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해남 황칠나무
 해남 황칠나무
ⓒ 전라남도

관련사진보기


전라남도는 해남군에서 지리적표시 등록 신청한 '해남황칠나무'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등록심의회에서 제61호로 등록됐다고 1일 밝혔다.

황칠나무는 인삼 및 가시오가피와 같은 파낙스(Panax) 계열의 상록활엽수로 나무 인삼이라고도 불리며 남해안과 제주도가 주산지이다. 체내 독성물질 배출을 촉진하고 인체 면역력을 회복하는 데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7년 지리적표시를 신청한 해남황칠나무는 역사성·우수성 미흡 등의 이유로 등록되지 않았으나 다른 지역과 차별되는 객관적 자료를 보완해 올해 재신청한 결과 지리적표시 품목으로 등록됐다.

해남황칠나무는 단순히 원산지 수준을 넘어서 역사성 유지, 지역 원료 농산물 사용, 제조 방식 차별화 등으로 농가소득을 증대하고,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해 지역특화산업으로 육성될 예정이다.

전남지역 지리적표시 등록 품목은 장흥 표고버섯, 구례 산수유, 광양 고로쇠, 영암 대봉감, 진도 구기자, 담양 죽순, 화순 작약, 화순 목단과 함께 9개 품목으로 늘었다. 수실류와 버섯류, 산나물류, 가공품 각 1건에 약용류 5건이다. 전국 61건 중 15%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 품목은 품질 개선과 다양한 가공품 개발, 체험행사 연계 등으로 매년 매출을 올리고 있어 임가 소득 증대에 보탬이 되고 있다.

김재광 전남도 산림휴양과장은 "지역의 우수 산림 자원을 보호하고 지리적표시 특산품의 경쟁력과 소비자 인지도를 높이며, 판로 확대를 통해 임가 소득 증대에 보탬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지리적표시제도는 우수한 지리적 특성을 가진 임산물이나 가공품을 등록·보호함으로써 품질 향상과 지역 특화산업으로 육성하는 한편, 생산자 보호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됐다.
 
황칠나무 묘목
 황칠나무 묘목
ⓒ 전라남도

관련사진보기


 

태그:#황칠나무, #해남황칠나무, #지리적표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광주·전라본부 상근기자. 제보 및 기사에 대한 의견은 ssal1981@daum.net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