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완도신문

관련사진보기


묘당도는 언제 생겨난 지명일까? 노량해전 당시 고금도진에 월송대는 존재했을까? 

이순신이 적탄을 맞고 전사한 전남 완도군 고금면 고금도 월송대에 80여 일 동안 시신이 안치되었다는데, 사실일까? 완도군이 역사적 고증을 통해 정유재란 당시 고금도의 상황을 재정비하는 의미 있는 행사를 진행했다. 

'완도 고금도 삼도수군통제영과 통제사 이순신' 학술행사가 지난 14일 고금면사무소에서 개최됐다. 이순신은 정유재란 시기인 1598년 2월 17일 고금도에 삼도수군통제영을 설치하고 수군을 정비했고, 7월 16일 진린과 명나라 수군과 최초로 조명 연합 수군을 결성했다.

이순신의 조선 수군과 진린의 명나라 수군은 고금도에서 연합군을 결성한 후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에서 승리를 이끌고 7년 전쟁을 마무리한 역사적 현장에 완도 이순신 기념관이 건립된 것. 

완도군 고금면 덕동리에 지난 4월 28일 개관한 완도 이순신 기념관은 이순신 장군의 고금도에서 활동을 재조명하는 조명 연합 수군의 의미와 활동에 대한 특별전도 전시했다.

하삼도(下三道).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를 아울러 하삼도라고 부른다. 조선은 삼도수군통제사를 신설했다. 삼도수군통제사는 지금의 해군 참모총장에 해당하며, 하삼도의 수군을 통솔하는 총사령관이다. 

권한 자체는 하삼도 수군이지만, 조선의 주적인 왜를 방어하는 군대이기에 조선 수군 전체나 마찬가지다.1593년(선조 26년) 8월, 왜의 대륙침략으로 점령당한 평양과 한성을 수복한 이후 조정에서는 왜의 해상 퇴로를 차단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그래서 조선 수군에 수군통제사라는 새로운 직제를 만들었다. 초대 수군통제사에는  전라 좌도의 수군절도사 이순신(李舜臣)을 임명했다.

이는 전 수군을 통솔할 지휘관이 없어 왜적의 침입에 즉각 대처할 방어 태세를 갖추지 못했고, 연합 함대를 구성한 후에도 각도 수사(水使)가 도별로 선단을 지휘하는데, 선단 간의 의견이 상충하여 효과적으로 전국을 운영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이순신에게 수사 이하 지휘관들이 명령을 이행하지 않을 때 군법으로 처벌할 수 있는 지휘권이 부여된 것이다.

월송대의 이순신, 검증과 고증
 
ⓒ 완도신문

관련사진보기



이순신은 명량대첩을 승리로 이끈 뒤 군산 앞바다의 고군산도까지 올라갔다가 해로를 따라 다시 내려와 1597년(선조 30) 10월 29일에 고하도로 진을 옮겼다. 고하도는 서남해안의 바닷길과 영산강의 내륙 수로가 연결되는 지점으로 지리적으로도 중요한 곳이다.

고하도는 서북쪽이 병풍처럼 높이 솟아 있어 북서풍을 막는 구조였고 배를 감추기에도 적합했다. 

이순신은 그곳에서 수군 재건에 필요한 전선을 건조하고 군량 모집을 계속했다. 하지만 서해 쪽으로 치우쳐 있어서 남해의 해상 활동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섬이 작아서 곡물 생산량이 적었고, 유입된 백성을 수용할 공간이 부족했다. 그래서 이듬해 1598년(선조 31) 2월 17일 완도의 고금도로 통제영을 옮겼다. 

수군통제사가 지휘하는 곳을 통제영(統制營)이라 하는데, 조정에서는 통제영을 한산도가 있는 경남 통영에 먼저 두었다. 칠천량 해전 때 한산도 통제영은 두 번째 통제사 원균의 실패로 파괴되었고, 명량 해전으로 다시 통제사가 된 이순신이 수군을 재건하면서 완도 고금도에 통제영을 설치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잠시 여수의 전라 좌수영이 통제영을 겸하다가 1601년 경상 우수사 이시언이 통제사를 겸직하면서 두룡포(頭龍浦, 통영시)로 옮겼다. 이후 1895년 7월에 폐지될 때까지 300년간 이어졌고, 통제영이 있는 동안 208명의 수군통제사가 그 자리에 올랐다.
 
ⓒ 완도신문

관련사진보기


완도 이순신 기념관 개관을 기념하기 위해 개최된 이번 학술행사는 '완도 고금도 삼도수군통제영과 통제사 이순신' 주제로 완도 이순신 기념관 개관을 홍보했다. 이순신과 고금도의 역사적 의미를 고찰, 조명 연합 수군의 의미와 활동을 재조명하며, 고증과 가치 있는 연구들이 심도 있게 이루어져 고금도가 재조명되고 완도와 고금도에 있는 이순신 장군 관련 유적지가 역사 문화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점이 크다.

학술행사에 앞서 완도 이순신 기념관과 충무사와 월송대를 관람하고 답사한 후 주제 발표와 종합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학술행사를 통해 정유재란 시기 고금도 통제영에서의 이순신 장군과 명나라 수군의 활동, 전쟁 직후 고금도에서 있었던 무과(武科) 과거 시험의 시행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시간도 마련했다.

또한, 고금도진의 공간 구성을 검토하여 유적을 의미를 되새겼고, 월송대에서 이순신 장군의 장례 행적을 학술적으로 검토하고 고증한 뜻깊은 자리였다. 

아쉬운 대목은 완도 이순신 기념관의 전시된 내용에서 고금도와 연계한 주제가 무엇인지, 이순신과 관련한 우리 지역의 주변 인물은 누가 있는지, 이순신 관련 자료는 전국에 많은데 특별히 고금도를 부각할만한 전시가 부족하다는 여론이 많다. 

이순신의 바다, 마지막 온 힘을 기울여 구국의 혼을 불태웠던 완도 고금도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올까? <다음 편에서 계속됩니다>

정지승 문화예술활동가

덧붙이는 글 | 글쓴이는 정지승 문화예술활동가입니다. 이 기사는 완도신문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이순신, #고금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완도신문은 1990년 9월 자본과 권력으로부터 자유롭고, 참 언론을 갈망하는 군민들의 뜻을 모아 창간했다. “진리는 반드시 따르는 자가 있고 정의는 반드시 이루는 날이 있다”는 사훈을 창간정신으로 자본과 권력으로부터 자유로운 언론의 길을 걷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