각축구를 시작해온 것으로 알고 있다. 처음 시작하게 된 계기가 있다면.

“8년 전, 전맹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각장애인 축구동호회인 ‘소리를 차는 사람들’에 가입하며 축구사랑이 시작됐다. 축구를 통해 생활의 활력소를 얻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축구는 나의 힘이다.”

 

- 경기 중 선수들이 ‘보이’라고 외치는 데 이게 무슨 뜻인가.

“라틴어인데, 우리나라 말로 ‘간다’라는 뜻이다. 공격수와 수비수가 뜻하지 않는 충돌을 막기 위해 자신의 위치를 말하는 국제시각장애인축구연맹 공식 언어다.”

 

- 지난 올림픽에 이어 또다시 대표선수가 됐다. 생활하면서 가장 힘든 점은 뭔가.

“특별히 힘든 건 없다. 물론 생활하면서 어려운 게 없다고는 말 못하겠지만, 어려움을 겪을 정도는 아니다.”

 

- 현재 대표팀 시스템을 보면 메달획득을 위해 3개월이 넘는 기간을 합숙훈련을 하는 등 전업선수나 가능한 엘리트 체육을 다른 직업을 갖고 일을 하다 대표팀 차출이 있으면 일을 그만두고 선수로 뛰는 등 전형적인 사회체육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어 나름 괴리감이 있어 보인다. 박 선수도 올림픽이 끝나고 대표선수를 그만두고 나면 다시 생업에 복귀해야 할 텐데.

“입소 전에 다 정리하고 들어왔다. 대표팀을 그만둔 후가 걱정되는 건 사실이지만, 지금은 열심히 훈련받고 좋은 성적을 거두는 것만 생각하고 있다. 나를 비롯한 다른 선수들도 다 마찬가지인 게, 하고 싶어 하는 일을 본인 스스로 선택해 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후회하거나 걱정에 사로잡혀 있지 않는다. 지원이나 구조적인 문제는 감독님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알아서 할 문제라 생각하고, 지금은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일만 다할 뿐이다.”

 

- 첫 경기는 누구랑 붙나.

“9월 7일 브라질과 경기를 치르게 된다.”

 

- 목표는 어느 정도를 생각하고 있는가.

“아시아에서는 나름 강국이라고 하지만 선수층의 연령대가 높아지고, 실업팀 등에서 체계적인 훈련을 받지 못하다 보니 실력차이가 나는 것은 인정해야 한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메달을 따고 왔으면 좋겠다. 그걸 위해 다른 선수들도 열심히 뛰는 거니까.”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장애인 전문지 <함께걸음>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2008.08.15 13:33 ⓒ 2008 OhmyNews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장애인 전문지 <함께걸음>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베이징장애인올림픽 장애인 시각축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