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브로크백 마운틴>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다름아닌 동성애다. 제이크 질렌홀과 히스 레저의 동성애 장면은 굉장히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보는 이로 하여금 조금의 부담스러움마저 가지게 한다.

그러나 영화를 관람하고 동성애의 관계가 시작되면서 가장 의아스러우면서도 재미있었던 점은 잭이 여성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범해 보이고 적극적인 잭과 말을 잘하지 못하고 요리를 하는 에니스의 관계를 보자면 여성의 역할은 당연히 에니스의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실제 관계에 돌입하면 상황은 급변한다. 또 결혼 후 만남에서도 사랑을 실천하고 희생하며 집착을 보이는 쪽은 잭이다. 이것의 원인은 잭, 에니스 각자가 지닌 다른 인간관계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남성젠더 에니스(오른쪽)와 여성젠더 잭(왼쪽)
ⓒ 2006 FOCUS FEATURES

먼저 에니스와 알마와의 관계에서 원인을 찾아보자. 에니스는 알마와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평범하게 살아간다. 에니스와 알마가 결혼 생활을 유지해 나가는 힘은 교환이론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에니스가 알마에게 제공하는 교환가치는 경제력과 보호의 능력이다. 비록 목장에서 얻는 수입은 시원치 않지만 도시로 이주한 후 알마가 수퍼마켓에서 일하기 전까지는 에니스의 수입이 유일한 경제적 원천이었다. 또한 축제기간 중 불량배들로부터 가족을 보호하는 장면을 통해 에니스의 다른 교환가치인 보호의 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알마가 에니스에게 제공하는 교환가치는 아쉽게도 성적대상, 출산 외엔 그리 눈에 띄는 것이 없다.

 에니스(경제와 보호)와 알마(출산과 성적대상)
ⓒ 2006 FOCUS FEATURES

그렇다면 이들의 갈등은 어떻게 시작되는가? 바로 각자가 지닌 교환가치를 상실함으로 인해 갈등은 시작된다. 먼저 도시로 이주하면서 알마가 직장을 얻게 된다. 이 사실은 알마가 경제적 자립을 이루어 간다는 뜻으로 그만큼 에니스가 지닌 경제적 교환가치의 의미는 퇴색된다.

게다가 에니스가 지닌 다른 교환가치인 보호능력의 경우 잭과의 조우에서 나누었던 키스가 알마에게 들킴으로 상실하게 된다. 즉 '에니스 = 게이'라는 공식이 남성적인 힘, 보호의 능력을 상실케 한다. 또 알마의 교환가치인 성적대상으로서의 능력은 알마가 더 이상 출산을 거부함으로써 상실하게 된다.

에니스에게 있어 알마는 성적대상이자 출산의 도구였기에 이를 거부한 알마는 유일한 교환가치를 잃어버렸다. 이렇게 서로 교환가치를 잃은 관계는 결국 이혼이란 결말로 치닫는다.

두 번째로 잭과 루린의 관계를 보자. 잭과 루린의 관계에서 잭은 일반적인 가정에서 볼 수 있는 여성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들 수 있는 것으로 상향혼(上向婚)[Hypergamy]현상을 들 수 있다. 대체적으로 현대사회에서 일어나는 상향혼은 거의가 여성의 상향혼이다.

즉 사회계급적으로 상위에 있는 남성과 그 보다 아래의 여성이 결혼하는 경우다. 그러나 영화에서 높은 계급을 차지하고 있는 쪽은 루린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가정의 경제적 원천은 남성이다. 그러나 이 역시 루린이 주도권을 쥐고 있으며 전반적인 대외활동은 모두 루린의 차지다. 잭과 루린과의 관계는 에니스와 알마의 관계와는 반대의 모습을 띠고 있다.

 가정에서 역할이 뒤바뀐 잭과 루린
ⓒ 2006 FOCUS FEATURES

언급했던 것처럼 천하태평에 금방이라도 무너져 내릴듯한 트럭을 탄 잭의 모습에서 여성의 젠더를 발견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에니스와의 관계에서 자연스레 잭은 여성의 젠더를 나타낸다. 이 단 한번의 경험을 통해 잭이 여성적 젠더를 갖게 되었다는 것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

물론 그때의 경험이 어느 정도 영향은 미쳤을 것이다. 그러나 각자의 가족관계를 통해 잭의 여성적 젠더가 강화된 것은 분명하다. 에니스는 가족과의 관계에서 남성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했을 뿐만 아니라 그 관계마저 깨져 버렸다. 그렇기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관계 즉 잭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남성성을 회복한다.

반면에 잭은 가족과의 관계를 그대로 유지해 간다. 오히려 가족 안에서 자신의 입지를 점점 굳혀 나간다. 그러나 그동안 학습되어 온 자신의 젠더를 완전히 떨쳐버리지 못한다. 그것을 분출하는 배출구로서 에니스와의 관계는 유지된다.

처음으로 돌아가자. 잭은 왜 여성의 젠더를 가지게 되었을까? 이는 에니스와의 첫번째 관계에서 규정됐다기보다는 이후의 가족관계 속에서 학습된 것이다. 에니스가 잃어버린 남성성과 가족 생활을 통해 점점 강화되어간 잭의 여성성이 발현되는 곳이 잭과 에니스의 동성애 관계라 할 수 있다.

영화 <브로크백 마운틴>을 단순히 동성애 영화로만 치부해서는 안된다. 영화 안에는 다양한 가족관계를 통한 문제제기가 담겨 있다. 출산과 육아, 가사분담의 문제, 가족의 문제 등 현실사회에서 조명해 볼 만한 다양한 인간관계와 가족 이야기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영화 <브로크백 마운틴>은 더 큰 의미를 지닌 작품이라 하겠다.

덧붙이는 글 저의 오마이뉴스, 네이버 블로그에도 함께 실린 글입니다
http://blog.ohmynews.com/delaro/home.asp
http://blog.naver.com/delaro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