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의원.
 새정치민주연합 박지원 의원.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새정치민주연합 2·8 전당대회 당대표 경선 출마를 선언한 박지원 의원이 오는 4월 보궐선거에서 옛 통합진보당 의원 지역구에 대한 시민사회의 양보 요구를 수용 않겠다고 밝혔다.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강제해산 결정에 '동의'할 수는 없어도 지금 당장은 '수용'해야 한단 입장도 재차 밝혔다.

그는 4일 여의도 한 중식당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시민사회단체에서는 2월 전당대회 이후 4월 보궐선거에서 민주주의에 의한 심판을 얘기하면서 우리 당에게 양보를 요구할텐데 우리는 (수용하면) 안 된다"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 당시 비례대표 의원은 어쩔 수 없겠지만 지역구 의원들은 국민들의 선택을 받았기 때문에 무소속(의원)으로 남겠구나 했는데 오판이었다, 그 때 그 칼이 우리 새정치연합에게 오겠구나 생각했다"라며 이 같이 말했다.

무엇보다 박 의원은 이 같은 사정 때문에라도 자신이 당대표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2012년 6월 당시에도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에게) 애국가를 부르지 않는 당과는 함께 할 수 없다고 선을 그은 바 있다"라면서 "그러나 통합진보당이 전국적으로 200만 표 정도를 확보하고 있는데 어떤 대선후보가 이를 거절할 수 있겠나"라고 말했다.

사실상 자신과 양강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문재인 새정치연합 의원을 겨냥한 발언이었다.

"이번 전당대회는 당대표 뽑는 거지 대통령 후보 뽑는 것 아냐"

박 의원은 "우리나라 대선 결과가 50만 표 내외에서 당락이 결정되는데 당장 200만 표가 눈 앞에서 아른거려 어떤 대선 후보도 굉장히 좌고우면하고 (손익을) 계산할 수밖에 없다"라며 "그런 것도 박지원이 당대표가 돼야 끊을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또 "민주주의 원칙에 어긋났지만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판결은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조봉암 선생의 진보당 사건처럼 몇 십 년 후에 무효 판결이 나더라도 지금은 우리가 수용해야 한다"라면서 "내가 이걸 끊어줄테니 대선후보는 뒤로 물러서 있다가 가야 한다고 한 적 있다"라고 덧붙였다.

자신의 원내대표 재임 당시를 상기시키면서 '신속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당대표 후보임도 강조했다. 그는 "계파 문제는 친이-친박으로 갈린 새누리당이 더 심각하다, 다만 좌고우면하지 않고 기동성 잃지 않고 신속하게 결정하는 점은 우리가 인정한다"라면서 "제가 원내대표 2번, 비상대책위원장 2번 하면서 어떻게 신속하게 결정내렸는지는 여러분이 더 잘 알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이날 간담회 모두발언에서도 "이번 전당대회는 당대표를 뽑는 전대이지 대통령 후보를 뽑는 전대가 아니다"라며 문 의원을 정조준했다.

그는 "대통령 후보를 지냈고 48% 지지도를 받은 문재인 후보는 국민경선에 앞서지만 역시 위기에 처한 새정치연합을 구해내는 데에는 경험과 경륜, 능력, 그리고 과거 원내대표로서 성공한 협상력을 가진 박지원이 필요하다"라고 주장했다.

또 "우리의 집권을 위해서는 당대표와 대권후보는 분리돼야 한다"라며 "혹자는 3년 후에나 대통령 후보를 결정하지 않느냐는 한가한 얘기를 하는데 이것은 지난 두 번의 대선을 실패하고 계파 싸움하는 사람들이나 하는 얘기"라고 비판했다.

"정동영 신당 합류 안 된다, 나가서 잘 된 사람 없다"

한편, 박 의원은 신당 창당 가능성을 열어놓은 정동영 새정치연합 상임고문에게도 "그러면 안 된다"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여러 번 (정 고문에게) 전화를 했지만 받지 않고 있다"라며 "(정 고문이) 권노갑 고문에게 상의를 많이 했다고 하는데 나는 권 고문에게 절대 그러면 안 된다고 전해달라고 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나가서 잘 된 사람이 없다, 무엇보다 지금은 국민 정서도 바뀌었고 그런 지도자가 없다"라며 신당 창당시 성공 가능성을 낮게 점쳤다.


태그:#박지원,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전당대회, #4월 보궐선거
댓글60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