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이 3월 11일 울산시청 정문앞에서 일본 후쿠시마 핵폭발 11주년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이 3월 11일 울산시청 정문앞에서 일본 후쿠시마 핵폭발 11주년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관련사진보기


55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이 6.1지방선거 울산시장 후보들에게 핵발전 현안에 관한 정책을 제안하고 나섰다.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은 11일 오전 11시 울산시청 정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업부의 고준위 기본계획을 명확하게 반대하고 시민 안전을 위해 앞장서 달라"며 "핵발전소 수명 연장과 핵폐기물 부지 내 저장을 막아 내자"고 제안했다.

시민사회단체들이 이같이 요구하고 나선 이유는 울산이 주변 핵발전소로 둘러싸여 있는 도시이기 때문이다. 울산시청 반경 30km 이내에 가동 중인 핵발전소가 12기, 영구정지한 핵발전소가 2기, 건설 중인 핵발전소가 2기 있다.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은 "영구정지한 핵발전소 역시 방사능 누출사고 위험이 있기에 울산은 총 16기의 핵발전 위협에 노출된 도시"라는 입장이다.

지난 2011년 일본 후쿠시마에서 대지진에 의한 핵발전소 폭발 사고가 발생한 후 핵으로부터의 안전성이 대두된 뒤 울산지역 시민단체들은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을 결성해 신규 원전 반대, 노후원전 폐쇄 등의 활동을 벌이고 있다.

기자회견에서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은 6.1 지방선거에 나선 시장후보들에게 "시민안전은 정쟁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울산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노후 원전인 고리2호기 수명 연장 반대에 앞장서 달라"고 요구했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제2차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은 기약도 없는 영구처분 시설 건설 전까지 기존의 핵발전소 부지 안에 위험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보관하겠다는 내용으로 이는 울산이 16개의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보관장, 즉 핵폐기장에 둘러싸인 도시가 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10만년을 보관해야한다는 핵폐기물로 울산의 현재는 물론이고 미래까지 희생시킬 수는 없다"며 "울산을 핵폐기장으로 만드는 산업부의 고준위 기본계획은 폐기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윤석열정부가 고준위 핵폐기물의 실태와 관리의 어려움을 국민에게 낱낱이 알리고 전 국민들의 관심과 참여 속에 고준위 핵폐기물 관리정책을 새롭게 마련할 수 있도록 촉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태그:#울산 주변 원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