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웃하는 나라인 일본과의 관계가 갈등으로 치닫은 지 오래다. 정치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갈등의 골이 깊어져 가면서 보편적 가치인 평화를 통해 이웃이라는 공동체가 사라져 버린 것이다.

원인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로써 가해자가 가한 행위에 대해 사과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피해자는 용서할 준비가 되어 있고, 또 용서하였으나 가해자는 무책임을 넘어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라는 모순된 억지 주장을 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일 기미년 3.1독립만세투쟁을 시작으로 항일독립투쟁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지 104주년을 맞이했다. 그간 국내에서는 과거 식민지의 아픔을 넘어 독립을 향한 치열한 투쟁의 역사를 발굴하고 정신을 계승하여 역사적 교훈을 얻기 위해 노력해 왔다.

지난 2019년 3.1독립만세투쟁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을 계기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의 정신을 기리는 여러 사업을 진행했으나 이후 빠르게 수그러지며 항일(抗日)과 독립(獨立)의 정신을 계승하는 사업은 사라지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광역 지방자치단체 중 항일독립투쟁과 관련하여 '기념사업'이나 '유적 발굴 및 보존', '탐방 지원' 등에 관한 조례는 광주광역시와 경기도, 경상남도, 전라남도, 서울시, 충청남도 등 6개 도시가 제정되어 있다.

2015년은 전국에서 처음으로 경기도의회에서 '항일운동 유적 발굴 및 보존에 관한 조례'가 도의원(대표 발의 이재준 전 고양시장)의 발의로 제정·공포(2016. 5. 17.)되어 사라져 가는 항일독립투쟁의 역사를 조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친일청산의 방어적 역사를 넘어 항일의 자주적 역사 정의로 전환하고자 한 것이다.
경기도는 이재준 당시 도의원이 발의한 '항일운동 유적 발굴 및 보전 조례'를 근거로 하여 2017년부터 '경기도 항일독립운동 문화유산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257건(건조물 38건, 터/지 181건, 현충시설 38건)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재준 당시 도의원(전 고양시장)은 "한 나라의 미래는 아픈 역사에서 교훈을 찾아서 미래를 준비하는 것인데 무관심과 각종 개발로 항일독립투쟁의 역사가 사리지고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독립투쟁의 역사를 발굴하고 교훈을 찾는 시급성을 느껴 조례를 대표 발의하였다"며 전국 최초의 항일독립투쟁에 대한 유적지의 발굴과 보존에 대한 조례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이재준 전 의원은 조례 발의에 앞서 친일잔재의 청산을 위한 조례와 항일독립투쟁에 대한 조례를 고민하다 고위 관료와 정치인이 팔아먹은 역사가 아닌 백성들이 지키고 이룬 항일독립투쟁의 역사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조례를 발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기도 관내 항일 유적지 안내 및 표지판 설치 현황도
▲ 항일 독립 투쟁 유적지 안내판 설치도 경기도 관내 항일 유적지 안내 및 표지판 설치 현황도
ⓒ 경기문화재단

관련사진보기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은 조례를 근거로 항일독립투쟁과 관련한 실태조사 보고서를 기초로 하여 2018년에는 29개 시·군에 안내판 62개와 표지판 20개를 설치하였고, 2019년에도 안내판 59개, 표지판 25개를 설치하여 경기도 관내 항일독립 투쟁 유적지를 도민에게 알리며 순국선열의 고귀한 희생정신을 되새길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두 해 동안 설치된 항일 투쟁 유적지는 1919년 3.1독립만세투쟁 지역과 의병투쟁지, 그리고 학생들의 동맹 휴학지, 의거지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경기도청 문화유산과 김선미 학예사는 "잊혀지고 사라져 가는 항일운동유적지에 안내판을 설치하는 작업은 인허가와 고증작업 등 힘들고 어려웠지만 도와 경기문화재연구원의 노력으로 항일 독립운동의 정신을 되새기는 의미 있는 기억장치를 마련할 수 있었다"며 당시 상황을 설명하였다.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의 항일독립 유적 발굴 사업은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 사업시 전국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천시 창천청소년 문화의집 입구에 있는 항일 독립 투쟁 안내판
▲ 항일독립투쟁 유적지 안내판 이천시 창천청소년 문화의집 입구에 있는 항일 독립 투쟁 안내판
ⓒ 박진우

관련사진보기

 
민족문제연구소 방학진 실장은 "항일독립투쟁의 유적이 가장 많은 곳이 경기도이고, 항일의 역사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알리는 사업을 하는 지방자치단체 중 전국에서 경기도가 유일하다. 이러한 사업은 한일 양국의 역사를 성찰하는 계기로 확대 되어야 한다"며 항일 유적지 발굴 사업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태그:#항일, #독립, #친일잔재, #임시정부, #항일운동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헌법에 보장된 정의의 실현은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과정이라 생각하며, 주권자로서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실천하는 시민들의 다양한 노력이 지속될 때 가능하리라 믿는다. 지방자치는 민주주의를 완성하는 토대이며,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들의 조직된 힘'이라 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