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3·15정신계승시민단체연대회의(상임의장 김영만)는 '한국민주주의전당(민주화운동기념관, 아래 민주전당) 창원 유치를 위한 범시민대책기구 구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영만 의장과 이순일 열린사회희망연대 공동대표, 안종복 경남민예총 회장, 김재명 민주노총 경남본부장, 하원오 경남진보연합 대표, 석영철 새민중정당 경남도당 위원장, 안혜린 노동당 경남도당 위원장, 황철하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 경남본부 집행위원장은 27일 오후 창원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민주전당 건립 논란은 오래 됐다. 2001년 국회에서 민주화운동기념사업법이 제정되면서 건립이 공론화됐다. 민주화기념사업회는 2006년 '한국민주주의전당건립범국민추진위'를 조직했지만 지지부진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후보 시절(2007년) 광주에 민주전당을 유치하겠다고 공약했지만 공약을 지키지 않았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후보시절(2012년) 마산에 민주전당 유치를 공약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

서울과 광주, 마산(창원)이 민주전당 유치 경쟁을 벌였고, 3개 도시는 2013년 11월 "서로 소모적인 유치 경쟁을 접고 3도시가 함께 3각축으로 민주전당을 설립"하기로 합의했다.

그런데 당시 박근혜정부 때 안전행정부와 기획재정부는 3개 도시 합의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다가 2015년 11월, 당시 정부는 경기도 의왕시 옛 에너지경제연구원 부지에 민주전당 건립 계획을 세웠다.

창원(마산)에서는 3·15의거와 6월항쟁, 부마민주항쟁 등의 역사를 들며 민주전당의 마산 유치를 요구하고 있다. 지역에서는 3·15의거기념사업회 등 일부 단체가 중심이 되어 '민주전당 마산유치추진위원회'를 2013년 3월에 결성하기도 했다.

이명박·박근혜 정부 때 잠잠하던 민주전당 유치 이야기가 최근 들어 다시 나오고 있다. 문재인정부가 들어서면서 민주전당 건립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 이주영·윤한홍 국회의원과 창원시, 3·15의거기념사업회는 최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인 지선 스님을 만나고, 국회에서 지난 20일 관련 토론회를 열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범시민대책기구' 구성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6월항쟁정신계승경남사업회는 지난 8월 22일 민주전당 유치를 위한 범시민대책기구 구성을 제안했고, 3·15정신계승시민단체연대회의가 동의하고 나섰다.

3.15정신계승시민단체연대회의는 27일 오후 창원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민주화운동 기념관 마산 유치를 위한 범시민대책기구 구성"을 제안했다.
 3.15정신계승시민단체연대회의는 27일 오후 창원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민주화운동 기념관 마산 유치를 위한 범시민대책기구 구성"을 제안했다.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민주전당 마산유치추진위'에는 민주화 단체가 빠져"

3·15정신계승시민단체연대회의는 이날 회견문을 통해 "2012년 박근혜 대통령 후보는 마산에 민주전당을 유치하겠다고 공약을 했고, 이때 3·15의거기념사업회 등 단체들은 일제히 환영 성명서를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박근혜는 대통령 재임기간 동안 민주전당에 대해 단 한마디도 들먹이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영성명을 발표한 단체 중 그 어떤 곳도 대통령을 향해 공약 불이행을 따지거나 비판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고 했다.

지난 십수년간 유치경쟁과정에 대해, 이들은 "애초 1400억 이상의 예산과 부지 3만 5000평에 연건평 1만 2000평 규모의 민주전당을 짓는다는 야심찬 계획은 사라지고 기껏 489억짜리 기념관으로 쪼그라들고 말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에 비해 박근혜정권 4년 동안 박정희 기념사업에는 구미시 새마을운동 테마공원 785억 원, 박정희 생가 286억 원, 서울 신당동 박정희 공원 297억 원 등 총 1873억 원의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었다"고 덧붙였다.

'민주전당 마산유치추진위'에 대해, 이들은 "결국 아무런 성과도 얻지 못했다. 출발할 땐 요란했지만 지금은 위원회의 존재를 기억하는 시민들은 거의 없다"고 했다.

이주영·윤한홍 의원 등이 열었던 국회 토론회에 대해, 이들은 "정권이 바뀌자마자 발 빠르게 움직이는 그 분들에게 선뜻 박수를 보내드릴 수 없는 이유는 또 다시 예전처럼 몇몇 정치인들과 3·15의거기념사업회가 기념관 유치운동을 독점하려는 모습이 엿보였기 때문"이라 했다.

이어 "이런 태도는 필연적으로 결과물의 독점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며 "민주전당은 건립 못지않게 그것을 어떤 사람들이 어떤 목적과 방향으로 운영하는지가 더 중요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영만 의장은 "2013년 3월 '민주전당 마산유치추진위'가 결성될 때 우리는 참여하지 못했고, 당시 3·15의거기념사업회와 옛 한나라당 국회의원 등이 모여 만들어졌다"며 "민주전당을 유치하는 데 민주화 관련 단체가 빠졌던 것이다. 당시 기자들의 질의에 마산유치추진위는 민주화 단체에 제안할 것이라고 했지만 지금까지 아무런 제안도 없었다"고 말했다.

2010년 6월 7일 창립된 3·15정신계승시민단체연대회의는 6·15경남본부, 민주노총 경남본부, 전농 부경연맹, 전여농 경남연합, 경남진보연합, 경남교육연대, 경남교육희망, 열린사회희망연대, 마창진참여자치시민연대, 위안부할머니와함께는 마창진시민모임, 민주화를위한변호사모임 경남지부, 천주교마산교구 정의평화위원회, 한국민예총 경남지회, 하나됨을위한늘푸른삼천, 경남여성연대, 전국회의 경남지부, 경남대동문공동체, 창우회, 통일촌, 한살림, 가톨릭농민회경남, 6월항쟁기념사업회,  3·15의거열사김주열기념사업회, 내서주민회, 참교육학부모회, 어린이책시민연대, 진보대학생네트워크, 경남청년유니온, 전교조 경남지부, 천주교마산교구예수일군, KOREA평화연대가 참여하고 있다.


태그:#민주주의전당, #3.15의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