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전쟁 전후, 수많은 민간인은 누가 적인지 알 수 없는 소용돌이에 휘말려 국가로부터 보호받아야 함에도 무참히 희생됐다. 함양군은 지리산과 덕유산을 잇는 지리적 여건으로 빨치산이 활동하는 본거지가 되었다. 1948년 10월 여순사건 이후 공비토벌작전 중 빨치산을 도왔다는 명분으로 함양에서는 민간인 학살사건이 자행되었다.

함양군 읍면 민간인 80여 명을 포함해 보도연맹, 연고지가 밝혀지지 않은 이들까지 포함하면 무고한 희생자가 300여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중 함양민간인 희생사건 86명, 강정금 상해사건 1명, 부산형무소 사건 16명, 국민보도연맹사건 29명, 적대세력사건 29명, 전주형무소사건 2명, 산청·거창 등 민간인희생사건 2명, 서부경남민간인 희생사건 15명, 전북지역민간인 희생사건 1명 총 181명은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진실규명으로 명예를 회복한다. 

하지만 70여 년 아픈 기억을 안고 살아온 유족들의 설움은 아직도 깊기만 하다. 희생자 유족들의 가슴에 응어리진 그날의 진실이 모두 밝혀지는 날까지 우리는 그들의 기억을 붙잡아 둘 의무를 갖게 됐다. 그들의 증언을 기록하는 것은 이르다 하기엔 너무 늦었고 늦었다고 하기보단 다행이었다. 아픈 기억을 들추어내야 했던 힘든 작업이었음에도 증언해 준 유족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함을 전한다.[편집자말]
한국전쟁을 전후한 시기에 전라남도 강진군, 광주시, 목포시, 무안군, 영광군, 영암군, 장흥군, 해남군, 화순군, 경상남도 함양군 등 10개 시군에서 적대세력에 의한 피해자가 발생했다. 1947년 12월 21일부터 1952년 11월 23일까지 적대세력 피해자는 74명으로 추정됐다.

적대세력에 의한 피해사건의 가해 주체는 지방좌익과 빨치산이 대부분이었다. 특히 여순사건으로 파생된 구 빨치산과 지방좌익에 의한 희생사건이 발행하였다. 한국전쟁 발발 이후부터 인민군 점령기(1950년 7~9월 말)에는 분주소에서 활동하던 지방좌익과 인민군에 의한 희생·강제연행 사건이 발생하였고 인민군 퇴각(1950년 10월) 이후에는 지발좌익과 인민군 잔병들이 빨치산이 되어 이들에 의한 희생·상해 사건이 발생하였다.

의사였던 아버지, 인민군에게 총살당해

박경숙씨는 어린 시절을 매우 부유하게 자랐다. 집안이 넉넉하기도 했지만 의사였던 아버지 그늘에서 외동딸로 사랑을 듬뿍 받으며 성장했다.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중학교에 입학하는 딸을 위해 아버지는 서울에서 교복도 맞춰오고 운동화에 구두까지 사 오셨다. 귤, 바나나처럼 귀한 과일이며 생과자도 사다 주셨다. 그 시절 박경숙씨는 남들은 못 누리던 모든 호강을 누리고 살았다.

"그땐 중학교 입학하는 여학생이 15명 정도 됐으려나, 얼마 없었지. 중학교 다니면서도 친구들이 고등학교, 대학 갈 사람은 너뿐이다고 그리 말했는데 난 중학교만 겨우 졸업했지."

박경숙씨의 삶은 갑작스러운 아버지의 죽음으로 송두리째 흔들렸다. 아버지가 돌아가시니 학비를 낼 수 없어서 중학교도 그만둬야 할 형편이었다.

"아버지 없이 할머니랑 둘이 살았는데 굶지는 않았어도 돈이 없잖아요. 은사님이 학비를 내주셨어요. 내가 수를 놓는 재주가 좀 있어서 그런 걸로 돈 벌어가면서 겨우 중학교만 졸업했어요."

의사였던 박경숙씨의 아버지는 서상면에서 공의로 지냈다. 6.25전쟁이 터지자 모두 피난길에 올랐다.

"그때 인민군이 육십령 잿날망으로 내려와서 경찰이며 면사무소 직원들이 싹 다 피난을 가고 서하 파출소까지 인민군이 다 접수하고 있었데요. 우리 아버지는 '나는 피난을 못 간다. 우리 어머님이랑 마누라는 괜찮지만 내가 딸이 하나 있는데 우리 딸을 두고 못 간다'고 딸이 죽으면 안 된다고 했다고."

