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튀르키예 남부 광역 하타이 도심이 지진 발생 다음날인 7일(현지시간) 폐허로 변해 있다. 전날 시리아와 인접한 튀르키예 남동부에서 규모 7.8, 7.5의 강진이 잇따라 발생해 지금까지 양국 사망자 수가 8천100명을 넘어섰다. 세계 각국이 구조활동에 나서고 있지만, 지진으로 도로가 파괴되고 악천후마저 겹쳐 활동이 더뎌지고 있다.
 튀르키예 남부 광역 하타이 도심이 지진 발생 다음날인 7일(현지시간) 폐허로 변해 있다. 전날 시리아와 인접한 튀르키예 남동부에서 규모 7.8, 7.5의 강진이 잇따라 발생해 지금까지 양국 사망자 수가 8천100명을 넘어섰다. 세계 각국이 구조활동에 나서고 있지만, 지진으로 도로가 파괴되고 악천후마저 겹쳐 활동이 더뎌지고 있다.
ⓒ AP=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튀르키예(터키)에서 규모 7.8의 강진으로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튀르키예 지자체와 자매결연한 한국 내 지방정부들의 지원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 지진 직전 교류차 튀르키예로 연수를 다녀온 충남지역 정치인들도 이렇다 할 움직임이 없어 피해구제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충남시군의회의장단 14명(충남시군의회 의장협의회, 의장 정도희 천안시의회의장)과 수행원 21명 등 35명은 지난 달 31일부터 지난 6일까지 튀르키예에 머물렀다. 전체 두바이·튀르키예를 방문하는 7박 10일간 일정 중 튀르키예 일정이 7일로 가장 많았다.

당시 의장단 일행은 튀르키예 참전용사 공원과 KOTRA 이스탄불 무역관, 튀르키예 환경단체, 이스탄불 요양원, 뷰첵메제시 등을 방문하고 교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후 의장단이 귀국길에 나선 지난 6일(현지 시각) 강진이 발생, 8일 기준 사망자가 9057명, 부상자가 5만2979명 발생했다.

그러나 튀르키예와의 교류 협력 강화를 약속했던 의장단은 강진 피해가 발생한 지 나흘이 지난 9일 현재까지 관련 공식 의견이나 구원 성금 모금 등 지원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충남시군의회의장협의회 관계자는 "지원방안과 관련한 얘기가 나오고 있다"면서도 "아직 관련 논의를 한 적이 없어 지원방안은 마련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자매결연도시가 지진발생지역과 멀어 안 도와도 된다?

천안시는 튀르키예 뷰첵메제시(인구 약 20만여 명)와 2009년 교류를 시작, 2013년 정식으로 협약을 체결해 우호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해 8월에는 천안시 대표단이 '제23회 뷰첵메제 문화·예술 축제'에 참석해 문화·교류 체결 12주년을 기념했다.

천안시 관계자는 "뷰첵메제시는 지진 발생지역과 1000km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어 지진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지난 7일 시장님께서 뷰첵메제시장께 서한문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이어 "튀르키예 지난 피해민을 위한 지원대책에 대해서는 아직 마련된 계획은 없다"고 덧붙였다.

대전시는 지난 해 10월 튀르키예 콘야시와 우호 도시 협약을 체결했다. 콘야시는 튀르키예 중부에 위치한 곳으로 인구는 대전과 비슷한 140만 명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진 발생 후 콘야시 측과 확인해보니 지진 발생지역과는 약 440km 떨어져 있어 별다른 피해는 없다"며 "때문에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이런 가운데 튀르키예외의 자매결연도시가 직접 피해를 당하지 않았더라도 튀르키예 지진 피해의 아픔과 고통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전충남인권연대 관계자는 "튀르키예는 6.25전쟁 당시 한국에 연인원 2만 명 이상의 병력을 보내고 한국의 전쟁고아들을 위해 자국 수도의 이름을 딴 '앙카라 고아원'(안카라 학원)을 세우기도 했다"며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정부가 더 적극적인 구호와 피해구제를 위한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8일 지진피해 지원을 위해 110여 명의 긴급구호대와 의약품 등 구호물품을 튀르키예로 보냈다.

태그:#충남시군의회의장협의회, #천안시, #대전시, #튀르키예, #지진피해
댓글7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우보천리 (牛步千里).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듯 천천히, 우직하게 가려고 합니다. 말은 느리지만 취재는 빠른 충청도가 생활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