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해 6월 27일 탈핵경남시민행동과 밀양765kV송전탑반대대책위가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불법, 졸속으로 결정한 신고리 5,6호기 건설 승인을 백지화하라"고 촉구하고 있는 모습.
 지난해 6월 27일 탈핵경남시민행동과 밀양765kV송전탑반대대책위가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불법, 졸속으로 결정한 신고리 5,6호기 건설 승인을 백지화하라"고 촉구하고 있는 모습.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문재인 정부는 공약대로 신고리원자력발전소 5·6호기 백지화하라."

송전탑 반대를 위해 몸부림치고 있는 밀양 할매·할배들이 신고리원전 5·6호기 백지화 촛불을 들기 위해 상경한다. 15일 '밀양 할매할배들의 탈탈원정대'는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위해 16~20일 상경 집중 활동"을 벌인다고 밝혔다.

이들은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시민행동',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울산시민행동'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부산시민운동본부' '탈핵부산시민연대'와 함께 활동을 벌인다.

이들은 16일 오전 서울 광화문에 있는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앞에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촉구하는 부산·울산·밀양 당사자들의 서울원정대 출범"을 알리는 행사를 연다.

이들은 16일부터 19일까지 매일 오후 7시 광화문 파이낸스센터 앞에서 촛불을 든다. 이 기간 동안 탈핵 시민들은 청와대와 국회, 정부종합청사 등을 순회하면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촉구한다.

'밀양 할매·할배들의 탈탈원정대'는 미리 낸 자료를 통해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에 호소했다. 다음은 호소문 전문이다.

"안녕하세요. 시민참여단 471명의 최종 투표가 완료되고, 신고리 5·6호기의 운명이 결정되기까지 이제 딱 닷새가 남았습니다. 밀양 주민들은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의 마음으로 20일 10시로 예정된 신고리5~6호기 공론화위원회의 권고안 발표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밀양송전탑 반대 주민들은 지난 7월 6일, 울산시청 프레스룸에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위한 '탈핵·탈송전탑 원정대 활동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지난 3개월 동안 밀양 주민들은 전국 22곳을 돌면서 탈핵 토크콘서트, 강연회, 집회와 문화제 등을 치렀습니다. 자체 제작한 탈핵 소책자 3만 2000부를 배포하고, 탈핵바라기 배지도 6000개를 판매했으며, 카카오 스토리 펀딩도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밀양주민들에게 지난 3개월간은 너무나 아쉬움과 진한 안타까움이 남습니다. 그것은 신고리 핵발전소에 맞서 12년간 싸워 온 밀양 주민들의 절박한 투쟁도, 신고리 5·6호기를 끼고 9기의 세계 최대 핵발전밀집단지에서 살아야 하는 부산과 울산 경남 지역 382만 명 주민들의 목소리가 제대로 담기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신고리 5·6호기 시민참여단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배정된 인원이 과반에 이르는 47.4%에 달하지만, 정작 신고리 5·6호기가 위치한 울산 지역의 참가단은 전체 1.4%, 7명에 불과합니다. 사실상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신고리 5~6호기의 운명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정작 생애의 대부분의 시간인 60년 동안 신고리 5·6호기와 함께 살아야 할 청소년들은 아예 시민참여단에서 배제되었습니다.

밀양 주민들과 부산 울산의 시민들 20여 명은 신고리 5·6호기의 당사자들은 공론화 결과가 발표되기 전까지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염원하며 상경 집중 활동에 들어갑니다. 10월 20일 오전 10시, 백지화의 기쁨을 안고 내려올 수 있기를 간절히 바라마지 않습니다."

한국전력공사는 신고리 5·6호기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경남 창녕 '북경남변전소'까지 가져가기 위해 밀양을 지나는 송전선로 공사를 벌여 마무리 해 놓았고, 밀양 주민들은 '송전탑 철거'를 바라고 있다.

‘밀양 할매할배들의 탈탈원정대’는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위해 16~20일 상경 집중 활동”을 벌인다.
 ‘밀양 할매할배들의 탈탈원정대’는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위해 16~20일 상경 집중 활동”을 벌인다.
ⓒ 이계삼

관련사진보기


부산시청 광장 '시민농성' 벌이기로

한편 탈핵부산시민연대(김준한 상임대표)와 신고리5·6호기백지화부산시민운동본부(하선규 박재율 상임공동대표)는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의 공론조사 발표를 앞두고, 정부의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결정을 촉구하는 행동으로 16일부터 부산시청 앞에서 시민농성에 들어간다.

이들은 "앞으로 남은 약 1주일의 시간이 공론조사의 결과와 함께 부산시민의 적극적인 목소리와 여론이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결정하게 될 엄중한 시기라고 판단된다"고 했다.

이들은 "엄중한 시기에 시민의 절박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요구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정부에 전달되어 고리원전의 핵위험으로부터 안전한 부산을 실현하는 여론의 장으로 시민농성이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또 이들은 "원자력 찬성 세력이 온갖 날조와 왜곡으로 시민과 국민을 현혹하더라도 어둠이 빛을 이길 수 없듯이,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이라는 빛이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로 밝혀질 수 있도록 시민들의 힘을 시민농성으로 결집해 갈 계획"이라 했다.

'신고리 5·6호기 왜 백지화 해야 하나' 토론회도 열린다

김석규 창원시의원과 노무현재단, '안전한세상을 위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경남시민행동'은 오는 17일 오후 6시 30분 창원시의회 별관 2층 회의실에서 '신고리 5·6호기 왜 백지회 해야 하나'라는 주제로 시민대토론회를 연다.

이날 토론회는 박현주 마산YWCA 사무총장의 사회로, 김해창 경성대 교수(도시환경공학)가 '사용후 핵 연료의 진실'이란 제목으로 발제하고, 허문화 탈핵양산시민행동 대표와 박종권 탈핵경남시민행동 대표, 정은아 마창진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이 토론한다.


태그:#신고리원전, #신고리 5.6호기, #밀양 송전탑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