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전쟁 전후, 수많은 민간인은 누가 적인지 알 수 없는 소용돌이에 휘말려 국가로부터 보호받아야 함에도 무참히 희생됐다. 함양군은 지리산과 덕유산을 잇는 지리적 여건으로 빨치산이 활동하는 본거지가 되었다. 1948년 10월 여순사건 이후 공비토벌작전 중 빨치산을 도왔다는 명분으로 함양에서는 민간인 학살사건이 자행되었다.

함양군 읍면 민간인 80여 명을 포함해 보도연맹, 연고지가 밝혀지지 않은 이들까지 포함하면 무고한 희생자가 300여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중 함양민간인 희생사건 86명, 강정금 상해사건 1명, 부산형무소 사건 16명, 국민보도연맹사건 29명, 적대세력사건 29명, 전주형무소사건 2명, 산청·거창 등 민간인희생사건 2명, 서부경남민간인 희생사건 15명, 전북지역민간인 희생사건 1명 총 181명은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진실규명으로 명예를 회복한다. 

하지만 70여 년 아픈 기억을 안고 살아온 유족들의 설움은 아직도 깊기만 하다. 희생자 유족들의 가슴에 응어리진 그날의 진실이 모두 밝혀지는 날까지 우리는 그들의 기억을 붙잡아 둘 의무를 갖게 됐다. 그들의 증언을 기록하는 것은 이르다 하기엔 너무 늦었고 늦었다고 하기보단 다행이었다. 아픈 기억을 들추어내야 했던 힘든 작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증언해 준 유족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함을 전한다.[편집자말]
국민보도연맹은 정부에 의해 결성·운영되는 관변단체였으며, 가맹 대상자들은 자발적 의사보다는 대부분 정부의 강제적·폭력적 행정집행 절차를 거쳐 가입되었다. 애초 좌익경력자가 국민보도연맹의 주요 가입대상이었으나 그 규정이 광범위하고 자의적이어서 좌익관련자들 뿐만 아니라, 정부에 비판적인 인사는 물론 무고한 국민들도 상당수 가입되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거창·산청·함양지역 국민보도연맹원 등 예비검속자들이 거창·산청·함양경찰서 소속 경찰에게 1950년 7월경 집단 사살되었다. 이들은 관할 경찰서(지서) 소속 경찰에게 연행되거나 소집통보를 받고 출두하였다가 경찰서 유치장, 지서, 상업은행창고, 양조장창고 등에 구금되었고 집단 사살되었다.

이 사건의 희생자들 중 일부는 좌익활동 경력이 있었던 자수 전향자였고 일부는 좌익활동과 무관한 남성들로서 대체로 20~40대의 농업에 종사하는 비무장 민간인이었다.

희생자 유족들은 1950년 7월경 함양군 석복면 난평리 복골, 수동면 화산리 밤나무 숲, 함양읍 백연리 두재고개, 지곡면 보산리 가운데고개 등에서 총살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순진하니 시키는대로 했지, 보도연맹인지도 몰라"

눈 감으면 얼굴이 나오는 것처럼, 생각만 하면 그려지는 카메라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평생 아버지 얼굴을 모르고 산 게 너무 억울해서 조정현 유족은 그런 상상까지 해보았다.

"아버지 아는 사람이 있으니 얼굴만 기억해도 사진으로 나오게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6.25전쟁 때 모두 불타버려 아버지 사진 한 장이 없다. 그때 나이 네 살, 형제도 없이 외동아들로 자랐다.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는 어머니나 어른들을 통해 들은 게 전부다. 아침에 대창을 가지고 지곡 지서로 오라고 하여 훈련받으러 가는 줄 알고 갔는데 돌아오지 않았다.

"석복 사람들이 보니까 사람을 묶어서 가더래요. 냇물을 건너게 해서 건넜더니 이미 구덩이를 크게 파놨고 거기 쭉 세워서 총으로 쏴 죽인 거예요. 거기 동네사람들이 봤대요."

아버지를 찾아 나선 어머니는 복골에서 피투성이가 된 사람들 속에서 당신이 입혀 준 옷을 입고 있는 남편을 보았다. 함께 간 집안 어르신이 아버지 시신을 모셔와 선산이 있는 두재고개에 묘를 썼다. 이후 조정현씨는 아버지 묘를 멋지게 다시 쓰려 했지만 묘에 손을 대지 말라는 어르신들 말씀에 그만 두었다.

조정현씨는 아버지뿐만 아니라 큰아버지 또한 지서까지 같이 갔으나 시신을 찾지 못해 행방불명 되었다.

"경찰이 왜 민간인을 끌고 가서 죽였는지 억울해 죽겠어요. 이장이 도장 주라 하면 주고 할 때라서 내가 보도연맹인지 뭔지도 모르고 간 사람이 수두룩할 꺼예요. 그 당시만 해도 사람들이 영리하지가 못하고 순진하니 시키는 대로 했지. 오라고 하니 그냥 아침 먹고 간 거지요. 훈련받으러 가는 줄 알고. 아침에 거기 안계셨으면 안돌아 가셨을 텐데..."
  
열여덟에 시집 온 어머니는 이후 재가를 하였고 조정현씨는 할아버지, 할머니 손에 자라다가 어머니 곁으로 와 성장했다.

"처음에 나는 안의 황대에 계시는 할머니, 할아버지 따라가서 살았는데 학교가 너무 멀었어. 학교를 제대로 못 다니고 중간에서 놀고 한기라. 그래서 함양에 어머니 있는 곳으로 가서 살게 됐어요."

조정현씨는 여관을 운영한 어머니를 돕다가 서울에서 삼년 가량 머물렀다.

"그때 김신조가 내려왔어요. 그 시기에 내가 서울에 있었거든. 어머니가 전화가 오기를 거기 있으면 죽으니까, 넌 죽으면 안된다고 내려오라고 했어요. 그래서 함양으로 다시 피난을 내려온 거예요."

이후 그는 이모님 댁에서 지금 하고 있는 수산업 관련 일을 시작했다. 아버지가 되고 나니 외롭게 살아온 자신이 투영돼 자식들이 더 애틋했다. 남에게 손 하나 벌리지 않고 혼자 일구고 나니 뿌듯함이 남아있다는 조정현씨의 삶이다.

* 이 기사는 증언자의 구술을 그대로 살리고자 방언을 사용하였습니다. 구술 내용 중 날짜, 나이, 숫자 등에는 구술자의 기억의 외곡이 있을 수 있으며 전체 내용 또한 증언자의 기억을 바탕으로 기록됐습니다.

유족

■ 이름 : 조정현
■ 희생자와의 관계 : 희생자의 아들
■ 생년월일 : 1947년 10월 23일 / 만 76세
■ 성별 : 남
■ 주소 : 함양군 함양읍 용평1길 13
■ 직업 / 경력 : 농업

희생자

■ 이름 : 조문옥
■ 생년월일 : 1923년생
■ 사망일시 : 1950년
■ 성별 : 남
■ 결혼여부 : 기혼
■ 주소 :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 270
■ 직업 / 경력 : 농업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함양뉴스에도 실렸습니다.


태그:#함양민간인희생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언론 젊은신문 함양의 대표지역신문 주간함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