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저장탱크 받침기둥 기준치 이상 균열도 방치

인천시 연수구 송도LNG인수기지 전경. 정부는 지난 1992년 송도 LNG생산기지를 건설할 때 10만㎘ 규모의 LNG 저장탱크 3기만을 건설하기로 약속했다. 하지만 현재 10만㎘급 탱크 10기, 14만㎘급 탱크 2기, 20만㎘급 탱크 8기가 가동 중이다. 그리고 여기다 20만㎘급 저장탱크 3기를 추가로 증설하고 있다.
▲ 송도LNG인수기지 인천시 연수구 송도LNG인수기지 전경. 정부는 지난 1992년 송도 LNG생산기지를 건설할 때 10만㎘ 규모의 LNG 저장탱크 3기만을 건설하기로 약속했다. 하지만 현재 10만㎘급 탱크 10기, 14만㎘급 탱크 2기, 20만㎘급 탱크 8기가 가동 중이다. 그리고 여기다 20만㎘급 저장탱크 3기를 추가로 증설하고 있다.
ⓒ 사진출처 한국가스공사

관련사진보기


한국가스공사가 송도LNG인수기지 내 저장탱크 등 관련 시설에 균열을 확인하고도 방치한 사실이 드러났다. 심지어 대부분의 시설은 내진 설계가 안 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송도LNG기지는 정부가 2014년 4월 증설 계획을 발표한 뒤, 주민안전과 주민지원이 미흡하다며 3년 넘게 진통을 겪었던 곳이다.

지난해 9월 3년여 만에 연수구가 안전기준 강화와 주민지원을 토대로 허용했지만, 기존 시설의 결함이 드러나 또 한 번 파문이 예상된다.

송도기지는 현재 1억ℓ급 탱크 10기, 1억 4000만ℓ급 탱크 2기, 2억ℓ급 탱크 8기 등 모두 20기(총 28억 8000만ℓ)를 운영하고 있다. 정부와 가스공사는 여기다 2억ℓ급 저장탱크 3기를 증설할 계획이다.

앞서 가스공사는 2014년 실시한 정밀점검 때 저장탱크 2개의 받침기둥에 균열이 있는 것을 발견했지만 허용기준인 폭 0.3㎜안에 있다는 이유로 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았다.

그런데 지난해 11~12월 감사원이 감사를 실시한 결과 가스공사가 저장탱크 일부 구조물에 생긴 결함을 방치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난달 28일 감사결과를 발표했다.

감사결과 저장탱크를 지지하고 있는 받침기둥에 0.3㎜이상의 균열과 콘크리트 박리현상이 적게는 4개에서 많게는 36개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심지어 일부 받침기둥은 2㎜ 이상의 균열이 간 곳도 있었다.

감사원은 가스공사에 저장탱크 받침기둥에 발생한 균열과 부식 등에 대해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해 원인을 찾고, 보수·보강할 것을 통보했다.

감사원은 또 송도기지를 비롯한 국내 인수기지 내 대다수 건축물에 내진설계가 안 돼 있어, 대규모 지진 발생 시 고압배관의 파손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가스공사는 관리소와 정압기실 등 가스공급시설 건축물이 내진설계 적용 대상이 아니라며 전체 건축물 4939개 가운데 4530개(91.7%)를 내진설계 없이 건축했다. 특히, 가스공급 시 압력을 조절해주는 정압기실은 4171개 모두 내진설계가 안됐다.

이중 감사원이 17개를 대상으로 내진성능을 예비 평가한 결과 8개(47%)가 리히터규모 6.0~6.5 지진 발생 시 붕괴 될 수 있는 것(내진 2등급 판정)으로 확인 됐으며, 감사원은 건축물 안에 있는 고압배관 등의 공급시설 파손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감사원은 저장탱크의 내구성과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담당자에 대한 주의조치와 유지·관리 업무를 철저히 할 것을 권고했다. 가스공사 인천본부는 받침기둥 균열의 경우 60% 정도 보수했고, 다음 달까지 나머지를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가스공사 사장, 주민들과 면담에 나서야"

송도기지 내 결함과 숨기기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05년 저장탱크 20기 중 4기에서 발생한 가스누출 사고가 발생했는데, 2007년이 돼서야 세상에 드러났다.

당시 가스누출 사고는 탱크 천장의 균열이 아니라 LNG 유입 파이프와 저장탱크 사이에서 발생했다. 주민들은 사고도 사고지만 가스공사가 이 사고를 은폐했다는 데 더 분노했다.

가스공사는 2005년 9월에 가스누출 사고를 발견하고, 2006년 2월 감사원에 보고했다. 그 뒤 같은 해 9월 감사원 감사 때 지적받고 이듬해인 2007년 2월이 돼서야 사실을 주민들에게 알렸다.

그 뒤 정부가 송도에 2억ℓ급 저장탱크 3기와 기화시설 등을 증설하겠다고 하자, 연수구 주민들은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강하게 반대했다.

그러자 가스공사는 지난해 9월 저장탱크의 지진 대비 기준을 내진 '1등급'에서 '특등급'으로 상향하겠다고 했다. 그리고 연수구는 3년 넘게 보류했던 건축행위를 허가했다.

그런데 이번 감사결과 기존 저장탱크의 받침기둥의 결함이 드러났고, 또 은폐했었다는 게 드러났다. 아울러 기지 내 건축물에 내진설계가 안 돼 있어, 감사원 조차 고압배관 등 공급시설에 파손을 우려하자 주민들은 다시 격앙되기 시작했다.

연수평화복지연대는 7일 성명을 내고 "감사원 보고서를 접한 주민들이 분노하고 있다. 가스는 엄청난 가연성과 폭발력을 갖는 만큼, 누출이나 배관파손 사고 발생 시 국민안전과 재산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며 "송도기지는 1992년부터 건설하기 시작해 현재 총 20기(29억ℓ) 탱크가 가동되고 있다. 시설이 노후된 데다, 한반도 또한 지진으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게 드러난 만큼 상황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그런 뒤 "감사원 보고서를 접한 상당 수 주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 한국가스공사는 우선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고 감사원 지적사항에 대한 구체적 이행계획을 밝혀야 한다. 나아가 상시적인 주민안전감시단 구성해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가스공사 사장이 주민들과 면담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사인천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한국가스공사, #송도LNG인수기지, #감사원, #연수평화복지연대, #LNG인수기지Tㅣ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