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하나·외환은행 통합을 놓고 노사가 접점을 찾지 못하자 금융 당국이 통합 승인절차를 진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나금융지주는 이르면 다음주 통합 승인신청서를 당국에 제출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외환은행 노조는 "금융당국이 공정한 중재자이길 포기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10일 금융위원회(아래 금융위) 관계자는 "노사가 합의해서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간 너무 지지부진했다"며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나금융이 외환은행 노조와 무관하게 통합 승인신청서를 제출하더라도 법적인 문제는 없다. 이 관계자는 "예비 인가 신청이 접수되면 승인을 안해줄 법적 근거가 없다"며 "지금까지 (노사 합의 전까지) 통합 예비인가 신청을 안 받겠다는 입장이었지만 이제는 입장을 바꿀 수도 있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지난 8일 저녁 김한조 외환은행장과 김근용 외환은행 노조위원장 등 외환은행 노사 대표를 긴급 소집했다. 하나·외환은행 통합협상을 중재한 것인데 4시간 동안 이어진 난상토론은 끝내 파행으로 결론났다.

이날 협상에서는 "향후 통합절차를 노사가 합의한다"는 내용에는 의견이 모였다. 앞서 외환은행 경영진은 '협의'라는 문구를 주장했으나 노조가 요구한 '합의'로 명명하기로 했다.

노조 "대화기구 발족 합의문 지켜야" 하나금융 "무리한 요구"

그러나 이날 협상이 파행에 이른 이유에 대해서는 노사의 입장이 다르다. 김보헌 외환은행 노동조합 전문위원은 "향후 통합절차는 노동조합과 합의해 진행한다는 내용을 포함한 '대화기구 발족 합의문'을 두고 입장 차이를 보였다"면서 "회사 쪽은 합의문에 서명은 할 수 있지만 지킬 수 없다, 통합절차는 (회사쪽이) 별도로 진행하겠다는 입장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하나금융 쪽은 무기계약직 정규직 전환에 대한 세부 사항에 대해 노사가 이견 차를 좁히지 못했다고 밝혔다. 하나금융그룹 관계자는 "무기계약직을 정규직 전환하는 데 있어서 노사가 합의했지만, 노조는 일괄적인 전환을 요구했다"며 "무기계약직 전환은 통합전제조건이 아닐 뿐 아니라 외환은행 2000명, 하나은행 1400명으로 비용 문제가 만만치 않아 절차와 승진, 처우 등 상세하게 논의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또 통합절차에 대한 가처분신청 가능성을 둘러싸고도 노사가 접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통합절차가 진행될 때 노사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노조는 가처분신청 같은 법적대응을 할 수 있어 경영진은 노조에 가처분신청을 하지 말 것을 요구하고 있다. 회사 쪽은 노조가 당초 가처분신청을 하지 않기로 '구두 합의'했다가 말을 바꿨다고 주장하고 있다.

노사가 이렇게 난항을 겪으면서 하나금융그룹은 노조와의 협상을 뒤로하고 통합절차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하나금융은 합병기일인 3월 1일을 앞두고 오는 29일 합병을 결의하는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하기위해 절차를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총 개최를 위한 이사회는 오는 14일로 이에 맞춰 통합 승인신청서도 제출할 방침이다.

외환은행 노조는 "노사 간 대화 중재를 맡은 금융위는 책임을 내팽개치고 공정한 중재자 역할을 못하고 있다"면서 "하나지주의 불성실한 대화 태도와 여론 호도에도 불구하고 '대화기구 발족 합의문' 등 진정성 있는 대화 노력에 계속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태그:#하나금융그룹, #외환은행, #금융위원회, #하나외환통합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