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노사정 똥타협."

청년들이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의 부산 영도 지역사무소 앞에서 이같이 외치며 '노사정 대타협 합의문'을 찢었다. 알바노조 부산지부는 노동당 부산광역시당과 함께 지난 17일 오후 김무성 대표의 지역사무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이번 '노사정 대타협 합의문'을 ▲ '쉬운 해고'라고 불리는 일반해고제 도입 ▲ 노동자 동의 없이 노동조건을 개악할 수 있는 취업규칙 변경 요건 완화 ▲ 기간제와 파견 등 비정규직 확대하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알바노조는 전국적으로 1인시위와 기자회견 등을 통해 '노사정 대타협 합의'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있다. 이날 알바노조 부산지부는 김무성 대표 지역사무소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합의문'을 찢기도 했다.

알바노조 부산지부는 노동당 부산광역시당과 함께, 17일 오후 김무성 대표의 지역사무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노사정대타협 합의문'을 찢었다.
 알바노조 부산지부는 노동당 부산광역시당과 함께, 17일 오후 김무성 대표의 지역사무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노사정대타협 합의문'을 찢었다.
ⓒ 알바노조 부산지부

관련사진보기


알바노조 부산지부는 "노동개혁안의 도입은 자녀세대와 부모세대 모두를 알바노동과 같은 불안정한 노동의 길로 내모는 것과 같다"라면서 "알바노조는 '노사정 대타협'이라는 어이없는 과정과 '노동개혁안'이라는 졸렬한 개혁안을 모두 거부한다"라고 밝혔다.

이들은 "노사정 대타협에서 현재까지 합의된 사항들은 결국 노동개혁안의 본격 도입을 앞당기는 내용뿐"이라면서 "그 내용이란 모든 노동자를 주관적 기준으로 해고시킬 수 있고, 사용자 마음대로 취업규칙을 변경할 수 있으며, 파견근로와 같은 비정규직을 확산시킬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해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알바노조 부산지부는 "더 이상 알바와 같은 형태의 불안정한 일자리가 양산돼서는 안 된다, 이미 벼랑 끝의 삶을 살아가는 노동자들은 물러설 한 뼘 여지조차 갖지 못했다"라면서 "도대체 언제까지 '경제 위기'라는 구태의연한 구실로 노동자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할 작정인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우리는 '노동개혁안'은 물론, 현재와 같은 형태의 '허울뿐인 노사정 대타협'도 거부하며, 노동자의 처지를 후퇴시키는 그 어떤 수작에도 반대한다"라고 덧붙였다.


태그:#알바노조 부산지부, #노사정대타협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