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민중화가 홍성담.
 민중화가 홍성담.
ⓒ 강성관

관련사진보기


민중화가 홍성담(59)이 꿈 그림과 이야기를 들고 광주를 찾았다.

홍성담 작가는 지난해 10월 자신의 꿈을 기록한 그림과 글을 엮어 책 <바리>(삶창 펴냄)를 펴냈다. 그는 "<바리>는 꿈 그림을 이야기로 엮은 것인데 초현실주의 소설이 된 것이다"라고 말했다.

<바리>는 우리 민족의 서사무가 바리데기의 주인공인 바리공주를 통해 꿈 그림을 해석하고, 현실세계와도 맞닿아 있는 여러 '바리' 이야기를 들려준다.

<바리>의 삽화로 쓰였던 꿈 그림 47점 중 27점을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대안공간' 메이홀(관장 임의진 목사) 갤러리에서 만날 수 있다. 홍성담 작가의 전시회 '바리'전은 10일까지 이어진다.

1일 저녁 메이홀에서는 지역 화가·메이홀 회원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조촐한 <바리> 출판기념회를 겸한 '바리'전 개막식이 열렸다.

메이홀에서 10일까지... 작가 하루의 '맛있는 산수'전과 함께

홍성담 작가의 '바리'전은 대안문화공간 메이홀 캘러리에서 10일까지 열린다. 1일 저녁 메이홀에서 홍성담 작가가 꿈 그림과 글을 엮어 발간한 책 <바리>의 출판기념회를 겸한 '바리'전 개막식이 열렸다.
 홍성담 작가의 '바리'전은 대안문화공간 메이홀 캘러리에서 10일까지 열린다. 1일 저녁 메이홀에서 홍성담 작가가 꿈 그림과 글을 엮어 발간한 책 <바리>의 출판기념회를 겸한 '바리'전 개막식이 열렸다.
ⓒ 강성관

관련사진보기


홍성담 작가는 1980년 5월 항쟁 당시 시민군 선전원으로 활동했고, 1989년 평양에서 열린 세계청년학생축전에 걸개그림 '민족해방운동사'를 보낸 혐의(국가보안법 위반)로 구속돼 3년여 동안 옥살이를 했다. 1992년 3월 출소한 후 그는 자신이 꾸었던 꿈을 스케치로 기록했다.

"옥살이를 하고 나왔는데 몸과 마음이 지치고 힘들었다. 그런데 그때는 어디가서도 힘들다고 말하기도 어려웠다. 환청도 들리고 환각도 있었는데, 내 안에 있는 '또 다른 나'를 발견하고 내면에 작동하는 무의식이 무엇인지 밝히기 위해 꿈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그렇게 10여년 동안 기록한 꿈 그림은 1500장을 넘어 섰고, 언젠가 그는 꿈 그림을 모두 상자에 담아 창고에 보관해 왔다. 그러던 중 지난 해 봄 창고를 정리하다 그 상자를 우연히 발견했다. 다시 꺼내 본 꿈 그림은 5∼6개 주제로 나뉘었다. 그 중 하나가 서사무가 바리데기다.

그는 책 <바리>와 '바리'전에 대해  "청년시절에 유신독재와 5·18을 겪고 민주화시대를 맞았지만 다시 퇴행의 시대를 걷고 있다, 그런 전환기와 변혁기를 살았던 한 예술가의 꿈의 기록이다"라며 "동시대 사람들의 트라우마와 집단무의식이 꿈 이야기에 내재돼 있다, 우리 내부에 잠재된 집단무의식이 무엇인지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서사무가 바리데기 속 바리공주는 태어나자 마자 버려진다. 그러나 바리공주는 부모를 살릴 생명수를 얻기 위해 홀로 저승의 땅으로 향한다. 많은 고통과 어려움을 겪으며 바리공주는 7년 동안 끔찍하게 싫어하는 남자를 위해 밥과 빨래를 해주고 아이 일곱을 낳아 준다. 그러고 나서야 생명수를 얻을 수 있었고, 부모를 살린다. 그후 바리공주는 스스로 무당이 된다.

홍 작가에게 그 바리공주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이기도 하고 자신을 고문했던 사람으로 때론 또 다른 자신으로, 그렇게 여러 '바리'의 모습으로 상징된다. 홍 작가는 "바리공주가 생명수를 얻는데 까지 여러 고통이 따르는데, 마지막에 석장승 같은 사내의 일곱 아이를 낳아준다, 이것은 사랑이 아니라 성폭력을 당한 것이다"라며 "이런 고통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도 닿아 있다"고 말했다.

"메이홀에서 시민들과 함께 걸개그림 그리고 싶다"

1일 개막한 홍성담 작가의 '바리'전이 메이홀 캘러리에서 10일까지 열린다. 홍 작가의 전시회는 청년작가 하루의 '맛있는 산수'전과 함께 열린다.
 1일 개막한 홍성담 작가의 '바리'전이 메이홀 캘러리에서 10일까지 열린다. 홍 작가의 전시회는 청년작가 하루의 '맛있는 산수'전과 함께 열린다.
ⓒ 강성관

관련사진보기


그는 "바리공주는 버려졌지만 생명수를 구해 죽은 부모를 살리는 '생명공주'가 되었다"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도 버려졌었다, 그래서 바리데기이고 우리에게 생명공주이기도 하다"고 덧붙었다. 이어 그는 "절망적이고 야만적인 자본주의에서 우리 사회를 살려낼 바리공주의 생명수가 어디에 있는지 발견해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꿈 그림을 해석하는데 서사무가 바리데기를 차용한 것에 대해 "지그문트 프로이트·카를 융·자크 라깡 등 서양 정신분석학자들의 분석틀이 아니라 우리의 신화체계, 민담, 전설 등을 통해 꿈을 분석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며 "그 단초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메이홀 큐레이터 주홍 작가는 "작가가 꿈을 스케치하고 그린 그림을 보며 바리공주를 일본군 위안부의 한 전형으로 보았다"며 "위안부가 아니라 바리, 생명공주라고 이름 붙이는 작업을 통해 우리 민족의 집단 무의식에 내재된 여성의 핍박과 상처를 그림과 글로 승화시켜낸 것이다"라고 평가했다.

홍성담 작가는 지난해 열린 '아홉개의 총알'전으로 인연을 맺은 메이홀에서 시민들과 함께 걸개그림을 그리고 싶어했다.

그는 "대안문화공간인 메이홀은 끊임없이 활성화 되고 전시 뿐 아니라 창작공간이 되어야 한다"면서 "광주에 한달여 동안 머물 예정인데, 이곳에서 광주시민·메이홀 회원들과 함께 걸개그림을 그리고 싶다"고 바람을 전했다.

홍 작가의 전시는 광주출신 하루(Haru.K) 작가의 '맛있는 산수'전과 함께 진행된다. 하루 작가는 올해 광주시립미술관 북경창작스튜디오 입주 작가로 선정된 청년작가다. 메이홀 갤러리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문을 연다.

1일 개막한 홍성담 작가의 '바리'전이 메이홀 캘러리에서 10일까지 열린다.
 1일 개막한 홍성담 작가의 '바리'전이 메이홀 캘러리에서 10일까지 열린다.
ⓒ 강성관

관련사진보기




태그:#홍성담 '바리'전, #서사무가 바리데기, #메이홀, #하루(HARU.K)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