박경숙씨의 아버지는 딸을 데리러 함양으로 오던 길에 총살을 당했다. 교회 목사님과 장로님과 함께 인민군을 피해 재를 넘어오고 있었는데 배가 고파서 서하에 있는 사돈댁에 들러 밥을 얻어먹고 올라가는 길이었다.

"마을 사람 한 명이 아버지를 인민군에게 넘겨 버렸다고 해요. 아버지가 경찰관, 공무원들이랑 친한 사람이라고 하면서 말이죠. 우리 아버지를 그 자리에서 총살을 시켜버렸어요.

그런데 그 당시 환자와 부상자가 생기니 이남에는 의사도 없냐고 그러더래요. 그래서 당신들이 방금 죽인 사람이 의사라고 하니까 인민군이 의사를 죽게 했다며 아버지를 잡아다 간 사람을 죽이려 해서 그 사람은 도망을 갔다고 해요."


아버지가 돌아가시던 날 박경숙씨는 꿈을 꾸었다. 멋진 양복을 입고 부채를 부치시며 돌아가신 그 자리에 앉아 계셨다고.

"'아버지 왜 거기에 앉아계셔요' 하고 물었더니 여기 참 시원하고 좋아서 앉았다. 그러시는 거예요. 어머니도, 마누라도 있는데 나에게 선몽을 하신 거죠."

다음 날 오후, 서하교회에 다니는 사람이 찾아와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전쟁통이라 어찌하지 못하고 시신을 그냥 가마니로 둘둘 말아서 냇물 가에 바로 묻었다'는 소식을 전했다.

같이 갔던 교회 사람들은 아버지가 산으로 올라오지 않고 총소리가 나서 길로 서하 집으로 올라가서 살 수 있었다. 이후 교회 사람들이 시신을 찾아다 장례를 치러 주었다.

아버지 넘긴 마을 사람, 40년 만에 찾아왔지만
  
박경숙씨는 자신을 공주처럼 키워 준 아버지가 돌아가신 날짜가 언제인지도 모른다며 지금까지 한 맺힌 삶을 살고 있다고 했다. 아버지 돌아가신 날을 똑똑히 알아보려 읍사무소에 갔지만 사망일이 묘를 이장한 날로 적혀 있었다고 했다.

"그때는 내가 외동딸이라서 아들 낳으려고 서모가 한 분 계셨는데 그분이 행정절차 땜에 그리 해놓으신 모양이에요. 서하교회에 알아보러 갔는데 어른들은 다 돌아가시고 그 일을 기억하는 사람이 없었어요."

세월이 흘러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은 박경숙씨에게 친척 어르신이 "억울하게 돌아가신 아버지에 대한 보상을 해준다"며 도장만 가져오라고 했다 한다. 하지만 그녀는 아버지 죽음에 대한 어떠한 보상도 받지 않았다.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그게 뭐라고, 아버지를 잃었는데 그걸로 돈 받는 게 너무 싫었어요."

아버지를 죽음으로 몰고 갔던 그 사람 소식을 듣게 된 것은 40여 년이 지난 후였다. "그 의사한테 딸이 있다고 들었는데 사죄를 하고 평생의 한을 풀어주고 죽어야 된다"며 아버지를 인민군에게 넘긴 그가 함양경찰서에 자수를 하러 온 것이다. 그 소식은 박경숙씨가 아니라 그의 남편에게 전달됐는데, 남편은 세월이 흘렀다며 그냥 돌려보냈다.

"우리 남편이 나를 만나러 와서 나한테 사죄를 한다는 사람을 돌려보냈어요. 내가 아직도 마음에 상처가 커요. 지금도 그게 한이에요."

* 이 기사는 증언자의 구술을 그대로 살리고자 방언을 사용하였습니다. 구술 내용 중 날짜, 나이, 숫자 등에는 구술자의 기억 왜곡이 있을 수 있으며 전체 내용 또한 증언자의 기억을 바탕으로 기록됐습니다.

유족

■ 이름 : 박경숙
■ 희생자와의 관계 : 희생자의 딸
■ 생년월일 : 1936년 1월29일 / 만 87세
■ 성별 : 여
■ 주소 : 함양군 함양읍 함양초등길57-20
■ 직업 / 경력 : 주부

희생자

■ 이름 : 박석성
■ 생년월일 : 모름
■ 사망일시 : 모름
■ 성별 : 남
■ 결혼여부 : 기혼
■ 주소 : 함양군 함양읍 상동(운림리)
■ 직업 / 경력 : 의사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함양뉴스에도 실렸습니다.


#함양민간인희생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언론 젊은신문 함양의 대표지역신문 주간함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