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9일 울산시의회 시민홀에서 울산대학교의 글로컬대학30 본지정을 위한 관계기관 공동 업무협약 및 선언식이 개최된 가운데 김두겸 울산시장, 오연천 울산대학교총장, 이용훈 UNIST총장, 한영석 HD현대중공업 부회장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공동선언 참여기관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9일 울산시의회 시민홀에서 울산대학교의 글로컬대학30 본지정을 위한 관계기관 공동 업무협약 및 선언식이 개최된 가운데 김두겸 울산시장, 오연천 울산대학교총장, 이용훈 UNIST총장, 한영석 HD현대중공업 부회장이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공동선언 참여기관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울산시 제공

관련사진보기

지난 7월 12일 울산대학교를 포함한 15개관이 '글로컬대학30'에 예비지정된 뒤 울산 지역에서는 울산대의 글로컬대학 본 지정을 위해 지역사회가 하나로 뭉치자는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관련 기사 : 울산대 '이차전지 전공' 신설 "입학·취업·정주 선순환 구조에 도움").

29일, 울산 지역사회가 울산대학교의 글로컬대학30 본지정을 위한 관계기관 공동 업무협약 및 선언식을 전국 15개 예비지정기관 중 최초로 진행하면서 그 의지를 재차 나타냈다.

글로컬대학30은 지역·산업계 등과 협력관계를 기반으로 대학-지역의 동반성장을 이끌어 갈 대학을 2026년까지 30개를 선정해 5년간 1000억 원을 집중 지원하는 교육부 사업이라 울산광역시 유일의 4년제 종합대학으로 지역사회와 공생관계인 울산대의 '글로컬대학30' 본 지정을 위해 지역계가 발벗고 나서고 있다.

29일 오전 10시 30분 울산시의회 1층 시민홀에서 열린 행사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기관들이 함께 참여하는 대규모 행사로 열렸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울산대학교의 글로컬대학 지정'은 울산 미래의 중대한 현안이다"라며 "청년 인구 유출을 막고 지역 대학의 거점대학으로 크게 성장할 수 있도록 울산시민 모두가 염원을 담아 응원해 주시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앞서 울산시는 글로컬대학 지정 등 대학지원체계 강화를 위해 지난 7월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울산대학교, 울산테크노파크와 함께 전담(TF)팀을 구성해 실행계획 수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울산대학교도 자체적으로 글로컬대학의 비전과 추진방향 공감대 형성을 위해 5월 15일부터 대학 구성원, 총학생회, 총동문 등을 대상으로 '글로컬대학30 설명회'를 개최했다.

대외적으로도 지역 산업계와 이전 공공기관, 혁신지원기관 등과도 긴밀한 협력을 통해 글로컬대학30 사업(프로젝트)의 중요성과 가치를 공감하고 협력체계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

울산시는 "울산은 최근 에쓰오일 석유화학복합시설 건설, 현대차 전기차 전용 공장 신설,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등 산업 인재 수요가 증가하면서 울산지역의 맞춤형 인재양성과 연구 기반(인프라) 조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라며 "그래서 울산대학교의 글로컬대학30 지정에 울산 지역사회 전체가 사활을 걸고 있는 이유"라고 밝혔다.

한편, 이 행사에는 김두겸 울산시장과 김기환 울산시의장을 비롯해 오연천 울산대학교 총장 등 24개 기관의 대표와 시의원 등 약 3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축사, 오연천 울산대총장의 글로컬대학30 울산대 이상(비전) 설명, 공동 추진기관 업무협약 및 공동 협력기관 공동협력 선언 등으로 진행됐다.

이날 체결한 업무협약에 따라 공동 추진기관인 울산시와 울산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UNIST), HD현대는 기관 간 교류체계 구축하고,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주요 협약 내용은 ▲글로컬대학30 추진을 위한 사업 연계 및 협력 ▲미래 신(新)산업 대학원 신설 및 운영 ▲기관 간 인적자원 교류 등 혁신적 인사 제도 운영 ▲지역산업육성을 위한 기금조성 등이다.

업무협약에 이어 울산시를 비롯한 공동 추진기관, 지역대학, 서울아산병원, 울산대학교병원, 울산상공회의소, 이전 공공기관, 혁신지원기관 등 24개 공동 협력기관이 울산대학교의 글로컬대학 본지정을 위해 공동협력을 선언했다.

태그:#글로컬대학 울산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