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15일 국회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문 대표는 이날 당 혁신안 방향과 관련해 "기득권에 안주해서는 우리 당의 희망도 미래도 없다"며 "나부터 기득권을 내려놓겠다"고 밝혔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15일 국회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문 대표는 이날 당 혁신안 방향과 관련해 "기득권에 안주해서는 우리 당의 희망도 미래도 없다"며 "나부터 기득권을 내려놓겠다"고 밝혔다.
ⓒ 남소연

관련사진보기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15일 발표된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의 차기 정치지도자 조사에서 아슬아슬하게 1위를 수성했다.

이는 여야 정치인 4명(총 8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다. 같은 조사에서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전월 대비 3%p 상승한 12%를 기록한 반면, 문 대표는 전월 대비 7%p 하락한 15%를 기록했다. 지난 4월 13%p에 달하던 두 사람 간 격차가 불과 3%p 차로 크게 좁혀진 셈이다.

무엇보다 문 대표는 "만약 다음 대선에 현 여야 대표가 출마한다면 누가 대통령이 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느냐"는 '양자대결' 질문에서는 김 대표에게 4%p 차로 뒤졌다. 김 대표를 택한 응답은 전체의 42%였고 문 대표를 택한 질문은 전체의 38%였다. 20%는 의견을 유보했다. 지난 2월부터 4월까지 문 대표가 14~20%p 차로 앞섰지만 이번에는 위치가 역전된 셈이다.

이는 새정치연합의 4·29 재보궐선거 '참패'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새정치연합은 재보선 패배 후 문 대표를 겨냥한 선거책임론 등이 불거지면서 당내 갈등이 수습되지 않고 있다.

지지정당별 응답으로 본 결과도 이를 방증한다. 새누리당 지지층은 전월 대비 12%p 상승한 78%가 김 대표를 차기 대통령으로 꼽았다. 그러나 새정치연합 지지층 중 문 대표를 차기 대통령으로 택한 응답은 전월 대비 5%p 하락한 81%였다.

특히 문 대표를 차기 대통령으로 꼽은 무당층은 전월 대비 4%p 하락한 반면, 김 대표를 차기 대통령으로 꼽은 무당층은 전월 대비 2%p 상승했다. 즉, 문 대표를 지지했던 새정치연합과 무당층 일부가 이탈한 셈이다.

새정치연합 지지층 81% "문재인 사퇴할 일 아니다"

다만, 문 대표가 4·29 재보선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하느냐는 문제에 있어서는 '사퇴할 일 아니다'는 답변이 보다 우세했다. 응답자 중 53%가 '사퇴할 일 아니다'라고 답한 반면, '책임지고 사퇴해야 한다'는 답변은 33%에 불과했다. 14%는 의견을 유보했다. 무엇보다 새정치연합 지지층 중 81%와 무당층 62%는 '사퇴할 일이 아니다'라고 못 박았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12~14일 3일 간 전국 성인 1001명에게 예비조사에서 뽑은 '차기 정치 지도자 8인'(여야 정치인 각 4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

이 결과, 문 대표와 김 대표의 뒤를 이은 3위는 박원순 서울시장(11%)이었다. 그리고 안철수 새정치연합 의원(10%), 오세훈 전 서울시장(7%),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위원장(6%), 손학규 전 새정치연합 의원(4%), 정몽준 전 새누리당 의원(4%)이 그 뒤를 이었다.

4·29 재보선 참패 여파는 이들에게도 미쳤다. 박원순 서울시장과 안철수 의원은 모두 전월 대비 1%p씩 하락한 반면, 김문수 전 지사는 전월 대비 1%p 상승했다. 정몽준 전 의원과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각각 4개월, 2개월 만에 다시 '차기 정치 지도자 8인'에 이름을 올렸다.

○ 편집ㅣ최은경 기자



태그:#문재인, #김무성, #차기 대권, #여론조사
댓글9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2007년 5월 입사. 사회부(2007~2009.11)·현안이슈팀(2016.1~2016.6)·기획취재팀(2017.1~2017.6)·기동팀(2017.11~2018.5)·정치부(2009.12~2014.12, 2016.7~2016.12, 2017.6~2017.11, 2018.5~2024.6) 활동.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