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등 지역 내 82개 정당·시민사회단체들이 지난 5월 부산 미국 영사관 앞에서 미군의 생화학전 연구 시설인 주피터 프로젝트(JUPITR)의 부산 배치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던 모습.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등 지역 내 82개 정당·시민사회단체들이 지난 5월 부산 미국 영사관 앞에서 미군의 생화학전 연구 시설인 주피터 프로젝트(JUPITR)의 부산 배치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던 모습.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미군이 생화학전을 대비한다는 명목으로 부산에 설치하려는 '주피터 프로젝트'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연합주한미군 포털 밑 통합위협인식' (Joint United States Forces Korea Portal and Integrated Threat Recognition)의 앞글자를 따온 주피터(JUPITR) 프로젝트로 미군 측은 생화학 독성 물질의 빠른 분석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군이 주피터 프로젝트를 설치하겠다고 점찍은 곳은 부산항 8부두이다.

반면 지역 시민사회단체를 중심으로는 대도시 한복판에서 생화학전 대비 실험 시설을 운영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지만 부산시는 국방부와 주한미군의 입장을 그대로 반복하고 있다.

지난 1일 대책 발표에서도 부산시는 "주피터 프로그램의 탐지장비들은 이미 성능 검증을 완료한 상태로서 어떠한 검사용 샘플도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부산시에 통보한 바 있다"며 국방부의 입장을 그대로 전달했다. 부산시가 내놓은 대책들도 주피터 프로젝트 도입을 가정한 뒤 발생하는 사고에 대한 후속 대처 수준에 머물렀다.  

그러면서 부산시는 "병원체 실시간 검사를 위한 에어로졸 포집 장치 등 첨단장비를 내년도 예산에 반영해 구입을 검토 중"이라며 "필요시 제8부두 주변 탄저균 자체 환경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생화학전을 막겠다며 도입하는 주피터 프로젝트를 감시하기 위해 별도의 예산이 또 들어가는 셈이다.

시민단체 '부산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은 "불필요한 장비 구입에 예산을 낭비할 것이 아니라 주피터 프로그램 반입을 막아내는 것이 생화학 테러에 대한 가장 확실한 안전대책"이라는 입장을 발표하고 4일 오전 부산항 8부두에서 1인 시위를 진행했다.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구성한 '부산시민대책위(준)'도 부산시의 대응을 질타하고 있다. 대책위는 시의 대응이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주피터 프로젝트 부산 설치를 사실상 동의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대책위는 "부산시가 주한미군, 국방부 등과 정보공유 체계를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면서 관련한 공개 질의서를 이날 부산시에 보냈다. 이와 함께 대책위는 주피터 프로젝트에 대한 반대 의견을 밝히기 위한 상경단을 조직해 오는 6일 국회와 미 대사관, 국방부를 잇달아 방문할 계획이다.


태그:#주피터 프로젝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