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월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정치테러 대책위 1차 회의에서 전현희 위원장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1월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정치테러 대책위 1차 회의에서 전현희 위원장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표 흉기 피습 사건에 대한 국무총리실 산하 대테러종합상황실 명의의 '1cm 열상으로 경상 추정' 문자 메시지와 관련해 다음 주 초 고발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사건 발생 후 경찰·소방당국의 무전기록 및 상황 보고서에 대한 자료 제출을 촉구했다.

민주당에서는 당시 이 대표가 흉기에 찔린 '자상'을 입었음에도 피부가 찢어지며 생기는 상처인 '열상'을 거론한 대테러종합상황실의 '1cm 열상으로 경상 추정' 문자로 인해 '흉기가 아닌 나무젓가락에 찔렸다', '자작극이다' 등의 가짜뉴스가 유포됐다고 보고 있다.

특히 정부에서 해당 보고를 통해 이번 사건의 정치적 파장을 줄이려 했던 것 아니냐고 의심하고 있다(관련기사 : '자상 아닌 열상' 보고한 소방 "이재명 피습 때 도구 몰라서" https://omn.kr/270q6).

민주당 '당대표 정치테러 대책위원회' 위원장인 전현희 전 국민권익위원장은 14일 기자회견에서 "현 정부에 의해서 이 테러 사건의 정치적 파장을 차단하기 위해 사건과 수사를 축소·왜곡하려는 의도, 언론 통제가 일어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면서 "이러한 점에 대해 실질적으로 증거로서 입증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대테러종합상황실의 문자"라고 주장했다.

이어 "대책위에서는 대테러종합상황실 문자를 누가 발송 지시했고 그 문자 작성경위는 무엇이고 그 문자가 어느 정도 유포했는지 부분에 대해서 명명백백한 진상규명을 요구한다"며 "현재 당에서는 이 문자 발송에 관해 여러 정치적, 법적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하고 법리검토를 해서 다음 주 초에 총리실을 대상으로 고발조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현희 위원장은 "수사당국에 의한 증거인멸 상황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그는 "범행현장의 보전과 증거채취는 가장 중요한 수사단서임에도 사건 발생 직후 거의 1시간도 채 안 된 사이에 이 범행현장을 경찰이 물걸레로 청소를 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발생했다"며 "또 이재명 대표가 테러 당시 입고 있었던 셔츠라든지 옷가지 등을 경찰에서 증거로 확보하지 못하고 폐기물 의료폐기물 센터에 있는 것을 민주당 당직자에 의해 확인이 됐다는 언론보도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부분도 경찰의 초기 수사가 부실했다는 그런 점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라고 생각한다"며 "민주당은 결코 좌시하지 않고 법적 검토를 거쳐서 강한 고발 등 철저한 대책 마련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건 발생 이후 경찰·소방 무전기록 제출하지 않고 있어"

대책위는 경찰 등의 성실한 자료제출도 요구했다. 국회 행정안전위 소속 이해식 의원은 "경찰에서 자료를 요청했음에도 주지 않은 것들이 있다"면서 무전기록 및 상황보고서, 범인 신상공개심의 회의록 등을 거론했다.

그는 "사건 발생 시점부터 경찰이 112 종합상황실과 했던 무전기록, 소방과 각 기관이 주고 받았던 무전기록을 요청하고 있는데 내놓지 않고 있다"며 "무전기록은 공적기록이다.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때도 다 제공했던 것이고 다 드러났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사건 발생 19분 만에 작성된 (경찰의) 1보에는 이미 칼에 의해서 찔렸다고 보고 돼 있는데 오전 11시 넘어 작성된 대테러종합상황실 문자는 (소방의) '1cm 열상' 보고를 취사선택해 발송했다. 각각의 경찰 및 소방 보고를 종합 판단한 게 아니라 왜곡한 것"이라며 상황보고서를 제출받아 당시 상황판단에 대한 의문을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또한 "박근혜 당시 한나라당 대표의 커터칼 테러 당시 하루도 안 돼 신상공개가 됐고 리퍼트 주한 미 대사에 대한 테러 때도 바로 즉시 신상공개가 된 바 있다. 그런데 야당 대표가 거의 죽을 뻔한 엄청난 사건을 자행한 범인의 신상공개를 왜 하지 않는가에 대한 경위를 밝혀야 한다"면서 신상공개 심의위원회 명단 및 회의록 일체를 제출할 것도 요구했다.

 

태그:#전현희, #이재명, #피습, #대테러종합상황실, #열상
댓글10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7년 5월 입사. 사회부(2007~2009.11)·현안이슈팀(2016.1~2016.6)·기획취재팀(2017.1~2017.6)·기동팀(2017.11~2018.5)·정치부(2009.12~2014.12, 2016.7~2016.12, 2017.6~2017.11, 2018.5~2024.6) 활동.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