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나는 2009년 지인의 소개로 일본 회사에 취업하면서 일본 생활을 시작했다. 2년 뒤 직장 생활을 일단락하고 일본의 대학원에 진학하게 되었다. 그때부터 학비를 벌기 위해 일자리를 찾아야 했다.

당시 일본에는 <겨울연가>로 시작된 한류붐이 이어지고 있었다. 운 좋게 한 신문사의 문화센터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게 되었다. 학생들은 주로 50대에서 70대까지의 여성들이었는데, 마치 소녀처럼 배움의 기쁨을 느끼시는 모습에 가르치는 보람이 있었다. 
   
한류붐을 일으킨 드라마 <겨울연가>
 한류붐을 일으킨 드라마 <겨울연가>
ⓒ NHK

관련사진보기

 
국문과 출신도 전공자도 아닌 내가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친다는 것에 부담을 느낄 때도 있었지만, 내 나름 한국어의 매력을 전달하고자 수업 준비에 공을 들였다. 

그나마 한국에 있을 때 언론사 취업을 준비했던 경험이 도움이 되었다. 한국어 능력 시험을 두어 번 응시했었는데, 그때 사용했던 책과 자료를 참고해 가며 수업을 준비했다.  

일본 생활을 지속할수록 모국어의 소중함을 느낄 때가 많았다. 한자와 히라가나, 가타가나로 뒤덮인 길거리에서 한국어 간판을 발견했을 때의 기분은, '사막에서 오아시스 발견!'에 비교해도 부족함이 없었다. 우연히 길거리에서 한국어 노래라도 들려올 때면 괜히 눈물이 흐를 것 같이 벅찬 기분이 들었다.

당시에도 일본은 한국인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좋았다. 관광지나 공공시설 등에는 일본어, 영어, 중국어와 함께 한국어가 표시되어 있을 때가 많았는데 대부분 사전을 뒤져 적당히 번역한 조악한 한국어일 때가 많았다. 어떤 간판은 '이것이 말로만 듣던 혐한인가?' 싶을 정도로 한국어 화자(話者)들을 불쾌하게 만드는 것들도 있었다. 
 
일본의 어색한 한국어 표기
 일본의 어색한 한국어 표기
ⓒ 아이치현립대학

관련사진보기

 
이거 혐한인가... 내가 직접 번역에 뛰어들다

대학원 시절 지금의 남편과 만나 결혼하며 일본에 정착하게 되었다. 첫째 아이가 태어났고 재택근무가 가능한 번역일을 시작했다. 내가 계약한 회사는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곳으로 조건도 좋았고 일감도 많은 편이었다. 

백화점, 공항, 관공서, 호텔 등 다양한 고객들로부터 의뢰가 들어왔다. 대학교 홈페이지를 통째로 번역한 적도 있었고, 기업의 사내 신문을 번역하기도 했다. 일본 곳곳에 한국 출신의 유학생, 근로자, 주부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번역을 하고 나면 의뢰인들에 대한 호감도가 올라갔다. 예산을 책정하여 제대로 번역한 한국어를 제공하려는 그들에게서 외국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의 마음을 느꼈기 때문이다. 호텔이나 레스토랑을 이용할 때 나에게 일감을 줬던 곳을 방문하는 것은 내 나름의 보답의 표현이었다. 

'이걸 뭐라고 번역해야 되지?'를 가장 고민했던 것은 음식점 메뉴판이었다. 생소한 식재료나 요리 이름들이 너무 많았다. 내가 술을 전혀 못하는 재미없는 사람이기 때문에, 알코올 이름이 가장 큰 난관이었다. 각종 칵테일과 일본 사케의 이름들을 번역하다 보면 취한 사람처럼 머리가 멍해지고는 했다.

보람을 느낄 때도 많았다. 공항 청사에 들어갈 한국어 전체를 번역할 때도 있었다. 복잡한 공항길을 한국어에 의지해 헤쳐 나가실 관광객들을 떠올리며 정확하고 간략하게 번역하려 노력했다.
 
