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그녀의 필모그래피를 훑어본다. 1993년 아시아의 국제 매매춘을 다룬 다큐멘터리영화 <아시아에서 여성으로 산다는 것>으로 데뷔했으니 20년이 넘는 세월을 감독으로 산 셈이다. 그 긴 세월 때문에 더욱더 도드라지는 숫자가 있다. 참여연대 회원가입일, 2017년 5월 8일. 한 달하고 14일 된 지난 6월 22일, 변영주 감독을 만났다. 회원의 변명(?)을 들어보자.

"그날, 김덕진(천주교인권위원회 사무국장)씨가 술자리로 불러서 나갔어요. 가보니 시민단체 활동가들이 우르르 앉아 있더군요. 안진걸 사무처장이 회원가입서를 주는데 그때 참여연대에 아직 후원을 안 하고 있다는 걸 깨달았죠. 약간 부끄러운 마음도 들었고. 그 자리에서 참여연대랑 다산인권센터랑 몇 군데를 동시 가입했어요. 특별한 계기가 있었다기보다 술 먹다 가입서를 주길래 이름을 썼다? 안진걸 때문에 쓴 거 아닙니다. 그걸 꼭 밝혀주세요. 누구였어도 했을 거라고."

내가 생각하는 최상의 조합, 지성과 위트. 그녀의 농담에 긴장으로 팽팽했던 내 배의 근육도 조금씩 풀리기 시작했다.

그물에 걸리지 않은 자

다큐 영화 <낮은 목소리>는 변영주 영화 인생의 시작점이었다
 다큐 영화 <낮은 목소리>는 변영주 영화 인생의 시작점이었다
ⓒ 참여사회

관련사진보기


- 영화작업을 안 하실 때는 주로 시민운동을 하시는 것 같아요.
"그렇지는 않아요. 그 정도로 시민운동이 널널하고 쉬운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제가 부탁받는 일은 사회를 봐 달라, 강연을 해 달라 이런 건데, 이건 시민운동하는 데서는 일도 아닌 것 같거든요. 전 그저 비정규적인 노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많은 사람? 그래서 부탁이 들어오면 돕는 거죠."

남는 시간엔 쌍용자동차 농성장에서 사회를 보거나 희망버스를 타고 한진중공업 고공시위 현장에 가는 감독. 그런 그녀의 입에서 이 사회의 엄청난 부조리 하나가 '폭로'됐다.

"근데 저, 블랙리스트에 없어요. 하하하."

이 시점에서 우리가 지적해야 할 것은 이전 정권의 무능인가, 관료조직의 한계인가.

"블랙리스트가 2012년도에 문재인지지 선언 한 사람부터 시작됐잖아요. 생각해보니까 전지지 선언을 안 한 거예요. 그때 한창 유세장에서 지원유세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지지 서명을 받는지도 몰랐어요. 세월호 때는 제가 서명운동을 벌이자고 제안한 사람 중 한 명으로 이름이 들어가 있어서 직접적인 서명은 안 하게 된 것 같아요. 그런 줄 알았으면 박근혜 정부 4년 동안 뭐라도 받아두는 건데, 아쉽죠."

정리하자면, 더 적극적으로 가담했던 거물들이 오히려 그물에 걸리지 않았다는 것. 이 '웃픈(웃을 수도 울 수도 없는)' 일화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이왕 할 거면 제대로 크게 사고치는 게 낫다' 정도로 요약할 수 있겠다.

"영화나 문화예술계에서 블랙리스트로 힘들었던 사람들은 저 같은 사람이 아니라 독립영화와 관련된 일을 하시는 분들이나 연극을 하시는 분들 혹은 부산국제영화제처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자금이 투입돼야 하는 쪽에 계셨던 분들이에요. 재정적으로 가장 취약한 이들을 먼저 흔들고 나서는 거죠."

권력이 휘두르는 주먹에 가장 먼저 매를 맞는 사람들. 그들의 뒤편에 서 있어 지금은 아닐지라도, 언젠간 우리 중 누군가의 차례가 올 것이기에, 사회적 약자에 대한 보호는 시혜의 문제가 아닌 호혜의 문제다.

출세하고픈 자

 저는 저한테 자주 반해요. '대단한데, 잘했어!' 이렇게 말이죠.
 저는 저한테 자주 반해요. '대단한데, 잘했어!' 이렇게 말이죠.
ⓒ 참여사회

관련사진보기


인터뷰 중간중간 그녀는 자신이 운이 좋은 사람, 좋은 선택을 많이 해 온 사람이란 말을 했다. 나이를 잘 먹은 것 같다는 이야기도 했다. 스스로에 대한 평가가 궁금했다.

