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무상, 타요, 굿모닝... 수도권은 지금 '버스전쟁'
ⓒ 강신우

관련영상보기


6·4지방선거를 50여 일 앞둔 요즘 서울과 경기도의 최대 정책 화두는 바로 '버스 전쟁'.

서울에서는 '타요버스 원조논란'이 불거졌고, 경기지사 여야 후보들은 '무상버스와 버스 공영제 찬반' 대립에 이어 '앉아가는 아침'과 '굿모닝 버스'가 경쟁하고 있다.

새누리당 "오세훈 원조"... 박원순 "타요버스는 경청의 힘"

먼저 서울시가 지난달 26일 대중교통의 날을 맞아 한 달짜리 이벤트로 기획한 타요버스.

화면으로만 보던 인기 국산 애니메이션 '꼬마버스 타요' 캐릭터를 직접 만져보고 타볼 수 있게 되자 아이들과 부모들은 폭발적인 반응을 보였다. 타요버스에서 만난 승객들 중에는 서울시민뿐만 아니라 타요버스를 타기 위해 일부러 지방에서 올라오는 시민들까지 있다.

"일부러 서울까지 타러 왔거든요. 왔을 때 버스 대수가 좀 많아졌으면 좋겠고, 택시도 캐릭터로 꾸며주시면 차 안 가지고 다니고 애들 데리고 대중교통 더 많이 이용할 것 같아요." - (강원도 속초에서 아이와 함께 온 여성)

"(얼만큼 타고 싶었어요?) 많이요... 유치원도 안 가고 타러 왔어요." - (임화섭 어린이 / 서울 영등포)

지난 3월 26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인기 국산 애니메이션 <꼬마버스 타요> 캐릭터 랩핑을 한 시내버스 앞에 어린이들이 보호자의 손을 잡고 줄을 서고 있다.
 지난 3월 26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광장에서 인기 국산 애니메이션 <꼬마버스 타요> 캐릭터 랩핑을 한 시내버스 앞에 어린이들이 보호자의 손을 잡고 줄을 서고 있다.
ⓒ 이희훈

관련사진보기


타요버스 운전대를 잡은 기사는 "타요버스의 뜨거운 반응을 실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종점에서 다 타지 못할 정도로 사람이 많이 모여요. 토요일, 일요일 주말이 최고 많습니다. 아유, 반응이야 이루 말할 수 없죠. 타요 차 온다고 정류장 같은 데 들어가면 손 흔들고 그러면 저도 같이 '바이 바이'하고. 인기가 최고 좋습니다." - 이광원 대원여객 기사

큰 인기에 타요버스 연장운행 요구까지 나오자 박원순 서울시장은 5월 5일 어린이날까지 기존 4대의 타요버스를 100대로 늘리겠다고 답했고, 더 나아가 인기 캐릭터인 뽀로로 버스와 라바 지하철 도입 검토 방침도 밝혔다.

그런데 이에 대해 새누리당은 오세훈 전 시장이 '꼬마버스 타요' 애니메이션을 제작했는데 박 시장이 마치 자기 것처럼 써먹고 있다고 비판했다. 타요버스의 원조는 박 시장이 아니라 새누리당이라는 주장이다.

때 아닌 새누리당의 '원조 주장'에 박 시장은 9일 오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경제비전 2030 기자설명회 도중 발상의 전환을 보여주는 15세기 신대륙 탐험가 콜럼버스의 달걀을 예로 든 뒤, "타요버스는 경청과 소통으로 탄생했다"고 반박했다.

"애니메이션을 그렇게 많이 만들면 뭐합니까. 그 버스에 그렇게 현실로 딱 만들 수 있는 아이디어, 그것도 제가 만든 것도 아닙니다. 서울시민들이 제안한 겁니다. 버스회사 사장이 제안했고 그것을 즉각적으로 받아들인 겁니다. 그 힘이 바로 경청의 힘이고 소통의 힘입니다. 우리가 창조경제를 하려면, 융복합이 제대로 되려면 서로가 열려 있고 자유로운 이런 풍토와 분위기가 너무 중요합니다."

김상곤 '앉아가는 아침' Vs. 남경필 '굿모닝 버스'

버스를 둘러싼 신경전은 평일 120여만 명이 서울로 출퇴근하고 있는 경기도에서 더 치열하다.

우선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지사 후보들의 버스 정책은 크게 원혜영 의원과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의 완전공영제와 김진표 의원이 주장하는 준공영제로 나뉜다.

김 전 교육감과 원 의원의 정책은 공영버스 투입이라는 점에서는 비슷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김 전 교육감이 공영제 방안의 하나로 '단계별 무상버스' 도입을 약속한 반면 원 의원은 "무상버스는 공짜버스"라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새누리당 경기도지사 출마자인 남경필·정병국 의원은 "무상버스는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하며 버스 준공영제를 주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 서울 출퇴근 시민들을 겨냥한 김상곤 전 교육감과 남경필 의원의 버스 정책 경쟁이 눈길을 끈다.

3일 아침 경기도 분당에서 서울 도심으로 가는 광역버스에 올라탄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지사 예비후보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은 복잡한 평일 버스 출근길을 체험하며 도민들의 고충을 들었다.
 3일 아침 경기도 분당에서 서울 도심으로 가는 광역버스에 올라탄 새정치민주연합 경기도지사 예비후보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은 복잡한 평일 버스 출근길을 체험하며 도민들의 고충을 들었다.
ⓒ 박정호

관련사진보기


김 전 교육감은 최근 출퇴근 시간대에 300대의 직행버스를 투입해 시민들이 버스에서 앉아갈 수 있게 하겠다는 '앉아가는 아침' 공약을 발표했다. 얼마 전 김 전 교육감은 경기도 분당에서 서울 출근 버스에 올라 승객들의 고충을 직접 듣기도 했다.

"버스를 서서 타고 왔을 때는 진짜 하루가 너무 힘들 거든요. 좋은 교통수단에 대한 대책들을 많이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김지환(35) / 경기 분당)

"그래서 제가 정책으로 모든 분들이 앉아 갈 수 있도록 버스도 투입하고 노선도 조정하려고 합니다. 저는 '앉아가는 아침'이라는 타이틀로 경기도민들의 교통 문제를 풀어드리려고 노력할 겁니다." -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

이에 맞서 남경필 의원은 9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전 교육감의 '앉아가는 아침' 정책을 비판하며 출퇴근 시간대 광역버스 179대 신규 투입과 멀티환승터미널 건설을 골자로 한 '굿모닝 버스' 도입 계획을 밝혔다.

"김상곤 후보가 주장하는 '앉아가는 버스' 공약을 위해 이층버스 등을 도입하게 되면 기존 버스의 5배가 넘는 비용 때문에 막대한 예산이 소요됩니다.(중략) "버스 정책의 새로운 비전은 기다리지 않고 바로 타고 앉아서 가는 '굿모닝 버스'입니다. 이 '굿모닝 버스'는 하루에 특히 출근 퇴근 시간에는 2분만에 배차해서 2분의 한 대씩 출발하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의 명물이 된 '타요버스 원조 논란'과 서민 표심 잡기를 위한 경기도의 '버스 정책 경쟁'. 버스에 대한 여론의 관심이 점점 커지면서 후보별 대중교통 정책이 수도권 선거의 중요한 이슈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태그:#버스, #타요버스, #무상버스, #지방선거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기록하지 않으면 사라집니다. 누군가는 진실을 기록해야 합니다. 그 일을 위해 오늘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