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제중학교 등 특성화중학교 설립이 잇달아 추진되면서 '박근혜 정부에서 중학교 평준화도 깨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재 학생을 직접 뽑을 수 있는 특성화중은 국제중 4개 등 전국에 26개인데, 최근 인천지역 두 곳에서 공·사립 국제중 2개교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대전지역에서도 국제중 설립이 이미 승인된 사실이 밝혀졌다.

전교조·서울교육단체협의회·정진후 국회의원 등이 지난 16일 연 '국제중 폐지' 정책토론회에서 최민선 정 의원실 보좌관은 "1969년 박정희 정권은 중학교 무시험 진학 정책을 시행해 중학교를 평준화시킨 뒤 고교 평준화까지 단행했다"며 "이후 이명박 정부는 평준화된 중학교 체제를 뒤흔드는 국제중을 추진하더니, 박근혜 정부에서 국제중 확대가 본격 진행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지난 2월 인천시는 교육부에 공립 국제중과 사립 국제중 각각 1개씩에 대해 2016년 3월에 개교하는 내용을 담은 교육국제화특구 사업 계획서를 내 논란이 된 바 있다.

또한 17일 대전시교육청에 따르면 대전시교육청과 교과부는 이미 지난해 9월 공립 국제중과 국제고 병설학교를 2015년 3월에 개교할 수 있도록 승인·동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중·고 설립 예산은 600여억 원으로 책정됐다.

"입시비리 문제 등 방치한 채 국제중 신설? 문제 있다"

이 같은 국제중 확대 움직임에 대해 최 보좌관은 "박근혜 정부는 현재 교육국제화 특구를 가장한 특성화중 확대 계획을 추진하며 국제중을 또 다시 신설하려는 상황"이라며 "존폐 논란까지 빚고 있는 기존 국제중의 입시비리 문제 등을 가만히 놔둔 채 새로운 국제중을 설립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강훈 전교조 인천지부 정책실장도 "서민들이 많이 사는 인천지역에 귀족형 국제중이 들어오고 사교육 시장이 학부모들을 호도한다면 초등학교 교육은 금방 흔들릴 것"이라며 "나근형 인천시교육감과 송영길 인천시장은 고교에 이어 중학교까지 서열화하는 국제중 설립시도를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덧붙이는 글 | 인터넷<교육희망>(news.eduhope.net)에도 보냈습니다.



태그:#국제중 논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에서 교육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살아움직이며실천하는진짜기자'가 꿈입니다. 제보는 bulgom@gmail.com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