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뉴욕현대미술관(MoMA)의 2014 다큐멘터리 포트나잇(Documentary Fortnight 2014)에 한국영화 2편이 초청 상영된다.

오는 2월 14일부터 28일까지 2주일간 열리는 국제영화제 '다큐멘터리 포트나잇'에선 혁신적인 넌픽션 영화와 미디어가 소개된다. 올해엔 한국, 일본, 포르투갈, 러시아, 덴마크 등 20여 국에서 장편 다큐 20편, 단편 10편과 고전 2편, 그리고 설치작이 초청됐다.

울산을 배경으로 한 박경근 감독의 다큐멘터리 '철의 꿈'.
▲ '철의 꿈' 울산을 배경으로 한 박경근 감독의 다큐멘터리 '철의 꿈'.
ⓒ Kelvin Kyung Kun Park

관련사진보기


박경근(Kelvin Kyung Kun Park) 감독의 '철의 꿈(A Dream of Iron)'은 울산을 배경으로 철의 시각으로 본 한국의 산업화를 담았다. 북미 지역 최초 상영작이다.

서울에서 태어난 박경근 감독은 LA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디자인&미디아아트를 전공한 후 CalArts에서 필름과비디오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 단편 다큐멘터리 '평화로운 신도시로의 초대', 2010년 '청계천 메들리: 철의 꿈'을 연출했다. 서울에서 플라잉 스튜디오를 운영하며 다큐멘터리와 미디어아트 작업을 하고 있다.

박경근 감독은 상영 후 관객과 질의 응답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상영시간 99분. 2월 15일 오후 5시, 16일 오후 2시.

경기도 기지촌을 배경으로 한 김동령, 박경태 감독 작 '거미의 땅'.
▲ 거미의 땅 경기도 기지촌을 배경으로 한 김동령, 박경태 감독 작 '거미의 땅'.
ⓒ 김동령, 박경태

관련사진보기


김동령(Kim Dong-ryung), 박경태(Park Kyoung-tae) 감독이 공동으로 연출한 '거미의 땅(Tour of Duty)'은 철거를 앞둔 경기도 미군 기지촌을 배경으로 매춘부로 살아온 세 여인의 기억을 통해 군국주의 역사 속의 상흔을 드러낸다.

30여년간 햄버거를 만들어온 바비 엄마, 폐휴지를 줍고 그 위에 그림을 그리는 박인순, 흑인계 혼혈인 안성자의 회고를 통해 망각된 기지촌으로 떠난다. 2013 일본 야마가타 국제 다큐멘터리영화제 특별상 수상. 북미 지역 최초 상영작. 상영시간 150분. 2월 16일 오후 5시 30분, 17일 오후 4시.

김동령 감독은 이화여대 영문과 졸업 후 한국영화아카데미에서 연출을 전공했다. 기지촌 외국인 여성의 삶을 담은 장편 다큐멘터리 '아메리칸 앨리'로 야마가타 다큐멘터리영화제 오가와신스케상을 수상했다. 동국대 사회학과 대학원 출신 박경태 감독은 다큐멘터리 '나와 부엉이' '있다' 등 기지촌 생존자들의 이야기를 소재로 작업해왔다.

덧붙이는 글 | http://www.nyculturebeat.com/index.php?document_srl=2994917&mid=TodaysPick 에도 올라갔습니다.



태그:#MOMA, #뉴욕현대미술관, #다큐멘터리, #철의 꿈, #거미의 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