번역에 참여한 공항의 간판
 번역에 참여한 공항의 간판
ⓒ The Kansai Guide

관련사진보기

 
지자체의 번역 의뢰도 많았다. 쓰레기 분리수거, 양육 상담, 가정 폭력 상담 등에 관한 자료를 번역하는 일이었다. 누군가에게는 절실히 필요한 자료라 생각하면 어느 때보다도 작업 후의 만족도가 높았다.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되고 의뢰의 성격도 바뀌기 시작했다. '손을 소독해 주십시오' '마스크를 착용하십시오' '저희 가게는 코로나 대응을 하고 있습니다' 등 방역과 관련된 의뢰들이 종종 들어왔다.

그즈음 나는 불안감 속에서 둘째의 출산을 준비하고 있었다.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았지만, 번역 일감은 많지 않았다. 첫째는 일본을 찾는 한국인들이 줄었기 때문이었고 둘째는 딥러닝(심화 학습)으로 무장한 기계의 번역 정확도가 올라갔기 때문이었다. 

그즈음 읽었던 신문을 통해 <고용의 미래>라는 보고서에 관해 접했다. 옥스퍼드 대학교의 마이클 오즈번 교수가 2013년 발표한 것인데 AI의 발달로 '20년 이내에 현재 직업의 47%가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는 내용이었다. 

보고서에는 타격을 입지 않는 직군들도 예견되어 있었는데 레크리에이션을 활용한 치료 전문가, 큐레이터, 성직자, 디자이너 등 창의성과 감수성을 요구하는 직업들이라고 분석하고 있었다. 

'소멸될 직업'이라는 번역가... 지금은 AI와 공생 중

번역가의 미래는 어떨까? 전문가들은 문학 등 의역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여전히 인간 번역가의 수요가 있기 때문에, 소멸될 직업은 아니라고 말한다. 벌써 어떤 번역가들은 AI로 초벌 번역을 끝낸 후 자신만의 문장으로 수정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AI 기술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따라 번역가라는 직업의 형태도 변화가 있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AI 시대의 번역가는 어떤 모습일까?
 AI 시대의 번역가는 어떤 모습일까?
ⓒ pixels.com

관련사진보기

 
2023년, 코로나 엔데믹 선언과 함께 일본을 찾는 한국 관광객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그렇다면 요즘 내가 가장 많이 받는 의뢰는 무엇일까? 관광지 안내도 음식점도 아닌, 바로 AI의 번역물을 검수하는 작업이다.

평가 기준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정확성. 단어의 일차적인 의미가 정확히 번역됐다면 문장이 어색해도 10점 만점에 10점이다. 둘째는 유창함이다. 문장 전체의 자연스러움과 전달성을 평가하는 항목이다.

'내가 과연 이걸 제대로 평가한 걸까?' 스스로가 의심스러울 때도 있지만 작업 자체는 꽤나 흥미롭다. AI 덕분에 나에게는 새로운 일감이 주어진 셈이니, 당분간은 AI와 사이좋게 협업하면서 나만의 창의성과 감수성을 계발해가려 한다.

처음으로 해외 땅을 밟은 아이의 긴장감, 갓난 아이를 외국에서 기르는 엄마의 마음. 아무리 뛰어난 AI라도 그 마음을 온전히 이해하지는 못할 터. 나의 번역물에는 그들을 향한 애정과 공감이 가득 담겨있으니 AI보다는 조금 더 '따뜻한 번역'이라 스스로를 위로해 보며. 오늘도 나는 AI를 평가하기 위해 노트북 앞에 앉는다.

태그:#번역가, #AI, #고용의미래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대학에서 영화와 미학을 공부했습니다. 번역을 하고 글을 씁니다. 번역 및 원고 의뢰 36.5.translator@gmail.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