"아, 이 질문 어렵다. 개인적으로 저는 저한테 자주 반해요. '대단한데, 잘했어!' 이렇게. 인간으로서도 그런데, 감독으로선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결과가 나왔을 때 반하죠. 그런 순간이 <낮은 목소리> 1편과 3편 그리고 <화차> 이렇게 세 번 정도 있었던 같아요. 영화 개봉 후 첫 6개월은 타인의 평가가 중요하고요, 1년이 지난 후엔 자신의 평가가 중요하죠. 그 이후에도 스스로 부끄럽지 않다면 다음 작품을 시작해도 된다고 생각해요."

위안부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영화 <낮은 목소리>. 처음엔 '저 할머니들이 뭔데 나를 쫓아내지?'하는 억울함에서 시작했으나 결과적으로는 좋은 선택이었다. 사람들을 옆에서 지켜보는 작업, 그것이 그녀의 영화 인생의 시작점이었기에, 그녀의 젊음은 시간을 두고 성장할 수 있었다.

"영화는 내가 하고 싶은 대로 만드는 게 아니라, 내가 더 잘 만들도록 노력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해요. 영화 한 편을 완성하고 났을 때 내 상태가 산산이 재가 돼 있는 정도가 아니면 그 뒤에 꼭 후회가 생기죠. 그래서 평소에도 일상을 규칙적으로 꾸리려고 노력해요. 감독은 영화의 주인공 옆에서 같이 숨 쉬는 사람이 되어야지, 주인공을 창조하겠다고 하늘로 올라가는 순간 영화는 날아가 버리고 말죠."

그래서 그녀는 자신을 제어하고 강박하는 걸 좋아한다. 그 힘이 외부에서 올 때도 스스로가 동의할 수만 있다면 상관없다. '얘가 시키는 건 다 해야지'하며 그녀가 동의한 외부세력들, 시인 송경동, 민주노총 지도위원 김진숙, 쌍용자동차 해고노동자 고동민, 인권운동가 박래군, 다산인권센터 활동가 박진…. 이들의 숫자가 제발 두 자리를 넘지 않았으면 한다고 그녀는 절규하듯 말했다.

"인터뷰에 쓰면 되게 웃길 것 같긴 한데, 가끔 더 출세하고 싶다고 생각할 때가 있어요. 그니까 변영주가 어떤 집회에 가면 확실히 도움이 된다, 이런 차원에서요. 사회적 영향력이라고 말하면 되게 멋있게만 들리니까, '출세'라는 말이 훨씬 더 나를 얍삽하게 표현하는 것 같아서 좋아요.

제가 집회나 농성장 같은 곳을 다니며 이런저런 일을 하는 것도 사실은 내 일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에요. 제가 쌍용자동차 농성장에서 사회를 보면서 했던 말이 있어요. 결국 영화 하는 사람들이 잘되려면 사람들이 극장에 많이 와야 하잖아요. 금요일 밤에 가족들끼리 혹은 친구들끼리 영화 한 편 보고 밥 먹을 정도의 여유가 모두에게 있다면 극장을 찾는 사람들도 늘어나겠죠.

삼성 이재용도 극장 올 때 영화표 1장을 사고 평범한 이들도 1장을 사는데, 그렇다면 우리한테 중요한 건 평범한 사람 100명이 금요일 밤에 영화 한 편을 볼 수 있는 삶의 조건인 거예요. 그런 이들을 위해 무언가를 하는 게 곧 영화 산업에도 도움 되는 일인 거죠."

신화학자 나카자와 신이치의 <카이에 소바주(야생적 사고의 산책)> 시리즈 5권은 '인간은 곰이고 곰은 인간이다'라는 한 문장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 둘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우주 안의 모든 것이 그렇다.

굳이 대칭성인류학이니 무의식에서 발견하는 대안적 지식이니 떠드는 어렵고 지루한 책을 다섯 권씩이나 읽지 않아도, 나는 감독 변영주의 삶이 해고노동자 고동민의 삶과 연결돼 있다는 것을 안다.

이 글을 쓰는 지금, 밖엔 오랜 가뭄의 끝을 알리는 천둥소리와 함께 폭우가 내리기 시작했다. 이제, 영화를 볼 시간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을 쓴 호모아줌마데스는 두 딸을 키우고 있는 애 엄마입니다. 2007년 참여연대 회원 가입과 동시에 자원활동 시작했습니다. 아카데미 느티나무에서 ‘백인보’라는 코너에 비정규적으로 인터뷰 글을 쓰고 있습니다. 특기사항은 합기도 빨간띠입니다. 사진은 김경희 미디어홍보팀 간사가 촬영했습니다. 이 글은 월간<참여사회> 7~8월 합본호에 실린 인터뷰를 일부 요약 및 재구성했습니다.



태그:#블랙리스트 , #여성감독 , #낮은목소리
댓글

참여연대가 1995년부터 발행한 시민사회 정론지입니다. 올바른 시민사회 여론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