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수도권매립지 토양에서 세균 5189종의 유전자 정보를 최근 확보했다.

미생물은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현재 생명공학 산업에서 이용되는 핵심 소재 중의 하나이다. 세계 각국은 고부가가치 신기능 미생물 종 자원 확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고 국제간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따라서 수도권 매립지에서 다량의 세균종을 발견한 것은 유의미한 일로 평가되고 있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자생생물 조사-발굴사업의 하나로 올해 1월부터 최근까지 '오염토양 서식 원핵생물의 다양성 조사 및 미발굴종'을 탐색해왔다. 이 사업의 결과로 수도권 매립지 토양에서 사는 5189종의 유전자 정보를 확보한 것이다.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에 따르면 매립지에서 채취한 토양에 대해 차세대 염기서열(유전자) 분석법(NGS)으로 세균의 다양성(마이크로바이옴)을 조사한 결과, 5189종의 서식 가능성을 확인했다. 약 73%의 종들은 유전자로만 확인되었을 뿐 현재까지 종의 정체가 파악되지 않은 세균들로, 새로운 세균의 발견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이 확인됐다.

환경부가 낸 보도자료에 따르면 "특히 수도권 매립지 토양에는 월등한 비율로 차지하는 우점 속(屬)은 없으나 일반적인 토양환경에서 발견하기 힘든 스핑고모나스(Sphingomonas, 최대 8%), 하이드로제니스포라(Hydrogenispora, 최대 5%), 메틸로박터(Methylobacter, 최대 4%), 아스로박터(Arthrobacter, 최대 4%), 리소박터(Lysobacter, 최대 4%) 등의 구성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중 스핑고모나스는 생분해‧합성 능력으로 생명공학기술에 이용되며, 하이드로제니스포라는 다양한 당 발효에, 메틸로박터는 메탄산화, 아스로박터는 아미노산 생산, 리소박터는 식물병 억제의 능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진은 또 "바이오연료 생산에 이용 가능한 세균들도 확인했다"면서 "이번에 확인한 세균 서식 정보를 토대로 미생물 발굴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향후 유용 미생물의 발굴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산-학-연 등 연구자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태그:#세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