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전 기사] 부산시 "덕산댐 문건, 공무원 개인이 만든 것... 조사 의뢰해" http://omn.kr/1uxig
 
경남지역 환경단체들이 25일 경남도청 서부청사 앞에서 "부산시는 야만적인 물환경 침탈을 중단하라"며 지리산 덕산댐 건설계획을 포기하라"고 요구했다.
 경남지역 환경단체들이 25일 경남도청 서부청사 앞에서 "부산시는 야만적인 물환경 침탈을 중단하라"며 지리산 덕산댐 건설계획을 포기하라"고 요구했다.
ⓒ 최상두

관련사진보기

 
경남 환경단체들이 25일 오후 2시 경남도청 서부청사 앞에서 부산시의 지리산 덕산댐 건설계획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며 기자회견을 열었다.

환경단체들은 "부산시는 지난 8월 23일 성명서를 통해 '(가칭)덕산댐 건설' 문건은 공무원 개인이 작성한 것으로 부산시 공식 의견이 아니다고 했지만, 이것은 꼬리 자르기에 불과하다"고 성토했다.

이어 "30년 동안 지속적으로 지리산댐 맑은물 취수원 대안을 추진해 온 부산시의 속내는 환경부와 경상남도와는 다름이 확인된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부산시가 6월 24일 의결된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은 주민반대시 추진 불가, 보호구역 추가 지정 예외, 갈수기 유량부족 우려, 강변여과수 수질문제, 원수대금 인상, 수도요금 인상 등의 문제점을 제기하며 새로운 취수원 대안확보를 요구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환경단체들은 "정부는 지난 2019년 지리산댐을 포함한 신규댐 건설 정책 중단 선언에 이어, 2021년 6월 황강과 창녕 강변여과수 개발을 통한 부산식수 공급정책을 발표했다"며 "그럼에도 부산시는 지리산댐 추진의지를 버리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 취수원 이전 문제로 창녕, 합천주민과 낙동강수계 지역민, 낙동강권 환경단체의 갈등과 분열을 조장한 부산시다. 이제 그것도 모자라 지리산으로 개발과 갈등의 칼을 들이대다니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목청을 높였다.

환경단체들은 "부산시는 낙동강 수질개선에도 아무런 관심이 없다"며 "부산시는 녹조문제의 해결대책인 낙동강 보개방 요구보다 취수원 이전에 목을 매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부산시는 지난 2018년 낙동강 함안보와 합천보 구간에 녹조대발생이 일어나자 부산시 정수장은 녹조로 인하여 실제로 정수시설 가동중단선언을 검토할 정도로 낙동강 보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는 지자체이다.

최세현 지리산생명연대 공동대표는 "부산시는 지리산댐 취수원 대신 차선책으로 황강과 창녕 강변여과수를 취수원으로 50%만 확보해 놓았다. 따라서 부산시의 야욕은 낙동강 취수원을 100% 다른 곳으로 이전하는 것이 목표이며 이것이 이루어질 때까지 지리산댐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부산시는 야만적인 물환경 침탈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환경단체들은 기자회견에서 부산시의 물정책에 대해 △취수원 이전은 부산식수의 답이 아니다. 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한 보의 수문개방과 보처리방안 마련부터 하라 △환경부와 경상남도는 경남도민이 반대하는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 무효화하고 낙동강유역민 합의안 마련하라 △환경을 파괴하는 취수원 이전 포기하고 공장폐수 무방류시스템을 하루빨리 추진하라고 요구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는 최세현 지리산생명연대 공동대표, 최상두·김상국 지리산권남강수계네트워크 위원장, 곽상수 낙동강네트워크 공동대표, 배종혁 마산창원진해환경운동연합 의장, 강춘석 사천환경운동연합 상임의장, 팽미란 진보당 산청위원장, 최보경 산청진보연합 전 집행위원장, 수달친구들 등이 참여했다.  

덧붙이는 글 | 서부경남신문 함께 실렸습니다.


태그:#지리산댐, #산청군, #함양군, #덕산댐, #부산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지리산 엄천강변에 살며 자연과 더불어 함께 살고 있습니다 엄천강 주변의 생태조사 수달의 친구가 되었습니다 그냥 자연에서 논다 지리산 엄천강에서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