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우리나라를 식민지로 삼으면서 저지른 만행 탓에 그 시대를 겪어보지 못한 한국의 젊은이들에게도 강렬한 트라우마가 기억 인자 곳곳에 내제되어 있는 나라. 그런데 이념과 경제, 그리고 국제관계의 역학이라는 주변 주제로 벌어진 베트남전과 이라크전 등에 참전한 대한민국을 과연 그 나라 국민들은 어떻게 바라볼까? 1970년대 베트남 전장을 겪어보지 못한 젊은이들에게 <님은 먼곳에>는 다가왔다. 과연 어떤 의미로?

대주제. 의미를 부여하고 싶지 않은 난잡함

내 눈이 형편없어서 일까? 내 머릿속 깊숙이 자리잡은 '영화'란 무엇인가 얘기하고자 하는 지점이나 주제가 있기 마련이다. <님은 먼곳에>가 남녀의 사랑 문제라기엔 그 개연성도 필연성도 보이질 않고, 여성상을 논하기엔 영화에서 드리우는 잣대가 너무도 마초적이다. 그럼 베트남 전 틀어보기? 그런 장면이 있긴 하지만 그러기엔 너무 주변부를 맴돈다.

많은 사람들은 영화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 같다. 특히 '이준익'이라는 이름 세 글자에 거는 기대와 그가 뿜어내는 영화 색에 대해선 대체로 인정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일맥상통하는 주제가 없는 영화를 바라보기란 그리 녹록치 않은 일이다.

 이 공간을 통해 보여주려 했던 것은?

이 공간을 통해 보여주려 했던 것은? ⓒ 고두환


소주제 1. 남녀의 사랑문제라...

순이(수애 분)는 아마도 남편의 얼굴도 모르고, 연애도 못해 본 채 시집온 아낙네일 듯. 그 남편인 상길(엄태웅 분)은 대학 교육을 받고 사랑하는 여자도 있었지만, 아마도 어머니의 뜻을 못 이긴 채 결혼 후 쫒기듯 군대에 입대한 듯싶다. 그런 상길이 일방적으로 묻고 대답한다.

"니 내 사랑하나? 니가 사랑이 뭔지 아나?"

순이는 그 말을 남기고 훌쩍 떠난 상길을 만나기 위해 베트남 전장으로 달려간다. 등 떠밀리듯 가는 인상도 있지만 그녀는 가서 훌륭하게 적응하고 점점 상길에게 가까워진다. 대담해지고 당차게 변해간다. 그러면서 관객들은 근본적인 물음을 던진다.

'순이는 왜 상길을 찾아 나섰을까?'

남편에 대한 지고지순함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는 시대적 배경이 나오기도 하지만, 마지막 순이의 행동에서 관객들은 전율을 느끼기도 하지만, 당신도 느껴지지 않는가? 도대체 개연성이 없다는 사실을.

소주제 2. 여성성이라...

역시 애매하다. 일단 영화를 끌어가는 시각이 지극히 마초적이다. 여성성을 논하기엔 '전장' 탓만을 들이댈 수 없다. 노래를 통해 여성성이 완성된다고 말할 수도 없고, 전장을 누빔으로써 우리가 보지 못한 여성성을 보았다고도 말할 수 없다. 웃긴 건 이 영화를 통해 여성을 정의 내릴 수도 없다.

순이가 상길의 행방을 꼭 찾아야 한다며 미국 장교의 방에 홀로 남으며 문이 닫혔을 때 남자들은 '성상납'을 상상한다. 실제로 이런 부분에서 지극히 당연하게 드는 남성들의 상상에 대해 감독은 묘한 복선을 깔아놓았을런지는 모르지만 생각해 보라. 영화를 보면 가장 많이 나오는 반응은 '수애는 이쁘다'라는 영상이다.

소주제 3. 베트남전 틀어보기?

그나마 마지막 소주제가 관통하는 맛이 있긴 한데, 영 밍숭맹숭하다. 일단 베트남전이 우리나라 근대 경제 성장을 불러일으키고, '베트콩'이 무조건 나쁘다는 인식이 영화 저변에 없다. 오히려 전장의 이면을 들춰보고, 의미없는 총성에 대한 고민들이 곳곳에서 엿보인다. 애초에 전장에 대한 정체성조차 규정짓지 않으니, 베트남전 목적 자체가 불분명하다는 것을 에둘러 표현하는 듯싶다. 거기에 미국식 이데올로기와 평화 관점에 근본적 의문을 제기하는 모습, 그리고 베트콩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까지.

영화의 내용이 별로여도 곳곳에 숨어있는 장치의 역할들이 훌륭하니 아마도 평단의 반응이 엇갈리는 건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일지 모르겠다. 그동안 우리는 당한 역사에만 과민한 반응을 하면서도 행한 역사에서는 무덤덤한 반응을 보인 것은 아닐까? 아마도 대중영화 엿기에 이 정도 수준의 문제제기에서 멈춘 것이랴.

<님은 먼곳에>. 곱씹으면 곱씹을수록 생각할 지점은 많은데, 역시 정체가 모호하다. 사실은 어떤게 '이준익'스럽다는 건지도 알 수 없다. 어쩌면 순수하고 어리숙한 모습으로 나오는 영화 속 순이는 오늘날 '젊은이'를 뜻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타임머신을 타고 겪어보지 못한 전장에 내 떨어진,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휘둘려다니던 우리의 슬픈 자화상을 보여주려 했는지도. 하지만 '수애가 이쁘다'는 프레임을 깨고 몇 명이나 곱씹었을런지는 생각해볼 문제다.

덧붙이는 글 이기사는 casto와 푸타파타의 세상바라보기(http://blog.daum.net/casto)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님은 먼곳에 수애 베트남 CAST0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