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충북 음성군에 지난 3월 전국 군 단위 최초로 노동인권센터가 문을 열었다. 이달 3일로 개소 180일을 맞았다. 이곳은 비영리 단체로 돈 없고 기댈 곳 없는 노동자들에게 상담과 법률 지원 활동을 무료로 지원하고 있다. 2억 원에 달하는 체불임금, 이주노동자의 밀린 임금 2000만 원을 해결하는 등 굵직한 문제를 풀어냈다. 이 센터를 책임지고 있는 조광복(48) 상임노무사의 입을 통해 이곳의 일상을 들여다봤다. - 기자말

음성노동인권센터 조광복 상임노무사
 음성노동인권센터 조광복 상임노무사
ⓒ 이화영

관련사진보기

남루한 차림의 노인이 사무실 문을 열어 젖혔다. 이 남성은 금방이라도 쓰러질 듯 좌우로 몸을 심하게 흔들었고 절룩거리면서 들어왔다. 지체장애는 그림자처럼 평생 따라 다닌 듯했다.

그는 혼자가 아니었다. 한 쪽 손이 없는 중년의 여성이 그를 뒤따랐다. 그녀의 시선은 초점을 찾지 못했고, 어딘가 모르게 불안해 보였다. 행색은 후줄근하고 화장기라고는 찾아 볼 수가 없었다.

그는 곧장 정수기로 향했고 냉수를 종이컵에 받아 서너 번 들이켰다. 그러고선 "세상에 이럴 수가 있어요, 이럴 수가 있어요"라는 말을 반복했다. 억울한 얼마나 사무쳤는지 시비 거는 사람처럼 인상을 일그러뜨렸고, 목청은 괄괄했다.

"글쎄 우리 며느리가 있는데, 손목이 잘린 것도 못 볼 일인데 글쎄 휴업급여를 부정수급 했다면서 내놓으라는 거요. 이럴 수가 있어요?"

그에겐 장성한 아들이 있다. 아들은 정신지체 3급이다. 그 아들이 뒤늦게 결혼시켜 달라고 떼를 썼다. 아들의 등살에 어쩔 수 없이 혼인을 시켜 같이 살게 했다는데 그러던 중 건축일 나가서 크게 다치고 말았다.

그 후 아들의 장애는 더욱 심해졌고, 결국 정신병원에 입원시켜야 하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그 노인은 아들을 떠올리며 가슴이 먹먹했는지 "불쌍한 놈"이라는 말을 연발했다. 무엇이든 해주고 싶은 아비였지만, 자신의 성치 않은 몸과 비루한 삶을 한탄하는 듯했다.

병원에 입원한 아들이 남기고 간 며느리가 있다. 1969년생이니 이제 50을 바라보는 나이다. 며느리 역시 정신지체 3급 장애가 있다. 노인은 며느리가 오갈 곳이 없으니 방 하나 구해주고 보살펴주고 있다.

시아버지와 함께 온 며느리는 한 쪽 손이 휑했다. 며느리는 2년 전 인력업체를 통해 취업한 공장에서 취업 첫날 손목을 통째로 기계에 먹히고 말았다. 열 구렁의 물이 한 구렁으로 모인다(十洞之水會一洞)고, 화와 액운이 모두 이 집으로 다 모여드는 듯했다.

며느리는 치료를 받으면서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휴업급여를 받았다. 휴업급여란 산재보험으로 치료를 받는 기간 동안 생계를 지원받는 산재보험급여 중 하나다.

음성군 내 공공기관 관계자가 그녀의 사정을 딱하게 여겨 두 달 정도 되는 그 기간 동안 도움을 줬다. 이 기관에 시간제로 채용했고 한 달에 20여만 원 정도를 두 차례 줬던 일이 있다.

이 시간제 채용은 황당한 사건으로 이어졌다. 근로복지공단은 시간이 꽤 흐른 후에 58일 동안 지급한 휴업급여 240여만 원이 부정으로 수급한 돈이니 그 전액을 반납하라고 결정했다. 시아버지는 이 일을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몰라 수소문 끝에 이곳을 찾았다.

노인, 듬성듬성 빠진 이를 드러내고 처음 웃었다

근로복지공단, 참 야박하다. 며느리의 처지를 조금만이라도 살폈다면 의도적으로 휴업급여를 부정수급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을 텐데. 이 기관이 피해 노동자를 보듬고 보호해야할 위치에 있고 그런 시선으로 바라봤다면 합법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을 것이다.

산재보상보험법에 부분휴업 급여제도가 있다. 치료받는 도중에라도 시간제로 일을 나갈 경우 일정한 요건을 갖추면 시간제로 받은 급여를 제하고 법이 정한 금액을 부분휴업급여로 지급받을 수 있는 제도다.

충북 음성 노동인권센터는 근로복지공단을 방문해 이 제도를 설명하고 휴업급여의 일부 금액을 보전해줄 것을 요구했다. 며느리는 다행히 반납해야 될 휴업급여의 상당액을 보전받게 됐다.

근로복지공단은 늦게라도 며느리의 권리를 인정해줬지만, 일을 알선해 준 인력업체나 일을 시킨 회사는 한 순간에 사라져버린 손에는 관심이 없다. 병원에 입원시킬 때 빼고는 찾아오기는커녕 안부전화 한 통도 없었단다.

지금이라도 이 회사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혐의로 고발하면 처벌받게 할 수 있겠지만, 노인과 며느리는 너무 많이 지쳐 있었고 힘들어 했다. 또다시 마음고생을 시킬 용기가 나지 않았다.

노인이 듬성듬성 빠진 이를 드러내며 처음으로 환하게 웃었다. 연실 고맙다는 인사를 했다. 이 일을 잊고 있었는데 두 달이 지났을까 노인에게서 전화가 왔다. 그는 "늦었지만 고맙다고, 늦게 연락드려서 죄송하다"라고 했다. 수화기 너머로 가는 신음이 들렸다. 흐느끼는 듯 했고, 정말 고마워하는 마음이 절절하게 느껴졌다.

이 일은 금세 잊힐 것이다. 일을 알선해 준 인력업체도, 일을 시킨 회사도, 근로복지공단 담당자도, 나조차도 잠시 스쳐간 바람처럼…. 하지만 정신지체인 그녀는 휑한 손을 볼 때마다 우리를 떠올릴지도 모른다.

남의 인권이 존중받을 때 내 인권도 존중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선 안 된다. 이웃의 고통을 외면하면 내 고통도 외면 받는 것은 자명하다. 인권사각지대에 놓인 이웃들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과 우리 사회의 인식 전환이 절실한 시점이다.

덧붙이는 글 | 세 살배기 시리아 난민 아일란 쿠르디는 비록 해안가 모래에 얼굴을 파묻고 숨졌지만 세계의 양심을 깨웠습니다. 아일란은 무시되는 인권과 고통에 눈을 감은 비양심에 경종을 울렸습니다. 차별 없고, 고통 없는 세상에서 안식하길 기원 합니다.



태그:#음성노동인권센터, #인권, #조광복, #음성군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세 아이의 아빠입니다. 이 세 아이가 학벌과 시험성적으로 평가받는 국가가 아닌 인격으로 존중받는 나라에서 살게 하는 게 꿈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