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윤석열 대통령이 7일 대전 유성구 카이스트에서 열린 대전 과학기술·디지털 혁신기업인과의 대화에 참석, 발언하고 있다. 2023.2.7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7일 대전 유성구 카이스트에서 열린 대전 과학기술·디지털 혁신기업인과의 대화에 참석, 발언하고 있다. 2023.2.7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윤석열 대통령은 7일 "정부가 핵심 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지방시대의 핵심적인 두 축은 첨단과학기술과 교육"이라며 "지역에 뿌리를 둔 첨단 과학기술·디지털 혁신 기업이 당당하게 세계 무대로 나가서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힘껏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전 한국과학기술원(KAIST) 창업원을 직접 방문, '대전 과학기술‧디지털 혁신 기업인과의 대화'를 진행했다. 그는 기업인들과 학생 창업자들에게 이같이 격려하면서 대한민국을 '세계 최고 혁신 허브'로 만들어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우선 윤 대통령은 "그런 의미에서 대전은 지방시대의 모범이라 할 수 있다"면서 "대학과 기업, 기업과 연구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연결은 물론이거니와 다양한 연구 분야 간의 연결이 자유자재로 가능한 곳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 지자체는 SOC 구축, 산업단지 개발 등 하드웨어적인 인프라 확충에만 우선순위를 뒀는데, 이제는 디지털을 지역발전의 중심에 두고 전 세계와 연결이 이뤄지고 있다"면서 "또 지방정부도 첨단 과학기술과 디지털 혁신에 팔을 걷어붙여야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지역의 대학을 지역발전의 허브로 삼고, 또 그 지역의 인재들이 그 지역에서 기술 창업에 도전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된다"며 "정부 역시 지역에 뿌리를 둔 첨단 과학기술, 디지털 혁신기업이 당당하게 세계 무대로 나가서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힘껏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국정, 이념 아니라 과학에 맞춰야... 대한민국, 최고의 혁신 허브로"

아울러 윤 대통령은 지난 UAE-스위스 순방 때부터 이날 주재한 국무회의까지 연일 강조하고 있는 과학기반의 국정운영 개념인 '글로벌 스탠더드'를 언급하면서 "이것은 바로 여러분 같은 혁신기업이 될 수 있도록 대한민국을 최고의 혁신 허브로 만들겠다는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끝으로 윤 대통령은 "정부가 국정을 이념이 아니라 과학에 맞추고, 또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춰서 세계 최고의 혁신 허브를 지향할 때 우리 기업들도 세계 기업들을 뛰어넘을 수 있을 것"이라며 "여기 계신 혁신기업인들과 함께 우리 정부도 열심히 뛰겠다. 정부도 여러분에게 더 많은 것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모두발언을 맺었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번 간담회는 지난 2일 'CES 디지털 혁신기업인과의 대화'에 이어 과학기술‧디지털 기반 혁신기업인들과 함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간담회에 앞서 윤 대통령은 행사장에 별도로 마련된 참석기업의 기술‧제품 시연 부스를 방문해 초고해상도 위성영상, 삼차원 영상측정 현미경, 시각‧청각‧휠체어 장애인을 위한 AI(인공지능) 민원 안내 시스템 등에 대한 설명을 기업 관계자로부터 직접 청취하기도 했다. 

한편, 이번 간담회에는 이광형 KAIST 총장과 천영석 트위니 대표, 김이을 쎄트렉아이 대표, 박용근 토모큐브 대표, 유승수 멀틱스 대표, 조경민 애니그마 대표, 차상훈 위플랫 대표, 전수지 토브데이터 이사, 황현지 스모어톡 대표 등 대전 지역 디지털 혁신기업 8명, 창업자 동아리 관계자들 총 30여 명이 참석했다. 

태그:#윤석열, #과학기술 디지털 혁신, #기업인과의 대화, #글로벌 스탠다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용산 대통령실 마감하고, 서울을 떠나 세종에 둥지를 틀었습니다. 진실 너머 저편으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