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09년 <굿모닝 학교>를 넘어라

09년을 넘어라
▲ 10년 <굿모닝 학교> 09년을 넘어라
ⓒ 학전

관련사진보기

아내가 쓴 뮤지컬 <굿모닝 학교>가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대학로 학전에서 11월 19일부터 12월 26일까지 공연 중이다. 작년 한 해, 아내가 아이를 품은 채 고생하며 쓴 작품의 2010년 버전.

처음 굿모닝 학교가 올해에도 공연된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는 그냥 그런가 보다 했었다. 어차피 MB 정부의 교육정책이 달라진 게 없을 터, 뮤지컬이 작년과 그리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의 예상과 달리 아내는 <굿모닝 학교>의 두 번째 버전에 대해 6개월 동안 또 고민에 고민을 거듭했다.

아내는 우선 교육환경이 바뀌었음을 지적했다. 비록 똑같은 MB 정부지만 올해 지방선거에서 서울·경기 지역의 곽노현과 김상곤 등 소위 진보적인 교육감이 등장함으로써 일선 학교의 교육조건이 바뀌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무상급식으로 불붙은 진보-보수 간 갈등이 학교 현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을까?

또 다른 아내의 고민은 작년에 뮤지컬을 본 학생들의 한결 같은 지적으로부터 비롯되었다. 뮤지컬 내용이 전체적으로 무겁다는 학생들의 총평. 그것은 결국 작년 <굿모닝 학교>의 감수성이 너무 80년대식이지 않았느냐는 자체적인 문제의식과 맞닿아 있었다. 비록 촛불집회의 영향이라고는 하지만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시위를 하고 중학교에 경찰까지 들어와서 진압하는 건 좀 오버가 아니냐는 자아비판.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다시 시작한 10년 <굿모닝 학교>. 과연 <굿모닝 학교>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한결 가볍고 따뜻해진 <굿모닝 학교>

뮤지컬 <굿모닝 학교>는 작년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좀 더 가벼워져 있었다. 러닝타임 3시간이 2시간으로 줄은 건 차치하고서라도, 중3에 어울리지 않았던 등장인물들의 행동과 생각이 많은 부분 정리되어 있었다. 교실에서의 이야기는 좀 더 밝고 유쾌했으며, 학생들은 가볍고 쾌활했다. 작년보다 더 자주 크게 터지는 관객석의 웃음소리.

학교가는 버스에서부터가 벌써 고역이다
▲ 지친 아침 학교가는 버스에서부터가 벌써 고역이다
ⓒ 학전

관련사진보기


올해 뮤지컬이 가벼워졌음은 특히 2막에서 가장 잘 드러났다. 2막의 내용은 전교 1등을 하던 재단 이사장 딸 민이가 시험지 유출 사건을 계기로 자살을 하자(1막) 이를 계기로 반 친구들이 합심하여 진실을 밝히고 현 교육체제에 대해 비판하는 내용을 다루고 있었는데, 그 방법이 180도 달라진 것이다. 

민이 죽음의 진실을 알리기 위해 학교에서 시위를 했었던 작년과 달리, 거리로 나가 상황극을 벌이며 좀 더 나은 교육 환경을 주장하는 학생들. 깃발을 들고 구호를 외치기보다는 각각 선생님과 학생으로 분해 자신의 처지를 시민들에게 알리고 동의를 구하는 학생들의 모습은 분명 작년보다 가벼웠고 좀 더 현실적이었다.

조금은 낯설은 나의 과거
▲ 교실 풍경 조금은 낯설은 나의 과거
ⓒ 학전

관련사진보기


또한 이번 <굿모닝 학교>는 작년보다 공교육의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었다. 작년에는 사교육에 찌든 학생들을 포용하기는커녕 그들의 투쟁의 공간으로만 존재했던 학교 교실이, 올해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기댈 수 있는 공간으로 변모한 것이다.

