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기후위기대응서울모임, 공공교통네트워크, 너머서울, 서울기후위기비상행동, 서울환경연합 등 53개 시민사회단체는 6일 서울시의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4년도 서울시 예산안에 포함된 ‘서울항’, ‘리버버스’ 사업 예산 전면 삭감을 촉구했다.
 기후위기대응서울모임, 공공교통네트워크, 너머서울, 서울기후위기비상행동, 서울환경연합 등 53개 시민사회단체는 6일 서울시의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4년도 서울시 예산안에 포함된 ‘서울항’, ‘리버버스’ 사업 예산 전면 삭감을 촉구했다.
ⓒ 서울환경운동연합 제공

관련사진보기


"서울은 항구가 아닙니다."

12월 6일 오전 서울시의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연 시민단체들이 내건 피켓 문구이다. 이들은 이날 2024년도 서울시 예산안에 포함된 '서울항', '리버버스' 사업 예산 전면 삭감을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기후위기대응서울모임, 공공교통네트워크, 너머서울, 서울기후위기비상행동, 서울환경연합 등 53개 시민사회단체가 공동주최했다.

우선 서울시는 2024년도 예산안으로 리버버스 등 수상교통 선착장 조성에 208억 원(212억 총사업비), 서울항 설계 및 공사비 등 253억 원(2026년까지 490억 원 투자 예정)을 편성했다. 서울항 예산은 지난해 말 서울시의회 정례회 때에도 비판여론이 일었고, 이에 상임위에서 예산이 삭감되었으나 예결위에서 다시 부활한 바 있다.

김동언 서울환경운동연합 정책국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서울항에 드나들 크루즈선을 위해 한강을 준설하는 것은 생태계에 주는 충격이 상당하다"면서 "유람선의 두 배 속도로 달리는 리버버스가 매년, 3월경 한강을 거쳐 북상하는 철새 이동통로를 위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은정 서울기후위기비상행동 대표는 "서울시의회가 꼼꼼히 따지고 파헤쳐서 공동체 도시 모든 구성원의 이익과 반하는 것, 지속 가능성을 해치는 서울항과 리버버스 예산 등을 전면 삭감해야 한다"고 성토했다.

김상철 공공교통네트워크 정책위원장은 "서울시가 대중교통이라고 주장하는 리버버스를 SH공사에 운영하도록 하는 이유는 대중교통 목적보다는 한강의 관광개발이라고 하는 목적이 더 우세하기 때문"이라면서 자가용 통행량 흡수 등 타당성이 검증되지 않은 리버버스 사업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왕복근 공공운수노조서울본부조직국장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대다수의 김포시민들은 김포골드라인이 두 량짜리가 아니라 차라리 4량짜리로 4칸짜리 기차로 바뀌어서 출퇴근을 하길 원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대희 공공운수노조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지부장은 "서울시의 유일한 아이들, 어르신, 장애인들을 위한 취약계층들을 위한 공적 돌봄기관인 서울시사회서비스원 예산은 작년에 142억 대폭 삭감하더니, 리버버스에 208억이나 투자하겠다고 한다"고 비판하면서 "리버버스에 쓸 돈을 쓸 돈을 공공돌봄 인프라에 확충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문은 노동당•녹색당•정의당•진보당 서울시당에서 함께 낭독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을 통해 다음과 같이 질타했다.

"대중교통 운운하지만 서울항과 리버버스가 관광개발 사업이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지난해 8월 오세훈 시장은 '그레이트 선셋 한강 프로젝트'로 '서울관광 3000만 시대를 열겠다'고 호언장담하며 '서울항'을 발표했다.

리버버스는 서울시 자체 추정으로도 수요의 90%가 관광 수요이고, 교통수요는 나머지 10%에 불과하다. '기후위기 시대', 전세계적으로 탄소다배출 '오버투어리즘'에 대한 비판과 함께 과도한 여행을 지양하자는 흐름이 있는 이 때, 서울시의 시계는 대체 어디에 맞춰져 있는가."


이들은 특히 "리버버스는 대중교통이 아니다, 버스와 지하철 등 다른 교통수단과의 환승 및 통합성을 고려할 때 굉장히 비효율적인 수단"이라면서 "서울시 미래한강본부가 시의회에 제출한 추산 자료에서도 리버버스 사업은 2024년부터 6년간 약 80억 원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승선률은 평균 20%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오세훈 서울시장은 리버버스가 '대중교통'이라며 '적자를 감수'하고 추진한다고 하지만, 정작 '시민의 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대중교통 수단인 버스와 지하철에 대해서는 '적자'라는 이유로 요금을 인상하고 2026년까지 서울시 지하철 인력 2212명을 감축하겠다고 발표한 것을 보면 앞뒤가 전혀 맞지 않다"고 비판했다.

따라서 이들은 "시대착오적인 콘크리트 한강 개발 프로젝트에 서울시 예산을 투입하는 것을 저지하고자 한다"면서 "서울시의회는 한강을 영구적으로 훼손하는 서울항과 대중교통 수단으로 적합하지 않은 리버버스 사업 예산을 전면 삭감하라"고 촉구했다.  

태그:#서울항, #리버버스, #오세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