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SBS <일요일이 좋다>의 한 코너인 '패밀리가 떴다'의 대본 공개와 관련, 리얼리티 프로그램 논쟁이 한창입니다. 이에 방송작가가 본 이번 사태에 대한 글을 게재합니다. 이와 관련한 찬반 등 다양한 논쟁글을 기다립니다. <편집자말>

방송작가협회 <방송문예> 12월호에 공개된 SBS 예능 프로그램 <일요일이 좋다>의 '패밀리가 떴다'의 방송 대본에 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음성적인 경로로 유출된 것도 아니고 작가협회에서 발행하는 잡지에 정식으로 실린 것인데도 이렇게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으니, 제작진으로서는 적잖이 당황스럽기도 하겠다.

 

평소 <패밀리가 떴다>를 즐겨 보는 시청자의 한 사람으로 이와 같은 논란이 조금 혼란스럽다. '이 정도까지 비난 받을 일인가'라는 생각이 들다가도, '패밀리'들의 자연스런 웃음이 대부분 연출된 것이라는 생각에 묘한 '배신감'이 들기도 한다.

 

그 와중에 <오마이뉴스>에서 흥미로운 기사 하나를 보게 됐다. 김영주 시민기자가 쓴 '리얼'이라고 정말 아무것도 없이 촬영한 줄 알았나라는 기사였다.

 

김영주 기자는 서두에서 직접 현역 방송작가라고 밝혔기에 더욱 관심 있게 읽었다. 공감되는 부분도 있었지만, 이 기사는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핵심'에서 벗어나 있었다.

 

'리얼 프로그램'의 대본, 이렇게 세밀할 줄이야!

 

'리얼 버라이어티'를 표방하는 <패밀리가 떴다>에서 '대본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실망하는 시청자들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 이 기사의 요지다.

 

틀린 말은 아니다. <패밀리가 떴다> 뿐만 아니라 <무한도전>, <1박2일>, <우리 결혼했어요>처럼 '리얼'을 표방하는 모든 프로그램에는 다 대본이 존재한다. 실제로 '국내 최초 리얼 버라이어티'라고 자칭하는 <무한도전>에서는 출연자들의 발언이나 자막 등을 통해 대본의 존재를 여러 차례 밝히기도 했다.

 

그것은 시청자들도 모두 알고 있는 사실이다. '리얼'을 내세운 프로그램이라고 해서 대본이 전혀 없을 거라고 생각하는 시청자는 거의 없다.

 

논란의 핵심은 '대본의 유무'가 아니다. 문제는 공개된 대본의 '세밀함'이다. 이번에 인터넷에 공개된 <패밀리가 떴다>의 대본을 살펴 보자.

 

될 수 있으면 8명 함께 움직여주세요!

죽순 발견하면 하나씩 따서 바구니에 넣으며 이동!

'처음 봐~ 이렇게 생겼구나~ 이거 먹어?' 등의 리액션 요망

 

종신 : 아니~ 지난 번엔 삽질하더니 이번에는 톱질이네~

재석 : 그러니까요~!! 대성아~ 너 죽순 들어봤어?

대성 : 에이~형! 당연하죠.

재석 : 먼데?

대성 : 클럽가면…죽순이, 죽돌이….

재석 : 대성아~!! 너 이러면 안 돼!! 이러니까 우리가 덤앤더머 소리를 듣는 거야!!!

대성 : 전 괜찮은데…형은 싫으세요?

재석 : 아니? 사실은 나도 좋아~ 우리 쫌 잘 맞는거 같애! 암쏘 쏘리 벗 알러뷰~다 그짓말~

대성 : 다 그짓말~

 

<패밀리가 떴다>는 유재석, 이효리, 윤종신처럼 예능에 익숙한 출연자와 김수로, 이천희, 박예진, 대성 등 '예능 신예(혹은 늦둥이)'들이 시골집에서 하룻밤을 함께 지내면서 시청자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는 프로그램이다.

 

출연진들은 <패밀리가 떴다>라는 코너 안에서 각자의 이름(몇 명은 예명이지만)을 직접 사용하고, 마치 카메라가 없는 듯 자연스럽게 행동을 하며 웃음을 유발한다. 일종의 '리얼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프로그램의 대본에 출연자들의 대사와 동선, 리액션까지 친절하게 쓰여져 있다. 원활한 촬영을 위한 '가이드 라인'이라고 하기엔 너무 자세하다.

 

이 지나치게 세밀한 대본은 시청자들이 막연하게 생각했던 '리얼 프로그램 대본'의 범위을 훌쩍 뛰어 넘어버리고 말았다. '대본이 있다'는 것에 실망한 것이 아니라, 영화 시나리오를 방불케 하는 '세밀한 대본'에 실망한 것이다.

 

시청자들은 이번에 공개된 <패밀리가 떴다>의 대본을 통해 '이천희는 엉성하다', '박예진은 씩씩하다', '대성은 장난꾸러기다'와 같이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명제'에 혼란이 생긴 것이다.

 

프로그램의 성격을 좀 더 투명하게 밝혀야

 

시청자들이 '리얼 예능 프로그램'을 좋아하는 이유는, 평소에 접하기 힘든 스타들의 자연스런 모습을 마음껏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최소한의 설정이 있다는 것은 시청자들도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방송국의 예능 프로그램에서도 시청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리얼'을 표방한 프로그램을 대거 선보였고, 몇몇 프로그램은 실제로 큰 재미를 보기도 했다.

 

'진짜'로 만들든, '진짜 같은 연출'을 하든, 그것은 제작진의 선택이다. 그러나 대다수 시청자들이 그 방송을 '진짜'라고 믿고 있다면, 제작진은 좀 더 투명하게 프로그램의 성격을 시청자들에게 밝힐 의무가 있다.  

 

'이 정도의 대본이 있다는 걸 정말 몰랐단 말인가'라며 당황하는 것은 최고의 시청률을 자랑하는 프로그램이 내세우기엔 너무 무책임한 변명이다.

 

 

[최근 주요기사]
☞ 전문가들 "미네르바 체포, 말문 막기위한 것"
☞ 체포된 미네르바, 그 '미네르바' 맞나
☞ 누리꾼들 "주가 3천 간다던 그 사람은 왜 안 잡나"
☞ [댓글] MB가 유포한 허위사실은?  ☞ [댓글] 30대 백수보다 못한 강만수
☞ 중장비업이 고급 일자리? 안해봤음 말을 하지마
☞ 청와대 지하벙커에 붙은 3가지 구호
☞ 올갱이해장국은 다슬기로 끓인다
☞ [포토] 반갑다, 새해 첫 무지개 떴다
☞ [엄지뉴스] 집나간 냉장고, 찾아가세요


태그:#패밀리가 떴다, #패떳대본논란, #리얼 버라이어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