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인천국제공항 비정규직노동자들의 정규직화는 문재인 정부의 약속이자, 국내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화의 반면교사가 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다.

이 일로 문재인 대통령이 인천공항을 방문한 직후 정일영 인천공항공사(이하 공사) 사장이 연내 정규직화를 공언했고, 공사는 외부 인사로 구성한 정규직화 정책자문단인 '좋은 일자리 자문단(이하 공사 자문단)'을 통해 공사 안팎 의견을 수렴하며 정규직화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인천공항 내 노동조합 간 의견 차로 정규직화 전환을 위한 '노ㆍ사ㆍ전문가 위원회(이하 정규직화위원회)' 구성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규직화위원회 구성이 난항을 겪자,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부는 공사 자문단이 제시한 조정안을 수용했으나, 이 또한 일부 노조가 거부해 무산됐다.

이와 관련해 인천공항지부는 1일 성명을 내고 "인천공항 비정규직노동자 절대 다수가 가입한 노조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공사 자문단의 조정안을 수용했다. 하지만 또 일부 노조가 거부했다"고 한 뒤, '공사 자문단의 제안대로 노동자대표단으로 참석을 희망하는 이들로 정규직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공사에 요구했다.

정부가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을 통해 노ㆍ사 간 자율적 대화로 정규직화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권고했지만, 그게 무산된 만큼 공사 자문단의 제안을 수용할 것을 공사에 요구한 것이다.

이에 앞서 인천공항지부는 정규직화위원회 구성이 노조 간 의견 차로 난항을 겪자 제3자인 공사 자문단의 조정안을 수용할 것을 다른 복수노조에 제안했다. 정규직화위원회에 참여할 노동자대표단 구성을 공사가 구성한 자문단에 위임한 셈이다.

그 뒤 공사 자문단은 민주노총 5명, 한국노총 3명, 상급단체가 없는 기업노조 2명으로 노동자대표단을 구성하는 걸 제안했다. 하지만 일부 노조가 반대해 성사되지 못했다.

인천공항지부는 인천공항 비정규직노동자들 중 가장 많은 노동자들을 조합원으로 두고 있다. 인천공항지부에 약 3만 2000명이 가입해있고, 다른 복수노조엔 350여명, 나머지 기업노조엔 300여명이 각각 가입해있다.

인천공항지부는 "다수를 차지하는 인천공항지부는 노조법을 준용해 '복수노조 창구 단일화' 또는 '조직 규모에 따른 교섭위원 비례 배분'을 고집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대표성이 적어지더라도 소수 노조를 배려하는 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일부 노조의 반대로 노조 간 자율적 합의가 무산됐다"고 밝혔다.

인천공항지부 관계자는 "1만명의 고용형태ㆍ임금ㆍ근무형태 등, 쟁점과 과제가 산적해있다. 공사는 교착상태에 빠진 정규직화위원회 구성을 매듭짓겠다는 결단을 내려야한다"며 "공사 정책자문단이 노조법상 창구 단일화를 준용해 노동자대표단을 민주노총 5명, 한국노총 3명, 상급단체가 없는 노조 2명으로 공시하고, 참가를 원하지 않은 노조는 공석으로 두고 정규직화위원회를 구성하자고 공사에 제안한 만큼, 공사가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사인천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인천공항 정규직화, #인천공항공사, #비정규직 정규직화,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부, #인천공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