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백양사 가는 길.
ⓒ 안병기
이제 저 모퉁이만 돌아가면 노령산맥의 끝자락에 자리한 백암산에 이를 것이다. 해발 741.2m의 상왕봉 아래 백학봉을 거느리고 내장산, 입암산과 등을 맞댄 백암산. 나는 지금 고불총림 백양사로 가는 길이다. 백양사는 경치가 좋아 예로부터 조선팔경의 하나로 '남금강'이라 불리기도 했던 백암산 발아래 있다.

25년 전, 백양사에서 며칠 동안 머문 적이 있다. 내장산 자락을 타고 넘어와 백양사에 닿은 시각은 오후 4시경. 난 그때 불가에선 흔히 만행이라고 부르는 무전여행을 하는 중이었다. 하룻밤 숙소를 청하자, 이제 갓 스무 살이나 되었을까. 젊은 원주는 나를 물끄러미 쳐다보더니 불쑥 한 마디를 뱉는다.

"왜, 그렇게 자학을 하세요?"

자존심이란 자신의 심중을 들키기 싫어하는 사람이 끝내 지키고 싶어 하는 최후의 보루 같은 것이다. 누군가 내게 무전여행을 하는 이유라도 물어보면 '존재의 시원을 찾으려고'라고 그럴 듯하게 대답하곤 했지만 사실 내 의식의 끝에는 존재를 산산조각내고 싶은 깊은 '자학'이 도사리고 있었다. 그런 내 속내를 나보다 십여 년이나 아래인 원주에게 들켜버린 게 창피해서인지 난 불같이 화를 냈다.

"아니, 이 어린 중놈이! 네가 생에 대해 뭘 알아? 그래, 난 자학하고 있다. 넌 그럴 듯하게 자학이나 해봤느냐? 자학 한 번도 안 해본 놈이 무슨 중노릇이나 제대로 하겠어?"

마침 옆을 지나가던 총무 스님이 아니었다면 그날의 말다툼은 육박전으로 치달았을는지도 모른다. 하여간 그 가벼운 말싸움의 전리품으로 며칠 동안의 숙박을 얻어들었다. 그리고 "물의 본래 색깔이 무엇이냐"라거나 "하늘의 본래 색깔이 무엇이냐" 따위의 논쟁에도 참여하게 되는 기이한 기회를 얻기도 했다.

백양사를 향해 간다. 앞산 봉우리의 구름이 '어서 오라' 나그네를 호객한다. 저 구름은 국립공원 내에서의 호객행위는 단속대상이라는 걸 알까. 그 부름에 부응하기라도 하듯 발걸음이 저도 모르게 속도를 더한다. 길옆으로 줄지어선 비자나무들과 몇 백 년 묵은 거대한 갈참나무들과도 반가운 해후의 인사를 나눈다.

이곳에 오르면 속(俗)과 성(聖)을 잊으리라

▲ 계류를 막아 만든 연못.
ⓒ 안병기
▲ 쌍계루.
ⓒ 안병기
▲ 목은 이색이 쓴 쌍계루기.
ⓒ 안병기
이윽고 계류에 보를 막아 만든 연못에 도착한다. 물 가운데에는 삼신산을 흉내 낸 듯한 작은 산도 있다. 물에 비친 산자락이 곱다. 고요한 물, 흐르지 않는 물이 아니면 들여다 볼 수 없는 것이 그림자란 일물이다.

여행이란 무엇인가, 혹은 어떤 여행이 바람직한 여행인가. 내가 생각하는 여행이란 몸은 쉬지 않고 흐르되 마음은 흐르지 않고 그친(止) 상태다. 떠도는 몸에 마음이 부화뇌동하여 함께 떠돈다면 그것은 여행이 아니라 유랑이다. 산천의 그림자를 내 안으로 끌어들여 자신의 마음을 고요하게 만들고 그 바탕 위에서 자신의 참모습을 바라볼 수 있어야 여행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한참 동안 수면을 바라보다가 조금 더 걸어가자 쌍계루가 나온다. 쌍계루는 운문암 골짜기와 천진암 골짜기에서 흘러온 물이 합류하는 곳에 있는 누각이다. 쌍계루 뒤로 우뚝 솟은 백학봉이 마치 쌍계루를 위해 존재하는 오브제 같다. 그만큼 절묘한 곳에 자리 잡았다는 이야기다.