무능력하고 독하기만 한 공교육의 상징 독사 선생이 운동 실패 이후 모든 걸 포기했던 준혁 선배를 붙잡고 초등학교 4학년 산수부터 가르쳤다는 에피소드는 의미심장하다. 아무리 학교가 지긋지긋하다지만 우리들 모두는 그 속에서도 우리를 진심으로 아끼고 격려해주던 선생님 한 분쯤은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청년 백수 준혁 선배의 등장은 향후 <굿모닝 학교>가 그 내용을 확장해 나가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다. 이렇게 죽어라 공부해봤자 지금의 학생들이 도달할 결론은 결국 청년 백수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올해 <굿모닝 학교>가 교실 내에서 끝을 맺은 것은 상징적이다. 그 장면에는 교실 밖에서 더 큰 세상을 그리며 끝맺음했던 작년과 달리 공교육에서 희망을 보고 싶은 연출진의 간절한 소망이 묻어났기 때문이다.

그래도 아쉬운 <굿모닝 학교>

작년보다는 훨씬 정리된 느낌의 <굿모닝 학교>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뮤지컬은 작년에 이어 분명한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다름 아닌 1막과 2막 간의 단절성.

뮤지컬은 1막에서 우리의 공교육을 정말이지 신랄하게 비판한다. 교육을 통해 사람을 키우기는커녕 한 소녀를 자살로 몰아넣는 이 극악한 시스템을 차가운 눈으로 바라본다. 자본과 권력, 그리고 사회구성원들의 욕망이 결탁하여 학생들을 착취하는 공교육의 현주소.

높은 교단 낮은 교실
▲ 익숙한 풍경 높은 교단 낮은 교실
ⓒ 학전

관련사진보기


문제는 이와 같은 1막의 문제제기를 2막에서 해결하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어쨌든 사람이 죽었는데 올해의 상황극은 너무 가볍지 않은가. 작년에는 학생들이 진실규명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이지만, 이 역시 중학생에 어울리지 않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아내는 극을 쓰면서 꽤나 많은 고민을 했다. 심지어 해결방안으로 트위터를 떠올리기도 한 아내. 학생들이 민이의 죽음 이후 자신들의 일상을 트위터에 올리고, 세계 각지의 사람들이 이런 한국 교육의 현실을 떠들게 되면, 서구 콤플렉스가 강한 우리 사회가 다시금 스스로의 현실을 바라보지 않겠냐는 것이다. 물론 이 아이디어는 아이디어로서 머물고 말았지만 그만큼 아내는 절실했다.

고민 끝에 아내가 제안한 상황극. 문제제기에 비해 너무 약하지 않느냐는 나의 핀잔에, 아내는 자기가 이 문제를 풀 수 있었다면 지금 이곳에 있겠느냐며 반문했다. 하기야 아직까지 그 문제가 안 풀리니 이와 같은 뮤지컬이 나온 것일 테고, 우리들은 사교육비에 헉헉대며 궁상을 떨고 있는 것일 테지.

그래서 세상은 달라질까?
▲ 학생들의 상황극 그래서 세상은 달라질까?
ⓒ 학전

관련사진보기


아마 아내는 내년에도 11년 <굿모닝 학교>를 붙들고 똑같은 고민을 할 것이다. 그리고 역시 뚜렷한 대답을 내놓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그것은 아내가 부족해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좀 더 많은 이들이 위 뮤지컬을 보고 중지를 모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참, 뮤지컬이 26일까지다. 리뷰가 너무 늦었다. 서둘러서 보신 다음에 좀 더 많은 말씀을 해 주시길.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유포터 블로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학전, #굿모닝 학교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2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역사와 사회학, 북한학을 전공한 사회학도입니다. 물류와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일을 했었고, 2022년 강동구의회 의원이 되었습니다. 일상의 정치, 정치의 일상화를 꿈꾸는 17년차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로서, 더 나은 사회를 위하여 제가 선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