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 관계자들이 압수수색을 위해 16일 오전 경기 성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으로 들어가고 있다. 검찰은 이날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한 달 이상 매일 출퇴근 형식으로 열람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압수수색에는 대검찰청 디지털포렌식센터(DFC)가 보유한 국내에 한 대밖에 없는 디지털 자료 분석용 특수차량(버스)도 동원된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 관계자들이 압수수색을 위해 16일 오전 경기 성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으로 들어가고 있다. 검찰은 이날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한 달 이상 매일 출퇴근 형식으로 열람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번 압수수색에는 대검찰청 디지털포렌식센터(DFC)가 보유한 국내에 한 대밖에 없는 디지털 자료 분석용 특수차량(버스)도 동원된다.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부장검사 김광수)는 16일 국가기록원을 압수수색했다.

검사들과 수사요원들은 이날 오전 9시 44분쯤 경기도 성남시 소재 국가기록원에 도착해 곧바로 압수수색 절차에 돌입, 기록물 열람 및 이미징(복사) 작업에 들어갔다. 압수수색에 투입된 인원은 검사 6명, 포렌식(감식) 요원 12명, 수사관과 실무관 등 총 28명이며, 특히 최첨단 디지털 포렌식 장비가 탑재된 차량이 투입됐다.

앞서 조병현 서울고등법원장은 대통령지정기록물에 대한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하며 사본에 대한 열람만을 허용했다. 원본을 직접 열람할 경우 훼손이 우려되고, 수사 경과에 비춰 사본제작이나 자료제출은 허용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에 따라 검찰은 기록원 내부에 마련된 별도의 수사 공간과 특수차량을 이용해 향후 열람을 모두 마칠 때까지 매일 오전 9시~오후 10시에 출퇴근 형식으로 열람을 할 예정이다. 검찰은 기록물에 대한 압수수색을 마치기까지 최소 한 달 가까운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압수수색 대상은 모두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 책자 등 전자문서 형태를 지니지 않은 기록물이 보관된 서고, 대통령기록물관리시스템(PAMS, 팜스), 참여정부 청와대 문서관리시스템인 e지원(e-知園)이 팜스로 이관되기 전 제작된 백업용 사본, e지원이 팜스로 넘겨지는 데 활용된 외장 하드 97개, 봉하마을로 이관됐다 반환된 e지원 사본이다.

검찰 관계자는 "(회의록이) 이관이 됐나 안 됐나를 먼저 파악하는 게 관건"이라며 "이관 여부가 명백하면 더 이상 볼 게 없지만 압수수색 과정에서는 이관됐는지 안 됐는지, 자료가 없다면 로그인 기록 등을 통해서 이관 전에 삭제나 폐기된 흔적이 있는지까지도 모두 봐야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그 다음에 소환에 불응한 여러 사람 조사를 통해서 이관이 안 됐다고 하면 어떤 단계에서 어떤 경위로 이관이 안 됐는지에 대한 수사가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검찰은 이번 압수수색에서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이 나오지 않는다면, 참여정부의 회의록 삭제 또는 폐기 여부에 대해서도 조사할 방침이다


태그:#NLL 회의록, #국가기록원
댓글6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김도균 기자입니다. 어둠을 지키는 전선의 초병처럼, 저도 두 눈 부릅뜨고 권력을 감시하는 충실한 'Watchdog'이 되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