옛적엔 쌍계루가 연못 가운데 있어 나무다리를 건너 올라야 했으며 지붕의 형태도 지금처럼 기와가 아니라 초가였다고 한다. 쌍계루 초가지붕 위에 하얀 박덩이라도 열린 풍경을 상상해 보니 뭔지 모르지만 아련한 그리움이 인다. 아마도 부슬부슬 비가 내리는 날이나 물안개 피어오르는 아침나절에 이곳에 오면 더욱 아름다운 풍경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누각으로 올라가니 곳곳에 편액이 걸려 있다. (모사품이겠지만) 정몽주, 서거정, 이색 등 우리나라의 내로라하는 시인, 묵객들이 쓴 기문들이 걸려 있다. 5대 종정을 지내시고 2003년 12월13일에 입적하신 서옹스님이 쓰신 '쌍계사 차운'은 쌍계루의 풍경을 이렇게 노래한다.

尨眉緇衲一癡僧 倚杖隨溪步自能 看到雲煙醒又醉 翫弄神變錯還增 金風暗換楓初紫 秋月方明水愈澄 凡聖都忘閑吹笛 倒騎須彌任運登

삽살개 눈썹에 검은 누더기의 한 어리석은 중이 지팡이에 의지하여 시내를 따라 걸음이 스스로 능숙하도다. 운연(雲煙)을 관망하니 깨고 또 취하고 신변을 놀려 희롱하니 어긋남이 도리어 더하도다. 금풍(金風, 가을바람)이 가만히 단풍을 처음 붉음으로 바꾸고 가을 달이 바야흐로 밝으니 물이 더욱 맑도다. 범(凡)과 성(聖)을 모두 잊어버리고 한가히 젖대를 불며 거꾸로 수미산을 타고 자유자재히 오르도다_ '쌍계루 차운(雙溪樓 次韻)'(<서옹선사법어집>1권)


▲ 부도밭. 가장 왼쪽에 있는 것이 소요대사 부도이다.
ⓒ 안병기
▲ 보물 제 1346호 소요대사 부도 하대에 새겨진 게 문양.
ⓒ 안병기
쌍계루 뒤편, 산자락 아래 있는 부도밭으로 향한다. 이곳에는 모두 18기의 고승 대덕의 부도가 있다. 그중에서도 눈길을 잡아끄는 것은 소요대사(1562∼1649)의 부도다. 13세에 이곳 백양사에서 처음 불문에 발을 들였던 소요대사는 백양사 조실을 지내기도 했는데 그때 선풍을 크게 진작시켰다고 전해진다.

소요대사 부도 몸돌은 영락없는 범종 모양이다. 하대·유곽·상대·용뉴 등 범종의 세부까지 정밀하게 나타낸 점이 내가 그동안 다녔던 절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던 특이한 생김새다. 또 하대에는 게를 비롯한 8마리의 동물을 사실적으로 새겨 넣기도 했다.

전면에 ‘소요당’이라 새겨진 명문이 있어 부도의 주인공과 건립연대를 알 수 있다.

▲ 수리중인 천왕문(전남 유형문화재 제44호) 벽화.
ⓒ 안병기
극락교를 건너 천왕문을 향해 간다. 가까이 다가가자 천왕문은 해체 복원 공사 중이라는 공고문이 붙어 있다. 공사 중인 천왕문이나마 들여다보려고 여기저기 들어갈 곳을 찾아보지만 도무지 틈이 없다. 한참을 우두커니 서 있노라니 마침 공사 책임자가 온다. 그에게 어렵사리 부탁하여 함께 안으로 들어갔다.

맞배 지붕집을 머리에 인 천왕문은 을씨년스런 폐가의 형상이다. 1917년 송만암에 의해 백양사가 중창될 때 함께 건축된 것이라니 90년 세월을 이곳에 서서 불국토를 호위해온 셈이다.

천왕문 우측 처마 아래서 거의 망가진 채 버려진 소조 사천왕상을 발견한다. 진흙이 으깨어진 흉측한 모습이다. 망가진 소조 사천왕상을 본 건 이번이 처음이다. 소천왕상이여, 부디 극락왕생하시기를….

▲ 전남 유형문화재 제43호 대웅전.
ⓒ 안병기
백양사는 백제 무왕 때 세워진 명찰로 창건 당시 이름은 백암사였으며 1034년 중연선사가 크게 보수한 뒤엔 정토사로 불렸다고 한다. 지금의 백양사라는 이름을 갖게 된 것은 조선 선조 때 환양 선사가 금강경을 설법하는 법회를 연 이후부터라고 한다.

