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옛날 우리 수수께끼 문제에 '세상에서 뛰엄질 잘하는 것은?'이란 것이 있다. 또 '넓이뛰기와 높이뛰기 선생은?'이란 것도 있다. 둘 모두 답은 벼룩이다. 벼룩이 뜀뛰기에 탁월하기에 성립된 문제들이다. 그도 그럴 것이 벼룩은 평균 2~3mm 몸길이로 높이 20cm, 거리 35cm를 뛸 수 있다. 몸길이의 100배 이상으로 뛰는 것이다.

우리 민요의 이러저러한 노래에도 벼룩을 같은 맥락으로 표현한 말들이 가사의 일부로 나타난다. '범이면 뛰지, 뛰면 벼룩이지', '벼룩은 작아도 잘만 뛰고, 제비는 작아도 강남을 가고', '벼룩이란 놈은 뛰기를 잘하니 운동장으로 돌려라' 등이 그런 것이다.

벼룩이 높이 뛸 수 있는 이유는 뒷다리의 레실린이라는 단백질 때문이다. 레실린은 고무의 3~4배 정도로 탄력이 높다고 한다. 그래서 벼룩이 몸을 움츠렸다가 뛰는 순간 레실린판이 펴지면서 그 반동으로 높이 뛰어오를 수 있게 되는 것이다.(정보출저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www.korea.kr)
 
벼룩의 뜀뛰기 특기는 레살린이라는 특수 단배길을 가진 긴 다리가 있어 가능하다. Pixaby가 제공하는 무료 이미지
▲ 자기 몸의 100배를 뛰어오르는 벼룩 벼룩의 뜀뛰기 특기는 레살린이라는 특수 단배길을 가진 긴 다리가 있어 가능하다. Pixaby가 제공하는 무료 이미지
ⓒ OpenClipart-Vectors

관련사진보기

 
그러나 속담 속의 벼룩은 뜀뛰기가 아니라 작은 몸집이 부각되어 있다. 예를 들면 몹시 적거나 작은 것을 빗댈 때 '벼룩 오줌만 하다', 또는 '벼룩의 뜸자리만도 못하다'는 말을 한다. 벼룩의 오줌이나 벼룩의 뜸 뜬 자리가 오죽하겠는가? 그야말로 '새발의 피'보다도 못할 것이다.

또 '벼룩 꿇어 앉을 땅도 없다'는 속담도 있다. 발 들여 놓을 틈도 없이 사람이 꽉 들어찬 상황을 말하거나, 농사지어 먹을 땅이 조금도 없음을 빗대어 말할 때 쓴다. 벼룩은 이처럼 몸집이 작아 뜀뛰기의 탁월함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다. 결국은 '뛰어봐야 벼룩'인 것이다.

벼룩은 미미한 미물이다. '뛰어봐야 벼룩'이란 말에도 벼룩을 하찮게 여기는 인식이 놓여 있다. '벼룩이 황소 뿔 꺾겠다는 소리 한다'는 말에도 같은 인식이 들어있다. 벼룩이 황소 뿔을 꺾을 수 있겠는가? 능력이 보잘것없는 주제에 터무니없이 큰소리를 치는 경우를 빗대어 이른 말이다.

벼룩의 이같은 인식으로 인해 그것을 사회적 위상이나 경제적 처지가 낮은 존재에 빗대기도 한다. 잘 알려진 속담 '벼룩의 간을 빼먹는다'는 것도 그렇다. 우리는 이 속담을 매우 어렵거나 약한 사람에게 경제적 피해나 부담을 주었을 때 그 인색함과 야박함을 비난하며 쓴다.

구전동요에도 벼룩을 약자에 빗댄 노래가 있다. '그 벼룩 어디 갔나'가 그것인데 형식도 독특하고 내용도 재미있다. 가사의 형식은 이른바 '말머리잇기'라는 것인데, 앞 문장의 첫 단어를 끌어다 다음 문장을 시작하는 방식이다. 이제 노래를 만나보자.

앗 차차차
벼룩이 뛰었다
그 벼룩 어디 갔냐
걸레 속으로 들어갔다
그 걸레 어디 갔느냐
뒷집개가 물어갔다
그 개는 어디 갔느냐
순사가 잡어갔다
그 순사는 어디 갔느냐
서장이 불러갔다
- 김형주, <민초들의 옛노래-부안지방 구전민요>, 2004, 전북 부안.

벼룩이 쫓기는 상황이 되자 걸레 속으로 뛰어들어 몸을 숨겼다. 그러자 개가 그것을 안듯 걸레를 물어갔다. 이후 개는 순사에게 잡혀가고 순사는 서장에게 불려갔다. 이렇게 벼룩은 개, 순사, 서장의 지배로 넘어갔다. 노래는 약육강식의 연쇄적 지배구조를 보여주며, 최하위 약자를 벼룩으로 비유했다.

순사는 일제강점기에 경찰의 가장 낮은 계급이며, 해방 이후에는 그 직급을 순경이라 했다. 그렇다면, 노래의 순사, 서장은 당시 식민지 백성을 지배하는 일제 권력을 의미하며, 개는 그런 권력에 복무하는 일제의 앞잡이에 해당한다.
 
조선총독부는 1993년 8월 9일 김영삼 대통령에 의해 해체되었다. '공유마당' 제공 이미지
▲ 조선지배권력의 중추-조선총독부 건물 조선총독부는 1993년 8월 9일 김영삼 대통령에 의해 해체되었다. '공유마당' 제공 이미지
ⓒ 셀수스협동조합

관련사진보기

 
상황이 이러하기에 개가 벼룩이 숨어 있는 걸레를 물어 간 대목은 힘들게 삶을 살아가는 당시 민족 성원들을 최전선에서 감시하고 억압했던 일제 권력 앞잡이들의 행태를 빗대어 형상한 것이라 하겠다. 그런데 이 부분에서 한 가지 눈에 띄는 것은 일제 앞잡이를 개에 비유했다는 점이다. 일제의 억압을 견디며 민족 수난기를 살았던 선조들의 친일 앞잡이들에 대한 현실적 감성과 정서를 읽게 한다.

지금 우리는 국가적 위상이 그 어느 때보다도 높은 시대에 살고 있다. 한류라 부르는 문화적 영향력이 강해져 한국어 또한 그 세계적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는 일제에 부합하는 친일적 망언들을 잊을 만하면 다시 듣고 산다.

일제의 잔재 청산이 그리도 어려운 일일까? 구전동요 <그 벼룩 어디 갔나>를 읽다 보니 얼마 전 드러난 국회의원 후보들의 과거 발언들이 떠오르며 마음에 안타까움을 일게 한다.
 

태그:#구전동요, #벼룩속담, #일제강점기순사, #친일망언, #친일앞잡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노래와 문화에 관심을 두면서 짬짬이 세상 일을 말하고자 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