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에서의 정도만

은행에서의 정도만 ⓒ CJ엔터테인먼트

오늘 종로에 나갔더니 '바르게 살자'라는 글이 새겨진 돌조각이 눈에 띈다. '바르게 살자'라는 구호는 예전부터 많이 보고 들어왔지만 그 말의 본디 뜻대로 생각되는 적이 별로 없었다. 사회가 하도 부정부패에 비리가 많아서인지 아주 좋은 뜻인데도 불구하고 공허하게 들리기도 하고 뒤틀려서 들리기도 한다.

 

<바르게 살자>는 장진 감독이 제작한 코미디영화다. 정말 반듯하고 고지식한 경찰 정도만(정재영)이 일으키는 한바탕의 은행강도 사건이 영화의 내용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은행강도 사건이 아니라 은행강도 모의훈련이다.

 

삼포시는 은행강도 사건이 연이어 벌어져 뒤숭숭하다. 그런 와중에 경찰서장 이승우(손병호)가 새로 삼포로 부임하여 온다. 이승우는 민심도 얻고 야망도 이루려는 속셈으로 이벤트성의 은행강도 모의훈련을 시행하려고 한다. 그런데, 은행강도 역에 고지식하기만 한 정도만이 뽑히면서 일이 벌어지는 것이다. 

 

삼포시의 한 은행에서 은행강도 모의훈련이 벌어진다. 정도만은 강도가 되어 은행에 침입하고, 예정대로 손님들을 인질로 인질극을 벌인다. 예정대로 경찰이 오고 진압을 하려고 하지만 여기서부터 일이 꼬이고 만다. 정도만은 너무나 정직하게 은행강도 역할을 하고, 대충대충 끝내려던 은행강도 모의훈련은 일파만파로 일이 커지고 TV에 생중계가 되기까지 한다.

 

<바르게 살자>는 코미디영화다. 대놓고 관객을 웃기는 영화는 아니지만, 사회현실을 적당히 풍자하는 블랙코미디영화다.

 

한국영화에서 경찰이 소재가 되어 흥행도 성공한 영화는 간간이 있었다. <투캅스> 시리즈의 안성기·박중훈, <공공의 적> 시리즈의 설경구 등이 한국영화사에서 유명했던 경찰들이다. <투캅스>의 안성기와 박중훈은 당대 경찰 현실을 비꼬기라도 하듯이 비리경찰이었고, <공공의 적>의 설경구는 자신의 직무에 철저하고 사명감도 강한 경찰이였다.

 

이 두 영화의 경찰 캐릭터가 서로 다른 의미에서 주류적 캐릭터라면 <바르게 살자>의 정도만은 경찰치고는 아웃사이더라고 평가할 만하다. 그의 이력부터가 그렇다. 과잉수사로 강력계 형사에서 교통경찰로 좌천된 상태이다. 교통경찰이 된 후에도 세상에 적당히 타협하지 않고 사건을 만든다. 새로 부임하는 경찰서장에게 딱지를 떼고, 은행강도 모의훈련에서도 융통성 제로의 고지식함을 발휘한다.

 

<바르게 살자>라는 제목과 그의 캐릭터는 왜일까? 그것이 보여주는 고지식함이 요즘의 세태에 꼭 필요한 사고방식이라서 이런 제목과 캐릭터의 영화를 만들었을까? 그건 아닌 것 같다.

 

원래 영화라는 장치는 평범한 것을 보여주는 장치가 아니다. 세상에 없는 것, 희귀한 것 등을 픽션으로 창조하여 보여주는 장치다. 그런 식으로 생각하면 <바르게 살자>가 보여주고 전달하고자 하는 바도 지금의 세태에서는 너무나 희귀하고, 존재하지도 않을 법한 것들이다.

 

<바르게 살자>에서 보여지는 경찰의 모습은 우리가 볼 수 없는 것들이다. 상상으로 만든 영화의 이야기구조 안에서조차 특이한 존재이고, 우리의 현실에서는 더더구나 찾아보기 힘든 것이다.

 

<바르게 살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향수일 수도 있고, 우리가 이젠 답습하지 말아야 하는 것일 수도 있다.

 

한 번 그렇게 생각해보자 ! <바르게 살자>의 정도만이 현실속의 인물이라면 그를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  영화의 논리 때문에 정도만의 로망은 해피엔딩을 맺는다. 그러나, 만일 현실 속이었다면 그는 어땠을까?  아마도 사회부적응자로 내몰렸을 것이다.

 

결국 <바르게 살자>는 영화라는 허구의 공간을 통해서 우리가 한번 정도는 봤으면 하고, 만나고도 싶은 사람을 향수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런 과거가 실제로 있었는지 없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향수는 반드시 존재했던 것에 대함은 아니다. 향수는 그 존재가 반드시 있었음을 담보하지는 않는다. 단지 향수를 하고자 함이 목표이다.

 

대다수 영화관객의 관람목표는 존재하지 않았을 수도 있는 것도 향수하고, 그런 관음증을 통해 소소하게 현실에서 일탈하는 대리체험을 맞보는 것이다.

 

<바르게 살자>를 보는 궁극적 목표는 허구적인 세계에 상상적으로 편입되어 소소한 방식으로 현실에서 일탈하는 것이다. 그것도 완전한 일탈이 아니라 대리체험을 통한 것이다.

2007.12.25 19:53 ⓒ 2007 OhmyNews
바르게 살자 향수 일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