법회가 끝나던 날 밤 스님의 꿈에 흰 양이 나타났다. 그리고 "나는 천상에서 죄를 짓고 양으로 변했는데 이제 스님의 설법을 듣고 다시 환생하여 천국으로 가게 되었다"며 절을 한 후 사라졌는데 선사가 아침에 일어나 주변을 둘러보니 양이 한 마리 죽어 있었다고 한다. 스님은 자신의 법호도 환성에서 '환양'으로 바꾸고, 흰 양도 깨달음을 얻은 절이라 하여 절 이름마저도 백양사로 고쳐 불렀다고 한다.

종각 앞엔 커다란 보리수 한 그루가 녹색의 열매를 주렁주렁 달고 서 있다. 우화루와 심검당 사이를 지나 절 마당으로 들어서자 마침내 대웅전이 모습을 드러낸다. 대웅전 역시 백학봉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대웅전은 쌍계루와 달리 백학봉을 자신을 위한 오브제로 쓰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대웅전은 1917년 송만암 스님이 절을 중창할 때 지은 것이다. 앞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축이다. 조선 후기의 화려한 다포 양식에 견주면 그다지 뛰어난 건축은 아니다.

예전 이곳에 머물 때 지관에게서 백암산은 아주 음기가 센 산이라는 말을 들었다. 그 음기를 누르고자 가장 음기가 센 자리에다 대웅전을 세웠다는 갓이다.

▲ 전남도 유형문화재 제32호 극락보전. 옆 건물은 진영각 ·칠성각이다
ⓒ 안병기
경내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극락보전은 앞면 3칸, 옆면 4칸의 맞배지붕집이다.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양식이다. 맞배지붕으로선 드문 경우라 할 수 있다.

오른쪽 옆 진영각엔 백양사와 관련된 만암 스님을 비롯한 30여 고승들의 진영이 봉안되어 있다.

우리네 정신의 왜소함을 돌아보다

▲ 종무소 앞 화계에 핀 상사화 몇 송이.
ⓒ 안병기
25년 전 이곳에서 며칠 머무는 동안, 난 스님과 백암산 자락에 올라 죽을 나눠 먹으며 이야기를 나누기도 하고 이름이 쟁쟁한 지관을 따라 백학봉 근처 인촌 김성수 큰아버지의 묘소에 올라 인촌가 발복의 근거를 찾기도 했다. 당시 내가 머물렀던 요사는 어디였을까. 이상하게 전혀 기억이 떠오르지 않는다, 혹 심검당 안에 있는 요사가 아니었을까.

종무소로 난 사립문을 들어가 심검당을 들여다 본다. 종무소 앞 화계에 홍자색 상사화가 피어 있다. 어렸을 적엔 이 꽃 이름을 몰라 개난초라 불렀다. 봄철에 연한 녹색의 잎이 나오고 6-7월에 잎이 마르고 나면 그때야 꽃이 핀다.

그렇게 잎은 꽃을 만나지 못하고 꽃은 잎을 만나지 못한다. 게다가 이 상사화는 꽃은 피우지만 열매는 맺지 못한다. 아마도 이런 현상이 안타까워 상사화라는 이름을 붙였나 보다. 근래에 이르러 상사화는 시의 소재로서도 매우 각광을 받고 있다.

상사화는 수행자인 스님을 사모하다가 상사병으로 죽은 처녀의 넋이 꽃이 되었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다. 그래서인지 흔히 상사화를 승방 앞뜰에 군락으로 심는 이유를 스님들의 에로스에 대한 경책쯤으로 받아들이는 듯 싶다.

현대인들은 왜 사랑의 외연을 이렇게 에로스라는 좁은 영역으로 한정 짓고 마는 것일까. 진리에 대한 그리움은, 진리에 대한 상사병은 존재해선 안 되는가.

내 생애에 다시 이곳에 올 기회가 있을까. 설령 다시 이곳에 올 기회가 있다 한들 나는 오늘 마지막처럼 저 백암산을 오를 것이다. 약사암으로 올라가는 비자나무 숲길로 서서히 발길을 옮긴다. 사면이 어둑어둑하다.

덧붙이는 글 | 7월 24일 다녀왔습니다.


태그:#백양사, #부도, #천왕문, #극락보전, #칠성각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먼 곳을 지향하는 눈(眼)과 한사코 사물을 분석하려는 머리, 나는 이 2개의 바퀴를 타고 60년 넘게 세상을 여행하고 있다. 나는 실용주의자들을 미워하지만 그렇게 되고 싶은 게 내 미래의 꿈이기도 하다. 부패 직전의 모순덩어리 존재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